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GIS-based Measures in the Advancement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공간정보(GIS)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옥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소) ;
  • 김성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소)
  • Received : 2015.11.23
  • Accepted : 2015.12.29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CPIS), an information system constructed as part of the Construction 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CAL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is designed to digitize construction projects across all stages, and enable sharing of information so as to enhance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secure their transparent administration. One of MOLIT's internal work systems, CPIS focuses on work-handling and data management. However, now over 10 years old after its construction, it focuses on text and document-based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but it cannot be interfaced with the visualization-based GIS, which limits the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overall construction project status. To resolve the existing CPIS limitations and problems and to upgrade the system, this study examined domestic and overseas GIS technology trends and relevant information systems, and analyzed the CPIS status and problems. It thus proposed total GIS application measures to upgrade CPIS. Also, it identified detailed CPIS utilization measures and GIS application measures by unit system, and analyzed considerations for GIS application.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은 국토교통부에서 건설사업정보화(CALS)의 일환으로 구축된 정보시스템으로 건설사업 전 업무단계의 디지털화, 정보 공유 등을 통해 건설사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 및 투명행정을 실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은 국토부 내부 업무시스템 중 하나로 업무처리 위주의 기능과 데이터 관리에 중점을 두고 구축되어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구축된 지 10년 이상 경과된 정보시스템으로 주로 텍스트 및 문서위주의 건설사업정보로 이루어지고, 시각화 된 공간정보(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와 결합되지 못해 정보 공유 및 전달과 전체적인 현황 파악에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기존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스템을 보다 고도화를 위한 방안으로 국내외 GIS 기술동향 및 관련 정보시스템을 살펴보고,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전체적인 GIS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설사업정보 단위시스템별 세부 활용 및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향후 GIS 적용에 따른 고려사항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13 Operations and Technical Improvement of Construction CALS System (II) Final repor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KICT), pp. 2, 2013. 12.
  2. 옥 현, 김진욱, 양성훈 "건설사업정보시스템에서의 공간정보(GIS)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2015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한국정보과학회), pp.30-32, 2015. 6.
  3. 국토교통부, "제5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국토교통부, pp. 3-8, 2013. 10.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14 Operations and Technical Improvement of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 (II), Final repor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KICT), pp. 129-136, 2014. 12.
  5. 한국도로공사, "첨단IT 기반의 실시간 건설관리 구축", 한국도로공사, 2014.
  6. 국토교통부, "2014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국토교통부, pp. 15-17, 2014. 2.
  7. H. Ok, S.J. Kim, J.U. Kim, and Y.J. Kim,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GIS-based Measures in the Advancement of the CPMS", Computational Science and Computational Intelligence (CSCI), pp. 344-347, Dec. 2015.
  8. 미국 연방지리정보위원회(FGDC), http://www.fgdc.gov
  9. 미국 GIS 데이터 유통 사이트, http://catalog.data.gov/dataset
  10. 영국 국립지리원, http://www.ordnancesurvey.co.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