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rete lining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7초

지오그리드 복합 배수재를 이용한 터널 배수성능 개선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unnel drainage system using a geogrid composite)

  • 이준석;최일윤;임지훈;윤석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1-4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철도터널의 배수재로 사용되는 부직포의 배수 특성을 정밀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실제 터널 시공현장과 유사한 경계조건 및 하중조합을 가진 실험장비를 고안하였다. ASTM D4716과 유사한 성능을 갖는 실험장비는 숏크리트 및 방 배수재와 콘크리트 경계면의 굴곡을 현장 조건과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관련 시방조건 만족유무에 따른 실험결과로부터 일반 배수재의 성능을 규명하였다. 또한 배수성능 개선을 위하여 부직포 사이에 지오그리드를 삽입한 혼합형 배수재를 사용한 경우와 일반 배수재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혼합형 배수재의 배수성능 및 적용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소일시멘트 복토후 터널굴착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Soil-Cement Fill for Tunneling)

  • 신일재;강준호;서영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5호
    • /
    • pp.359-368
    • /
    • 2005
  • NATM 터널을 굴착하기에 토피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보통 개착터널공법이 적용된다. 그러나 토피가 매우 낮거나 없는 계곡부에서 개착터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두 곳의 갱구 형성과 복토가 이루어질 때까지 임시 사면에 대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이런 경우에는 복토를 통해 토피를 확보한 후 터널을 굴착하는 방안이 유효하다. 이 연구는 터널 굴착이전에 소일시멘트로 복토한 후 굴착작업이 이루어진 대만고속철도 C240현장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소일시멘트의 포틀랜드 시멘트 함유량은 $2\~4\%$이고, 1회 복토층의 두께는 $130\~250\;mm$ 범위가 되도록 시공하였다. 터널 굴착에 따른 소일시멘트 사면 및 터널내 최종 구조물인 콘크리트 라이닝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토목 공학에서의 SASW 기법의 활용 (Applications of SASW Method to Civil Engineering)

  • 송명준;정연문;이영남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권4호
    • /
    • pp.174-179
    • /
    • 1999
  • 토목구조물의 내진설계등에 필요한 탄성 계수중의 하나인 S파 속도의 측정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시추공을 이용한 downhole 시험이나 crosshole 시험 또는 검층 조사를 실시하여 왔다. SASW(Spectral Analysis of Surface Waves, 주파수영역 표면파해석)기법은 이러한 공내 시험법들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서 지표면에서 표면파의 측정을 통해 지표 아래의 전단 강성 주상도를 추정하는 비파괴, 비관입 시험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SASW기법의 원리를 간략히 언급하고 현장적용 가능성 파악을 위하여 여러 현장에서 수행한 SASW실험 결과를 요약하였다. 인천국제공항 현장에서의 동다짐 효과 판정, 마북리 시험터널의 라이닝 및 배면 암반 상태 파악, 콘크리트 옹벽의 두께 파악을 위하여 SASW기법을 성공적으로 활용하였으며 비파괴적, 경제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그 외 다양한 분야에서도 SASW기법이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터널 거동 예측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Tunnel Behavior Predi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종구;문홍득;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67-278
    • /
    • 2003
  • 인공신경망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매우 효과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거동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이러한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터널거동 예측시스템 (TBPS)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 개발을 위해 시공이 완료된 31개 현장 193 개소 지점으로부터 얻은 터널 계측자료 (즉, 천단침하, 내공변위, 록볼트 축력, 숏크리트 압축 및 전단응력, 내진시 라이닝의 응력 등)를 D/B화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개발된 TBPS의 학습을 위해 가장 효과적이라 알려진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들 자료의 학습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TBPS를 이용하여 예측한 터널 거동 값과 현장계측 값,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 값의 상호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TBPS에 의한 거동예측결과 값의 변화는 실무에 적용 가능한 범주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TBPS는 터널의 타당성검토나 기본 및 실시설계 등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터널 유지관리계측의 측정 및 분석주기 설정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measurement and analysis frequency of maintenance monitoring in tunnel)

  • 우종태;이강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17-12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1995년 서울지하철 5, 7, 8호선 터널구조물에 국내 최초로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는 터널 유지관리 계측시스템에 대한 측정 및 분석주기를 국내 및 국외 적용사례와 국내 터널의 유지관리계측 분석결과 및 시설물안전관리 관계법령기준을 검토하여 향후에 적용할 터널 유지관리계측의 측정 및 분석주기를 설정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까지의 계측주기로 계측관리를 한 결과 계측주기에 따른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지하철 5, 6호선 4개 터널의 유지관리계측 분석결과 콘크리트 라이닝 응력과 철근응력이 약 45개월 경과시점에서 서서히 수렴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계측기 설치 후 약 4년 까지는 계측 측정 및 분석주기를 빈번하게 하고, 4년 이후에는 빈도를 늦추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수압에 의한 강관 라이닝 좌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Buckling Incidents of Steel Liner under External Water Pressure)

  • 정규정;정경문;신효희;김대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2호
    • /
    • pp.13-20
    • /
    • 2011
  • 외수압에 의한 강관 라이닝 좌굴 사례를 조사, 평가하여 강관 라이닝의 안전성에 미치는 요소 및 그 중요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터널은 ${\bigcirc}{\bigcirc}$광역상수도 도수시설인 직경 2m의 수로터널로서 터널 라이닝은 내부의 강관 라이닝과 배면의 뒷채움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수로터널에서 발생된 강관 라이닝 좌굴 손상을 대상으로 손상의 형태 및 설계 조건을 상세하게 조사하였다. 좌굴 손상에 적용 가능한 좌굴 안전성 평가방법을 기존의 문헌 자료를 참조하여 선정하였으며, 손상에 대한 조사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본 지역의 수리지질학적인 특성이 좌굴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수리지질학적 지층특성뿐만 아니라 터널 라이닝의 적절한 시공이 강관 라이닝의 좌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외수압의 크기 결정은 수리지질 특성에 따라 산정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손상 사례에 대한 연구는 압력 수로터널의 강관 라이닝에 대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기간 중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로터널 안정성에 미치는 요소를 고려한 근접시공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ear Construction Range Conside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bility of Water Tunnel)

  • 이민규;이동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12
    • /
    • 2023
  • 최근에는 도시개발 및 확장으로 지하철, 도로, 대형관로 등 기존 터널 구조물에 인접하여 건설 계획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터널에 인접한 구조물 계획은 신규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인접 정도, 위치에 따라 터널 안정성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특히 압력 수로터널은 지반 거동 특성 및 운영 특성에 있어 도로터널 및 철도터널과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수로터널의 거동 특성 및 신규공사 공법을 고려하여 근접시공으로 인한 안전영역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터널 인접 시공 기준을 조사하고 수로터널 특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운용 중인 터널의 콘크리트라이닝의 열화를 고려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신규 구조물의 말뚝 시공 및 발파굴착에 의한 진동 영향을 검토하여 인접 시공방법에 따른 기존 터널 안정성이 확보되는 영역을 검토하였다. 국내 다양한 근접시공 영역에 대한 기준을 바탕으로 운용 중인 수로터널 특성을 반영하여 안전영역을 재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근접 안전 시공범위를 제시하였다.

디지털 영상 계측 기술의 영향인자에 따른 정밀도 분석 (Analysis of Digital Vision Measurement Resolution by Influence Parameters)

  • 김광염;김창용;이승도;이정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2호
    • /
    • pp.109-116
    • /
    • 2007
  •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입체모델을 생성하는 전통적인 사진 측량 방법을 활용한 계측의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계측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험을 통해 다양한 영향 인자의 설정에 따른 정밀도와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영상 계측은 획득된 이미지의 해상도가 클수록, 대상체에서 가까울수록, 초점거리가 클수록 보다 좋은 계측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양한 각도에서 가능한 여러장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처리할 경우 계측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영상계측의 정밀도는 계측대상과 측정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다. 디지털 영상계측을 실대형 라이닝 재하실험의 시험편 변위측정에 적용해봄으로써 정밀 변위 계측분야에 활용성을 파악하였다.

해저터널의 불연속체 연계해석 시 잠재적 이완영역 평가 방법의 타당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the estimation of a potential relaxed zone in the discontinuum coupled analysis of a subsea tunnel)

  • 유광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41-150
    • /
    • 2009
  • 불연속면이 발달한 암반 내에서 해저터널을 시공할 경우 절리 내의 지하수 흐름이 터널 거동에 커다란 영향을 마치므로 안정성 평가 시 수리-역학적 연계해석이 필요하다.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암반이완하중을 고려하여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계한다. 연속체 해석 시 잠재적 이완영역을 터널 주변의 국부안전율 분포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에 의해 산정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절리가 발달한 암반의 경우는 절리의 거동이 터널 전제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연속 암반 내에 터널 굴착으로 인해 발생하는 잠재적 이완영역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민감도 분석 및 연속제 해석 결과와 비교를 통해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공용중인 3-Arch터널의 열화조사 및 원인분석 (Analysis of cause and deterioration about using 3-Arch tunnel)

  • 이유석;박성우;황인백;신용석;김순곤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7-105
    • /
    • 2009
  • 3-Arch터널 시공초기인 1990년대 중반에 시공된 4개소의 3-Arch터널을 대상으로 열화발생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4개 터널 모두 중앙기둥측 상, 하선 아치부에서 발생형태가 유사한 종방향 균열이 조사되었다. 4개 터널 줄 3개소의 터널에서는 종방향 균열의 발생빈도가 높고 1개의 터널에서는 종방향 균열의 발생빈도가 낮아 이 2개군의 시공과정상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비파괴시험 및 정밀육안조사, 지반조건이 취약한 1개의 터널을 대상으로 안전성평가를 실시하여 이러한 열화들의 원인과 이에 따른 안전성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안전성은 확보되었으며 중앙터널 기둥측 상, 하선아치부에 발생한 열화는 중앙터널굴착에 앞서 선시공되는 상, 하선 콘크리트라이닝의 철근배근불량과 이후의 시공단계인 중앙터널 굴착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