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information

검색결과 9,010건 처리시간 0.041초

건설 기술문서 관리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Management Tools for Technological Document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 이태식;이동욱;전영준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4-358
    • /
    • 2006
  • In addition to documents or technologies at working place,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riese through increasing know-how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a variety of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RP and PMIS have been introduced since 90's. Therefore, the range of shared information extends to construction grounds, headquarters or even to collaborating companies. It means that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depends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echnological document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Accordingly, this study shows the purpose to develop the construction system which save, search and share technological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any problem of current construction systems. The construction system offers you both the searching function and the viewing function for variou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ystem contains the highlighting function to know if any information is available. The Construction system is possible to be used with current systems at the same time because is is designed to make up for the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solve their problems and supplement their defects.

  • PDF

설계/시공간의 효율적인 정보통합관리를 위한 건설정보처리시스템 구축 방안 (The Constitutional Directions of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etween Design and Construction in the Building Project)

  • 오승준;이경국;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64-467
    • /
    • 2002
  • 국내 건설프로젝트의 경우 건설생산주체간의 정보 흐름이 원할치 못하여 건설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설계단계에서 건축물의 요구성능, 비용조건, 및 주요자재, 시공과정 등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시공단계에서 설계 오류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설계검토 및 설계 변경시 관련 주체(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및 건설관리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못하여 실수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 설계단계에서 건축물의 성능, 비용 및 시공성을 만족하는 건축 부위 최적화 방법 및 이와 연계하여 설계/시공간의 효율적인 정보 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건설정보는 건물 구성요소의 접합관계, 기둥의 위치, 부위별 시공성 정보 및 현장 제한조건 정보 등 설계 단계에서 고려해야할 설계${\cdot}$시공 정보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건축 시스템의 최적화를 통해 건축설계단계에서 건축물의 성능 및 건물 총생애비용(LCC)과 시공단계의 시공성을 만족하는 건축부위 대안 생성과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관련주체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 PDF

BIM을 이용한 건설리스크 해결 가능성 도출 (Identifying Potential Opportunities of BIM for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 원종성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1-202
    • /
    • 2019
  •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potential opportunitie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utilization for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Construction risk factors and BIM functions were derived through conducting in-depth literature review. Nineteen construction risk factors could be resolved by various BIM functions. Phase planning, site analysis, design authoring, and 3D design coordination were identified as the most efficient BIM functions for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 PDF

DEVELOP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MATERIAL

  • Choong Han Han;Ki Bum Ju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383-1387
    • /
    • 2009
  • As information technologies in construction field get developed, various studies and projects are in progress for improve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Meanwhile, web-basis online system for building materials is tending upward. However, most of the informations about classification system for building materials and specifications are not systematic yet. Most field staffs have some troubles in making full use of the material information, repeating inefficient works from constructional design to the maintenance of it. This study designed auto-categorization system classified by materials, multi-search engines, auto-converting/creating electronic catalog as well as RFID search support to provide standardized building materials information.

  • PDF

Proposal of Human and Technical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 Park, Seon A;Park, Jin Su;Pyeon, Mu Wook;Lee, Gyeong Woo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21-328
    • /
    • 2021
  • This study considered measures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urveying and spatial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subsequent construction of national infrastructure. The organization identified and analyzed spatial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 road and railway-oriented SOC construction projects,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latest technologies to narrow the technical gap with North Korea and quickly establish land spatial information. To prepare a support proces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technical and human support details and considerations were reviewed through a case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In addition, the main result was "Presenting Efficient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and Equip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in North Korea," establishing an efficient utilization plan for the human resources and equipment needed in the support process based on technology support. It is expecte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ll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n future l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by first conducting research i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nation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plans.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공간정보(GIS)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GIS-based Measures in the Advancement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

  • 옥현;김성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4호
    • /
    • pp.70-79
    • /
    • 2015
  •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은 국토교통부에서 건설사업정보화(CALS)의 일환으로 구축된 정보시스템으로 건설사업 전 업무단계의 디지털화, 정보 공유 등을 통해 건설사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 및 투명행정을 실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은 국토부 내부 업무시스템 중 하나로 업무처리 위주의 기능과 데이터 관리에 중점을 두고 구축되어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구축된 지 10년 이상 경과된 정보시스템으로 주로 텍스트 및 문서위주의 건설사업정보로 이루어지고, 시각화 된 공간정보(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와 결합되지 못해 정보 공유 및 전달과 전체적인 현황 파악에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기존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스템을 보다 고도화를 위한 방안으로 국내외 GIS 기술동향 및 관련 정보시스템을 살펴보고,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전체적인 GIS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설사업정보 단위시스템별 세부 활용 및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향후 GIS 적용에 따른 고려사항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 연구동향 분석 (A Text Mining Analysis for Research Trend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Automation)

  • 임시영;김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3-23
    • /
    • 2016
  •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는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 연구의 국내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업진행현황 수집 및 분석기술(26%)'과 '건설장비 자동화 요소분석 및 적용기술(28%)'이 주요한 연구 분야로 나타났다. '사업진행현환 수집 및 분석기술'에서는 건설정보가 핵심키워드로 나타났으며, 건설정보 중심의 자원관리, 현장관리, 정보관리 등의 연구와 실시간 정보를 통한 모니터링 연구 등이 주요한 연구방향으로 나타났다. '건설장비 자동화 요소분석 및 적용기술'에서는 유비쿼터스가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였으며 유비쿼터스 개념의 정보관리, 현장관리, 계측시스템 적용 등이 주요한 연구 방향으로 나타났다.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PMIS와 3D Simulation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IMS and 3D Simulation Application of the Construction Field)

  • 탁승원;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67-970
    • /
    • 2007
  • 건설 프로젝트가 대형화 ${\cdot}$ 복잡화됨에 따라 그 관리 또한 방대한 정보량으로 인해 복잡성이 증대되어 가고 있따. 또한, IT기술이 발점함에 따라 건설기술의 선진화와 정보화를 목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에 IT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건설 프로젝트에서 IT기술을 도입함으로서 전문가의 개인적인 경험과 지식을 위주로 하는 공사 관리를 탈피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정보 공유 및 수집 ${\cdot}$ 축적을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게 되었고, 건설 프로젝트 참여 주체들간의 정보 공유 및 프로젝트 진행상황 파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건설 산업의 정보화 구조와 정보 시스템인 PMIS 또는 유사기능 솔류선의 의의, 필요성 등을 소개하고, 현장에서 PMIS와 3D Simulation 시스템을 적용하여 정보시스템구축시의 기대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Virtual Reality 기반의 가상 공사현장 구축을 통한 작업자 안전정보 제공 방안 (A Study on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for Workers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struction Site)

  • 박준원;이상호;김성훈;원정훈;윤영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5-52
    • /
    • 2020
  • Construction industry has a relatively higher industrial accident rate than other domestic industries. Thus, to reduce the accident rate, researches on the methodology of worker's safety education combined with new technologies like IT technology have increased. In the light of workers'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this study develops a VR(Virtual Reality)-based construction site using th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The target structures and geographical features are included in the VR-based construction site where the construction machinery model and worker model are also created using a game engine. For highly effective provision of safety information, video clips with suitable captions corresponding to working processes were made with proper screen directing. They should be appropriately connected to correct worker's operations to improve the work commitment level, sense of reality and inducement of interest. From this scenario, the 3D VR-based construction site, which can be experienced through a VR equipment, was created and in the same platform, the safety information was provided by the video clip combined with the suitable captions. Although the real construction site involves various requirements depending on field situation and the expertness and experience of workers are not consistent, the develope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based on the VR construction site is expected to effectively reduce the incomplete factors leading to construction accidents by improving the worker's perception of workplace safety.

Mobile Computing을 통한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기반의 건설정보관리 시스템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Basis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through Mobile Computing Methodologies)

  • 이태식;이성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475-478
    • /
    • 2001
  • 현재까지 건설 산업에서의 정보화는 계속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타 산업에 비해 저효율의 활용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이제까지 건설 산업의 정보화를 위한 노력이 대부분 건설 산업이 가지는 현장 중심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가운데 타산업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자체를 그대로 도입하여 운영되어졌다는 점에 있으며, 건설정보화 문제점 해결에 있어서도 사용 주체 위주의 편의성이 무시된 정보 시스템 구축이 이와 같은 문제점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건설정보화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서 향후 정보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Mobile Communication 개념의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을 이용한 건설정보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그에 대한 활용을 통하여 현 건설정보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