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ed curriculum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다면체 관련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eaching of Polyhedr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이영지;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405-438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and discussed instruction methods of polyhedr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by using the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By further segmenting instruction methods, we analyzed the period and order of teaching of polyhedrons, its definitions and presentation methods, and how instruction methods has changed so far.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1st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e choose the part where polyhedrons are introduced as the search-target, and analyzed instruction methods in these textbooks by using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The instruction period and order of polyhedrons were systemized when the system of Euclid geometry was introduced,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students, and the instruction period and order had been refin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definition took into consideration both the academic system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Also, the subject of learning has changed from textbook and teachers to students. Polyhedrons were connected to real life and students could build up their knowledge by themselves. Constructions were aimed at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of contents, rather than at itself. Through these analyses, we have some suggestions on the teaching of polyhedro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 이용환;구중필;김관영;박정란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43
    • /
    • 2019
  • 본 연구는 사용자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목표로하는 학교공간혁신의 개념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이 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자치 목표 및 기본가치와 상호관계성 연계 정도에 대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조사·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자치 혁신 교육과정과 학교 자치적 다양한 교육활동과 연계된 학생, 교사 즉 수요자의 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 즉 수요자의 요구가 최대한 반영되는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자치 혁신과 학교공간 혁신의 기본개념 고찰과 국가수준의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육자치 혁신과정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기본가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원도심지역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의 기본가치, 학교교육의 기능, 학교환경 및 공간 구성 방향, 학교공간에 대한 조사분석으로 학생과 교사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연속확률분포단원의 지도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Connection)

  • 황석근;윤정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423-446
    • /
    • 2011
  • 학교수학에서 정적분과 치환적분법의 개념은 확률밀도함수의 도입, 연속확률변수의 기댓값, 정규분포의 표준화와 관련하여 수학적 연결성을 가진다. 그러나 개정교육과정의 '미적분과 통계 기본', '적분과 통계' 과목의 교육과정해설서와 검인정 교과서 및 익힘책에서 적분단원과 통계단원 사이의 수학적 연결성 고려가 어려움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확률밀도함수의 도입, 연속확률변수의 기댓값, 정규분포의 표준화에 대하여 적분단원과의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지도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세개념에 대한 학생대상 실태조사와 개정교육과정의 교육과정해설서, 교과서, 익힘책, 그리고 국내 외 통계학(확률론) 도서(국내 13종, 국외 22종)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 개념에 대한 지도내용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았고, 교육과정개정이나 교과서의 내용구성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하여 그 결과를 제언하였다.

  • PDF

기술 변화에 따른 문화 콘텐츠 관련학과 교육과정 개발 (The Curriculum Design for Department of Culture and Contents according to Technology Change)

  • 전성신;이원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299-304
    • /
    • 2013
  • 문화 콘텐츠는 우리 일상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는 디자이너 또는 일반인 남녀노소 대부분의 사람들이 문화 콘텐츠 중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등과 같은 영상 콘텐츠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영상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스마트 폰과 스마트 패드 사용자들 또한 많다. 손쉽게 영상 콘텐츠를 서핑 감상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기기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에, 더욱 감동을 주는 영상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효율적인 교육과정 또한 계속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대학교육에서도 창의성 증진 교육의 필요성에 관해서는 많은 사람이 인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문화 콘텐츠 관련학과 커리큘럼이 감성을 자극하고, 창조적이며 새로운 기술을 보여주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인재양성의 방법을 연구하였다. 새로운 미디어 기기가 나오더라도, 거기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근원적인 방법을 연구하여 관련학과의 커리큘럼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도시 공공도서관의 경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conomies of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7-228
    • /
    • 1999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nomies of scale of the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confirm that for all samples of libraries there is diseconomies of scale in library operations (${\Sigma}b_{n}$≒6.14∼10.91). Therefore, all the types of public libraries should be improve productivity by user-based collection development, increasing circulation turnover rate, activation of in-library use, strengthening mobile library services, rational planning of services area, development of reading programs connected with the curriculum, a new branch library plans, etc.

  • PDF

2015 및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Comparing the 2015 with the 2022 Revised Primary Science Curriculum Based on Network Analysis)

  • 조헌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78-193
    • /
    • 2023
  • 본 연구는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급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어떠한 변화 양상을 갖는지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 교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5 및 2022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 정의 성취기준을 추출하여 성취기준 영역 변화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각 영역별 중심성 지수를 중심으로 한 비교, 커뮤니티 탐지 기법을 활용한 군집 분석을 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전체 성취기준은 10% 가량 감소하였으나, 성취 기준의 길이나 주요어의 빈도는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관찰이나 조사, 설명 외에도 공유, 실천, 설계 등 디지털 도구활용 및 협동학습과 관련된 과정·기능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과학의 각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집 분석 결과 대체적으로 군집의 숫자나 관련 개념이나 용어의 영역은 유사하였으나, 과정·기능 및 가치·태도와 관련된 주요어를 중심으로 수행 방식 등에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재량활동시간에 창의성학습 활동을 위한 비프로그램형 라인트레이서 학습모형 - 교재 개발과 수행평가 중심 - (A Non-program Line Tracer Learning Model for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during Discretionary Activity Hours)

  • 문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1-109
    • /
    • 2011
  • 대부분의 로봇 학습도구가 성적 및 사교육능력이 우수한 집단 학생들의 창의성교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직, 재량활동시간 등의 정규교과 수업에 접목하여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비교적 저렴한 라인트레이서를 교구로 사용하여 학업성취도가 평균 이하인 초등학생 5학년들이 정규교과목과 연계하여 로봇학습을 할 수 있도록 12차시 분량의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최적성을 확인하기 위해 학업성취 수준이 학년 평균 이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시킨 후 평가하였다. 각 차시별 학습결과를 산출물 중심으로 성취수준을 평가한 결과로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이 대부분의 교육과정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실행경험을 통해 학업성적이 비교적 낮은 초등학생들이 정규교과 과정과 연계한 로봇교육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시장중심 무용학과 교과과정 모형 개발 제안 (Suggestion of the Developing the Dance Major Curriculum on the Basis of Employment)

  • 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54-264
    • /
    • 2012
  • 이 연구는 무용관련전공 졸업생들의 취업률과 취업 경로를 분석해 현행 무용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과과정이 무용전공 졸업생들의 취업 경로와 연관성이 있는가를 살펴보아 시장 지향적 무용전공 교과과정 모형개발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인 지역 무용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10개 대학을 선정해 최근 3년 동안의 취업률, 취업 경로, 교과과정을 분석 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무용관련전공 졸업생들의 취업률은 건강보험 가입 조건이 취업률 산정에 고려된 2010년도의 경우 20% 대의 아주 낮은 취업률을 보였으며, 취업률의 비는 해마다 침체되고 있었다. 취업 경로는 무용관련 직종이 과반 이상을 차지했고, 무용과 관련 없는 사무관련 직종과 스포츠 직종도 일정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취직 경로에 맞춰 자격증 교과목, 신체 구조와 기능과 관련된 체육과목, 행정, 경영, IT와 관련된 교과목, 융 복합 교과목, 공연 기획 관련 교과목, 아동 및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의 다양성과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취업 기반으로 개설된 교과목 중에 취업 시장에 기여하지 못하는 교과목은 이에 관련된 취업 시장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검정 초등 수학 교과용 도서에서 나타난 의도된 역량 분석: 창의·융합 역량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tended Competency in Authoriz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 김진호;여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1-13
    • /
    • 2023
  • 수학과 목표인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수학교과를 통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신장할 것을 강조하여 왔다.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되어 활용 중인 검정교과서에서 나타나는 창의·융합 역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천재교과서(박)과 아이스크림을 선택하여 창의·융합의 하위요소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또한, 국정에서 검정으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015 개정에 따른 국정 교과서도 함께 같은 분석 준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부적인 비율에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세 가지 교과용 도서에서 창의성 중 유창성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융합은 외적 연결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개발과 실행 과정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전기 회로 이해에 따른 자연 교과서 전기 단원에 대한 분석과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s for elementary textbooks based on th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electric circuits)

  • 김은숙;심재규;정용재;장병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0-584
    • /
    • 1999
  • The units about electricity in 5th and 6th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and th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related concepts was investigated. This study was to make connection between the research about alternative concepts and writing textbooks. It was found that students' response had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y had strong belief that the + and - ends of battery should be connected. However this belief was not complete because students did not understand that the other circuit elements had to be connected properly. When the circuit involve more than one bulbs or batteries, they counted the number of batteries or bulbs only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connection of them. In explaining circuits and the brightness of the bulbs in the circuits. students tried to explains the circuit using scientific terms but failed to used them properly. Although the concept of resistance was not dealt explicitly. student had reasonable qualitative understanding about resistance. According to response of students, several suggestions might be made for the curriculum. The structure and the circuit elements and the proper connection needs to be taught. Also more emphasis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nnection in addition to the numbers of bulbs or batteries. Finally, it needs to be investigated carefully if it is better to introduce some qualitative model to explain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bulb depending on the connection and the number of bulbs. It might also be better to introduce some terms, such as current and resistance with the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