•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risk

검색결과 1,895건 처리시간 0.027초

CM기업 현장운영 리스크 관리 실태 분석을 통한 효율적 관리 방안 제시 (Assessment of Risk Management Practices of CM Enterprise: The Need for an Enterprise-level Risk Management Framework)

  • 박경모;이현우;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66-73
    • /
    • 2014
  • 2008년 세계경제 금융위기 발생 이후 건설 수주물량이 감소되었고, 건설사업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업체들의 무리한 저가 수주로 인해 업체 경쟁력은 저하되었다. 이로 인해 CM기업들은 리스크 관리 대처능력 저하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시공학적인 측면에서는 리스크 관리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지만 CM분야에 대한 리스크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CM기업들의 리스크 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들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문제점들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한 리스크 인자 도출 방안 및 리스크 관리 시스템 개발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에 대한 실무자들의 설문을 통해 개발방안에 대한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하천재해예방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리스크 영향요인 (Risk Influencing Factors in Performance of River Disaster Prevention Project)

  • 조진호;김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4호
    • /
    • pp.417-428
    • /
    • 2020
  • 건설프로젝트 특성은 기획단계에서부터 목적물이 완공될 때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수반되며, 이러한 특성은 불확실성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건설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서는 리스크에 대한 분석과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프로젝트 중 하천재해예방사업의 성공을 위한 리스크 관리요인의 영향력과 시공과정에서 관련된 이해관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공과정의 리스크 관리요인의 도출은 델파이기법과 설문조사는 스노우볼 샘플링 방법을 그리고 분석은 SPSS Statistic 20과 SmartPL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리스크 관리 요소의 영향력은 공기리스크, 품질리스크, 원가리스크, 안전리스크, 건설환경리스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조절효과의 영향력은 원가리스크, 품질리스크, 건설환경리스크, 공기리스크, 안전리스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하천재해예방사업 관련 이해관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은 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의 순위를 바꿀 만큼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하천재해예방사업 시공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하천재해예방사업의 리스크 관리요인과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건설공사 위험대응 반복 프로세스 모델 (A Model of the Risk Response Repeat Proces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 김선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07-114
    • /
    • 2002
  • 최근 들어 국내 대형건설회사들을 중심으로 위험관리체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각 회사들은 위험관리체계를 건설공사에 적용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외국 공공기관에서 적용되었던 위험관리 방법론들은 위험관리 프로세스가 일회성으로 완료되고, 프로젝트 관리자의 개인적 판단에 크게 의존하는 측면이 강하여, 이를 국내 건설공사에 적용할 경우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환경에 더욱 적합하고, 실용적인 위험관리 방법론으로 잔여위험을 고려한 위험대응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특정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대응 전략 수립시 전략의 효율성을 감안하여 잔여위험도를 계산한 다음 잔여위험도가 위험허용도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위험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프로세스이다.

건설안전감리제도가 위험제어 및 절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truction Safety Supervision System on Risk Control and Reduction)

  • 임진상;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
    • /
    • 2018
  •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 of construction safety supervision system on risk control and reduc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114 companies in construction, ordering, contract and management. The overall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effect of construction safety supervision system on risk control and reduction showed that factors of supervision system, supervision cost and supervision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risk control and reduction. And their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of safety supervision system in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proces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field of ordering, contract and supervision. There wa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owner and contractor in double supervision system, but no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e perception of risk redu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all ordering, contract and supervision are positively needed for the introduction of construction safety supervision. This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owner and contractor in the perception of process according to system operation. All companies agree to system improvement by the settlement of safety supervision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and safe construction, but the systematic complement of safety supervision is the burden of contractor.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owner and contractor in the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and concern for cost burden.

공동주택 건축공사 단위작업의 위험성 평가 방법 (Risk Assessment Method for Activities of Apartment Construction)

  • 박성표;최재욱;이찬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6권3호
    • /
    • pp.135-145
    • /
    • 2020
  • Recently, the disaster rat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increased with high-rise, and complexity of the building, unlike the decrease in the disaster rate in other industries. Although risk assessment is performe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isaster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risks accurately due to activity in which no disaster has occurred, and inconsistencies in the level of details of work.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risk of the major activity for the apartment construction work, the activity was identified by referring to the risk assessment model of construction industry type by the KOSHA. The construction work types and activities were consistently organized in level of work into nine work types and 82 activities were through experts consultation. Analyzing the disaster types that occurred during work through KOSHA disaster cases, calculating the probability of disaster occur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and combining the probability of disaster with the severity of disaster to estimate the risk assessment method was presented. Using the daily report of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apartment, the results of a case study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risk calculation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리스크요소가 리스크관리 성공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Analysis of Effect of Risk Factors on the Success of Risk Management)

  • 정연교;정병화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43-449
    • /
    • 2014
  • 최근 건설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는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사망사고 등 중대리스크는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회사의 리스크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리스크관리 성공에 미치는 영향 요소인 공정, 공사비, 공사계획, 공사성공률, 발주자 만족도, 타공사 성공률 등을 종속변수로 하고 국내 건설회사의 리스크요소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리스크관리 성공에 미치는 리스크요소로는 Prototype선정, Simulation, 안전조직도 등이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Developing of Construction Project Risk Analysis Framework by Claim Payout and its Application

  • Kim, Ji-Myong;Park, Young Jun;Kim, Young-Jae;Yu, YeongJi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92-194
    • /
    • 2015
  • The growing size and complex process in construction project recently leads to increase risk and the losses as well. Even though researchers have identified the major risk indicators, there is lack of comprehens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indicators and economic losses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projects. To address this shortage of research, this study defines risk indicators and create a framework to assess the influence of economic losses from the indicators. An insurance company's claim payout record was accep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reflect the real economic losses. Based on the claims, we categorized the causes and results of accidents. To establish framework, built environment vulnerability indicators and geographical vulnerability indicators were employed as the risk indicators.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adopted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with loss ratio and risk indicators. Consequently, this framework and its results may offer significant references for under writers of insurance companies and loss prevention activities.

  • PDF

Feasibility of Applying Mixed-Reality to Enhancing Safety Risk Communication in Construction Workplaces

  • Olorunfemi, Abiodun;Dai, Fei;Peng, Weibi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Summit Forum on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
    • pp.225-234
    • /
    • 2017
  • Mixed-reality technologies have proven to be valuable in many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 facilities management (AEC/FM) applications. However, its potential of being adapted to facilitate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communication in construction workplaces has yet to be fully explored.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mixed-reality to enhancing safety risk communication in construction workplaces. Experiments have been designed in which Microsoft HoloLens® together with a developed application will be used to intervene in the practice of jobsite risk communication. A cross-sectional survey will then be follow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this technology through analysis on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preliminary results show that this emerging HoloLens® technolog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methods (i.e., phone calls, walking up people and talk, and video conferencing), facilitates accurate, prompt safety communication on construction sites. Such findings signify the potential of applying mixed-reality to safety performance enhanc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PDF

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개발 (Development of Risk Assesment Index for Construction Safety Using Statistical Data)

  • 박환표;한재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1-371
    • /
    • 2019
  • 2017년 전체 산업에서 건설업의 재해자와 사망자의 비중은 각각 25.2%, 29.6%로 가장 높은 실정이다. 특히 건축 현장의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공사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종별 안전위험도 평가지수를 개발하였고, 그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사고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하여 17개 요인을 도출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걸쳐 9개 항목(공종, 공사종류, 공정율, 계약금액, 층수, 공사기간, 안전교육, 현장근무일수, 날씨)을 제안하였다. 둘째,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위험도 평가지수는 안전사고의 발생 비율과 발생강도를 토대로 공종별 평가지수 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위험도 평가지수 평가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건설재해사고 통계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여,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 평가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건설안전사고로 인한 인적손해를 사망자와 부상자로 구분하여 위험강도를 산출하였다. 공종별 안전사고 발생빈도와 발생강도에 따른 위험평가지수와 도출된 위험요인은 향후 건설안전 위험도 예측시스템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cenario Planning and Risk Failure Mode Effect and Analysis (RFMEA) based Management

  • Paul, Virendra Kumar;Basu, Chaitali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6권2호
    • /
    • pp.24-29
    • /
    • 2016
  • This paper elaborates the significance of scenario planning in risk management, and presents an integrated approach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isk Events' derived from scenario planning for risk prioritisation. This research integrates scenario planning with Risk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RFMEA) through examples from construction litigations of project schedule and cost overrun cases as a simplified approach to project risk management. The proposed methodology incorporates scenarios developed from realistic events of dispute and arbitration cases from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reby increasing potential to foresee risks and their effects well in advance. The results from this methodology shall be validated against outcome of survey study conducted by KPMG-PMI (2013) on project schedule and cost overruns that was based on Ministry of Statistics and Programme Implementation (MoSPI) Project Monitoring data for 2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