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 understanding

검색결과 2,130건 처리시간 0.032초

도형영역에서의 '변(邊)'의 의미 및 도입방법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Meaning of 'Side' in Geometry and Methods of its Introduction in Mathematics Textbook)

  • 김수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41-457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도입되는 '변'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종 사전 및 이전 교육과정의 수학교과서 고찰을 통해,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변의 두 가지 속성을 밝혀내었으며, 변을 구성요소로 하는 도형의 범위가 사전의 유형이나 교육과정의 시기,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교과서에서 변을 도입하는 방법이 외연적 방법에 치우쳐 있어 변의 속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며, 수학용어라는 관점에서 변은 학생들에게 개념에 내재된 관념을 제공하지 못하는 현학적 용어임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여러 가지 논의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 두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변을 다각형의 구성요소로만 제한하고 각의 구성요소로는 도입하지 않는다. 둘째, 변을 도입할 때 외연적 방법과 더불어 내포적 방법도 아울러 사용한다.

  • PDF

주학해(周學海)의 삼음삼양(三陰三陽) 분야설(分野說)에 관한 고찰 (A Study of Juhakhae(周學海)'s Three Eum and Three Yang[三陰三陽] Field Theory)

  • 장우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3-162
    • /
    • 2008
  • Three Eum and Three Yang[三陰三陽] is a way of studying the changing of nature from a Eum(陰) and Yang(陽) point of view, Juhakhae(周學海) divides this into two dimensions. The first is the concept of dividing the exterior part of the body excluding the organ into 6 divisions as Eumyang(陰陽) of front and rear characteristic. The second is the concept of dividing the systematic bio-activity of the central organ into another 6 dimensions. The former concept is illustrated in the body as a certain meridian controlling a certain field of the body, while the latter is presented as a certain organ performing an activity of Gi(氣). Three Eum and Three Yang[三陰三陽] is not based on fixed substances. but it is a thought process model of observing the structural-functional changes of the body in disease state. Therefore, by understanding Three Eum and Three Yang[三陰三陽] of field and activity of Gi(氣) respectively and comprehensively putting these into practice, we will be able to approach the essence of the disease state in a more precise manner.

  • PDF

The Concept of Synchroniza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on-Individuation Between a Parent and an Adolescent

  • Moon, Duk-Soo;Bahn, Geon 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3권2호
    • /
    • pp.41-47
    • /
    • 2022
  • Objectives: Humans experience the process of separating-individuating themselves from an object via the conflict between dependence and independence within the self. The separation-individuation theory focuses on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individualizing oneself. Although adolescents' individuation from their parents is based on intrapsychic event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n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 of it. We applied intersubjectivity to adolescents and parents to interpret and find solutions for problems arising during their individuation process.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a case of a son and his father treated by the author. From the study subject, contents that represent adolescents and parents' interaction and separation in the individualization proces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and their experiences shared in this process were reconstructed from the therapist's perspective. Results: From the case involving an adolescent boy with conduct problems and his interactions with his father, the authors observed the phenomenon of intersubjectivity and proposed the concept of "synchronized individuation"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As adolescents rapidly grow and change, they experience various dynamic interactions with their parents. Through learning to tolerate the conflicts and ambivalent tension inherent in this individuation process,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develop their new identity. Conclusion: "Synchronized individu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complementary to, rather than exclusive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the separation and individuation. It offers a new paradigm with which to understand adolescent-parent conflicts in the process of separation-individuation.

Exploring the Concept of University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 LEE, Hyo-Young
    • 연구윤리
    • /
    • 제3권1호
    • /
    • pp.17-21
    • /
    • 2022
  • Purpose: Research ethics has social implications beyond the issues of personal morality and research integrity. In recent years, research ethics has become a more controversial topic in society.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is def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ethics curriculum is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is discuss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concept of university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was explored based on the framework . Results: field education to secure university research ethics is still insufficient. In other words, only 12 universities for undergraduate programs and 37 universities for graduate programs included research ethics in their regular curriculum. Conclusions: The occurrence of research misconduct is mainly caused by not recognizing the error or not taking it seriously. In particular, university research misconduct results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research ethics, poor research education, a performance-oriented academic climate, and the absence of an institutional system for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교통기술의 이슈와 역할 (Issues and Roles of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under the Ubiquitous Computing)

  • 이청원;변완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D호
    • /
    • pp.259-263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화두가 새로운 국가성장동력으로 부상하면서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통분야의 참여와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 유비쿼터스란 IT네트워크가 일상화되는 개념으로 5 Any(Anytime, Anywhere, Anything, Anynetwork, Anydevice)의 실현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IT기술과 교통기술을 접목하여 ITS를 발전시키고 있듯이,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교통기술의 접목을 통한 u-Transportation 개념을 논의해야 할 시점이다. 최근 관련 문헌과 연구를 보면 교통분야, 특히 교통정보분야를 유비쿼터스의 매우 큰 응용분야로 빈번히 거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교통분야에 대한 심층적 이해 없이 단순한 상식수준에서 비전문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기술동향자료를 토대로 u-Transportation 실현과 관련한 교통기술 분야의 쟁점과 역할에 대하여 집중 조명한다.

불일치 사례의 맥락이 인지 갈등 전략을 이용한 개념 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Context of Discrepant Events on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Using Cognitive Conflict Strategy)

  • 최숙영;강석진;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45-45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불일치 사례의 맥락이 인지 갈등 전략을 이용한 개념 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 갈등, 상황 흥미, 주의집중, 노력, 개념 이해도 등의 인지적․정의적 변인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536명을 대상으로 선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이후 불일치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와 상황 흥미 검사를 실시했다. 과학적 맥락이나 일상적 맥락의 불일치 사례는 학생들에게 무작위로 제시되었다. 밀도 개념 학습 후, 주의집중과 노력, 개념 이해도 검사를 실시했다. 목표 오개념을 지닌 194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맥락의 불일치 사례가 일상적 맥락의 불일치 사례보다 더 높은 인지 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일치 사례의 맥락은 상황 흥미, 주의집중, 노력, 개념 이해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경로 분석 결과, 불일치 사례의 맥락은 인지갈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인지 갈등을 매개로 개념 이해도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 탁병주;구나영;강현영;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9-39
    • /
    • 2017
  •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can turn out to be totally useless if we don't appreciate the part sampling plays. However, the conception of sampling is a scheme of interrelated ideas entailing many statistical notions such as repeatability, representativeness, randomnes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This complexity makes many peopl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relying on their incorrect intuitions without understanding sample comprehensively. Some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a sample is understood by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but we want to identify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e as the statistical literacy by a qualitative analysis. We designed four items which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write their understanding for sampling tasks including representativeness and variability. Then, we categorized the similar responses and compared these categories with Watson's statistical literacy hierarchy. As a result, many preservice teachers turned out to be lie in the low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s they ignore contexts and critical thinking, expecially about sampling variability rather than sample representativeness. Moreover, the experience of taking statistics courses in university did no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ir statistical literac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tatistics education.

전이 현상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The Understanding of 'Transference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이상익
    • 심성연구
    • /
    • 제29권2호
    • /
    • pp.101-126
    • /
    • 2014
  • 전이현상은 정신분석은 물론 정신치료 등에서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전이현상의 의미와 그것을 다루는 방법론 등에는 학파에 따라 많은 차이점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이에 대한 심층심리학적 연구는 정신분석학파의 이해방식에 주로 경도되어 있는 상태로, 상대적으로 정신의 지평을 더욱 넓고 깊게 파악하고 있는 분석심리학적 이해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전이현상에 대해 종합적인 고찰을 하고 그 의미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전이의 개념을 융의 관점을 중심으로 융 이전과 융 이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고, 분석심리학적 견지에서 전이현상이 몇 가지 특징적인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향후 전이 현상에 대한 진정한 분석심리학적 이해를 위해서는 융이 '전이의 심리학'에서 사용한 '현자의 장미원' 목판그림들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융이 언급하지 않은 후반부의 적절한 해석을 포함하여 주의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질량중심 개념의 구조적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Conception Formation of the Center of Mass Concept)

  • 최병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23-45
    • /
    • 2016
  • 우리가 어떤 한 개념을 형성하면 우리는 그 개념을 이용하여 어떤 사회 현상 또는 자연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그러나 어떤 대상에 대한 한 개념을 형성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한 개인이 어떤 개념이든 그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은 실로 험난한 정신적 여정이다. 이런 이유로 개념의 이해에 관한 문제는 교육에서 늘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우리는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이 이중적 본성 즉, 조작적 특성과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한 개념은 조작적 개념에서 구조적 개념으로 발전한다는 것을 이전 연구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한 개념의 이중적 본성을 안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특히 학생들이 한 개념의 구조적 개념을 이해하였는지 알기는 더더욱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량중심의 개념에 대한 조작적 특성과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질량중심 개념에 대하여 그 개념을 조작적 접근을 통하여 구조적 개념으로 어느 정도 형성하게 되는지 검사와 면담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한 개념에 대한 구조적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 함의하는 바를 찾고자한다.

통합 주제로서의 시스템 개념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System as Integrated Theme)

  • 지영래;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7-8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시스템 개념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을 탐색하여 과학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6명의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에서 사용된 질문은 시스템에 대한 인식, 과학에서의 시스템 적용, 과학 학습에서의 시스템의 중요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면담 과정에서 사용한 주요 메모를 정리한 노트와 면담 과정을 녹음 후 전사한 자료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들은 시스템을 객체들의 집합, 공간, 경계 등으로 인식했으며, 선행연구와 다르게 면담 과정에서 구체적이며 다양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문제 인식과 계획 단계 등의 문제 해결 단계에서 시스템 개념이 관련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시스템을 선택할 때 요인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이 문제 해결 단계와 동일하다고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들은 자연 현상의 해석과 관련하여 시스템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시스템은 관찰자의 목적에 따라 선택되고 주위와 구분된다. 넷째, 학생들은 다른 과학 개념 및 상호작용의 이해, 학생의 인지 발달 등과 같이 학습과 관련되어 시스템 개념이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