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 understanding

검색결과 2,130건 처리시간 0.025초

고등학교 화학II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 일반화학의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화학전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Chemistry II Courses in High School on Understanding Concepts of Electrochemistry in General Chemistry: Focusing on Chemical Cell)

  • 양혜란;이상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34-4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 화학II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 일반화학에서 전기화학 관련 개념을 이해하는데 미치는 영향과 개념 변화 유형을 알아보았다. 고등학교에서 화학II 이수 여부에 따라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화학전지의 구별, 전극의 구별, 그리고 전류의 생성과 흐름에 관한 개념의 이해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염다리의 역할, 표준 반쪽 전지의 필요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화학전지의 생성물과 전지 전위의 예측에서는 화학II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 그룹에서 일반화학 수강 후에 개념 이해의 향상이 크게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의 학습이 대학 일반화학에서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일반화학을 수강하더라도 몇 가지 관련 개념의 정확한 이해에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고등학교에서 미리 학습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한 적절한 보충 학습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메타버스(Metaverse)의 기독교적 이해와 적용: 메타버스의 특성을 중심으로 (The Christia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Focusing on the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 박건춘;봉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511-523
    • /
    • 2022
  •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 대한 적절한 기독교적 이해와 적용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의 일반적인 개념과 유형, 활용을 알아보고, 메타버스의 주요 특성들을 개념의 연관성 및 공통요소 등에 의해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찾은 메타버스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의 주안점은 첫째, 메타버스의 '초월적 세계관'이다. 이에 대한 적용은 기독교 세계관 재정비, 미래세대를 위한 기독교 메타버스 환경 조성 등이 있다. 둘째, 메타버스에 대한 '온·오프라인의 융·복합'적 이해이다. 교회, 예배, 선교에 대한 온·오프라인 통합적 이해, 메타버스의 선교적 수용 등은 그 적용이다. 셋째, 메타버스에 있어 '아바타의 기능 확장'이다. 이것은 인간의 정체성 확립, 공감 및 소통의 개념 확대, 기독교 윤리 및 경제관의 확장 등의 그 적용적 과제를 주고 있다. 메타버스의 기독교적 이해의 핵심은 세계관, 선교, 인간 이해이다.

생태미학과 폴드 개념이 적용된 패션디자인 표현특성 연구 (A Study on Fashion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lied to the concept of the Fold and Ecological Aesthetics)

  • 배정민
    • 복식
    • /
    • 제66권5호
    • /
    • pp.122-132
    • /
    • 2016
  • In today's society, being considered ecological in fashion design and having a cultural and humanistic approach is important. Using a technological approach, the fold concept was applie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modern fashion aesthetic design. The concept of 'Ecological Aesthetic Design', which we discuss in this study, is part of human nature, and the design concept is use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 and the environment to the design of Victor Papanek.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an ecosystem, the possibility of the fold's application to ecological aesthetic design can be summarized by wholeness, biodiversity, evolution, homeostasis, and circularity. The concept of the fold is revealed mainly through three types of characteristics: indeterminate complexity, potential continuity, and decentralized interaction relationshi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presented earlier, this study conducted a case review by distinguishing contemporary fashion that applied the complex, various, and indeterminate fold concepts into flexible transformation, continuity, and complementary circularity. This study was interpreted from the ecological aesthetic point of view based on the nature of the contingent folds presented before applying modern fashion concepts. It focused on the morphological side, and excluded the material aspects of the case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complex, diverse and content aspect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study of the research areas that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fashion phenomenonneeds to be encouraged, and there should be a new research category, which can contribute to the ecological aesthetic design concept conversion.

나눗셈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개념구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Primary Concept of Division upon the Concept Composition Process as to Division of Fraction for 3-rd grade Child Prodigies of Elementary Schools)

  • 김화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39-3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나눗셈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3명을 대상으로 분수의 나눗셈을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개념의 인지와 개념의 연결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구성을 하는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나눗셈의 1차적 개념으로 어떠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형성하여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이 스스로 형성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이용하여 문제 해결에 접근을 하는지,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나눗셈의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이 분수의 나눗셈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때, 나눗셈의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로 인해서 만들어지는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의 형성이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문제 해결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ontinuity of Care in Chronic Diseases: A Concept Analysis by Literature Review

  • Hu, Jingjing;Wang, Yuexia;Li, Xiaoxi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13-52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tilize concept analysis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ontinuity of care" in chronic diseases. Methods: The concept of continuity of care was analyzed using the Walker and Avant method. Covering literature in English from 1930 to 2018, the data sources included CINAHL Complete, Academic Search Complete, MEDLINE, PsyARTICLES, Health Source: Nursing/Academic Edition, Google Scholar, Science Direct, and the Cochrane Library. Results: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concept of continuity of care was developed based on a systematic search and synthesis. The key defining attributes were identified as (a) care over time, (b)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patient and a care team, (c) information transfer, (d) coordination, and (e) meeting changing needs. The antecedents of continuity of care were having a chronic disease, inexperienced with disease management, a poorly coordinated healthcare system, and medical care limitations. The consequences of continuity of care were decreasing hospital admissions, reducing costs, reducing emergency room visit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and delivering good healthcare. Conclusion: The thorough concept analysis provides insight into the nature of "continuity of care" in chronic diseases and also helps ground the concept in healthcare.

A Study on Receipt Caused by Spatial Transformation of Kitch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 Choi, Lee-Seoung;Kim, Hyung-Woo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0-272
    • /
    • 2008
  • The recent concept of kitchen is likely defined as "Kitchen Culture" including the function of living room where all families make a conversation as well as a dinner, and it is becoming another typ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viating from the stereotype as only cooking area. Particularly the comfortableness of living room is closely associated with a receipt function of kitchen, and the sort & dimension & size of furniture and diversity of shapes playa more meaningful role for improving our life standard & comfortableness compared with the past, nevertheless this receipt study is carelessly handled in the first phase of construction. This Study is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modern concept of kitchen where the open space concept is being introduced as more reasonable space concept, and on suggesting a solution for receipt-function of the modern kitchen concept connected with "L-D-K (Living room - Dining room- Kitchen)" space idea. In the Chapter 2 the concept of receipt and function of kitchen, the wide variety of kitchen utensils was checked up, and in the Chapter 3 the change of trends of kitchen area & receipt space was considered, and finally in the Chapter 4 the modern concept of kitchen was presented, by instancing overseas examples with receipt planning. As a consequence, the alternative of the receipt in the modern kitchen is to install an Ireland table or another type of receipt-available table (lower furniture) in the dead space between kitchen & living room for motivating smooth communication and convenient receipt, and that is the trend nowadays. Kitchen desires a rapid change. Through this kind of study it should be more researched that kitchen is not an independent space any more and lies in the mutual connection of L-D-K.

  • PDF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교사의 개념지식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oncept Knowledge on Inclusion Education)

  • 김정미;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7-27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개념도를 통해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지식을 알아보고, 교사유형(통합교육무경력 일반유아교사, 통합교육유경력 일반유아교사, 유아특수교사)에 따른 차이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 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도 작성을 실시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총 209개의 상위개념이 나타났으며 유사한 내용으로 범주화한 결과 13개의 대표용어(교육과정, 장애유아이해, 통합유형, 통합개념, 통합주체, 교수전략, 사회적상호작용 지원,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 개별화교육 지원, 교사협력, 교육환경, 행정 지원, 시설 지원)가 나타났다. 둘째, 총 1,585개의 종속개념이 나타났으며, 부분통합, 완전통합, 협력교수가 상위 빈도를 보였다. 셋째, 교사 유형에 따라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고찰한 결과 상위개념 및 종속개념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논의했다.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 노태희;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28-7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컴퓨터 보조 수업을 한 후의 개념 이해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한 후에 '분자의 운동'에 관한 개념 검사를 하였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는 인지적 특성들 중에서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정의적 특성 중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CAl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관한 인지적 특성들의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장의존-장독립성은 가장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자기 조절 능력과 심층적 학습 전략도 유의미한 예언 변인 이었다. 정의적 특성들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중학생들의 수학적 언어 수준 (Mathematical language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선희;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3-141
    • /
    • 2003
  • 본 연구는 Freudenthal의 언어 수준을 토대로 중학생들의 수학적 언어의 이해 수준과 사용수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하 개념에 대한 언어 이해 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것이었으며, 이 검사를 통해 학생들이 수학적 언어를 이해하는 것에 수준의 위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학생들이 수학 개념을 설명하면서 사용하는 언어의 수준은 수학적 언어를 이해하는 수준과 상관이 없었으며. 과제에 따라 정답에 기여하는 언어 사용 수준이 달랐다. 마지막으로 중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쉬운 언어는 수학적 대상에 이름을 붙인 지표를 일상언어의 관계로 설명되는 3 수준이었으며 이것은 언어 이해 수준, 언어 사용 수준과 상관이 없었다. 본 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 수준과 사용 수준이 다르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그에 맞게 수학 학습 지도를 해야 할 것이며, 수학적 언어를 자신 있게 사용 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과제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 PDF

만성 질환이 자아개념 (Self Concept)과 신체상(Body Image)에 미치는 영향 -천식 환아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nfluence of illness on Body Image and Self Concept -Specifically in Children with Asthma-)

  • 장효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0-90
    • /
    • 198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 chronic disease on body image, and to show that body image is directly related to one's self concept. Body image is the concept of one's own body based on present and past perception, and is elated to one's self concept. Body image is a dynamic concept constantly changing throughout the life cycle but it changes greatly in illness, surgery, and accident. The child with a chronic disease experiences pain and immobilization due to illness and he/she experiences a strange environment in the hospital. illness often brings feeling of frustration and loss of self-esteem. Therefor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body image of a child with a chronic disease(Asthma), with that of a normal healthy child,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and self concep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 children being treated for asthma at the allergy clinic of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patient group) and 44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Kwanak Ku Seoul (normal healthy group). For the measurement of the body image, the researcher used Secord & Jourard's Body Cathexis Scale, and another scale which was constructed after reading about Osgood'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e self concept, the researcher used Jacox & Stewart's Health Self Concept.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October 7th to October 27th, 1982.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e of Percentage, t-test, Chi-squar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That the chronically ill (Asthma) child will have a more negative body image than the normal healthy child.”was supported. 2. The second hypothesis,“The more negative the body image, the lower the self concept.”was also supported. 3. The researcher failed to obt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 the body image except in the case of the older child as compare to the younger Child having a mole positive body image (r=.2751, r=.2481, p<.05). However it was found that, 1) Boy's have a more positive body image than girls (Mean=〔37.81, 141.09〕,〔37.00, 126.54〕), 2) The child who has been hospitalized has a more negative body image than the child who has never been hospitalized (Mean=〔33.25, 122.45〕,〔35.68, 129.93〕). 3) The younger the child when the disease is discovered and diagnosed, the more negative the body image (Onset of illness: Mean=〔31.44, 117.33〕,〔34.00, 103.50〕, 〔35.75, 140.38〕,〔36.33, 130.00〕, Time of Diagnosis: Mean=〔29.00, 117.33〕,〔33.89, 115.00〕,〔33.36, 124.93〕,〔37.10, 139. 20〕). In conclusion the chronically ill(.Asthma) child has a more negative body image than the normal healthy child, and the more negative the body image the lower the self concept. Therefore the concept of body image i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influences of chronic disease on body' image and self concep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