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hension test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어 듣기 이해와 듣기 효능감, 듣기 전략, 듣기 불안, 듣기 노출 시간의 상관성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The Correlation among Korean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Listening Self-efficacy, Listening Strategy, Listening Comprehension Anxiety, and Listening Exposure Time for Thai Korean Learners)

  • 이해영;박지연
    • 한국어교육
    • /
    • 제28권3호
    • /
    • pp.85-10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self-efficacy, comprehension anxiety, and exposure time on 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In order to achieve our goal, listening examination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95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Thailand, studying Korean languag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one's listening ability was self-efficacy. In addition,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listening self-efficacy and other factors was examined, it was shown that there exis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Particularly, listening comprehension anxiety had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stening self-efficacy. Similarly, cognitive strategy demonstr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stening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other factors on listening scores such as the degree and types of strategy that students used were also studi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 most cases, strategy-intensive group's test results were influenced more by exposure time, while the less intensive group's scores were influenced more by their self-efficacy. Finally, after analyzing the effects of time spent on conversing with friends and watching Korean television on listening self-efficacy, it was discovered that both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listening self-efficacy. Through this study, such results can be integrated and applied to education in various way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is enhancing self-efficacy and in order to do so, the appropriate education methods should be used to reduce listening comprehension anxiety, stimulate strategy use, and increase listening exposure time.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Home and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 김길숙;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affect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were 213 pairs of children (aged 4-5) and their mothers, and 107 classrooms.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Rating Scale (Park & Kim, 2008),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bservation Scale (Kim, Kim, Im, & Lee, 2008) and the Children's Comprehension Ability Test (Jung & Kim, 2003)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wo-way ANOVA, partial correlations, Pearson correlations, hierarchical regressions. Our results indicated that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increases when both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are well resourced and supported.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hat parents spend as much time as possible reading books with their children and that teachers provide children with an amply resourced literacy environment together with appropriate activities in class geared towards story comprehension improvement.

S2-Net: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with SRU-based self-matching networks

  • Park, Cheoneum;Lee, Changki;Hong, Lynn;Hwang, Yigyu;Yoo, Taejoon;Jang, Jaeyong;Hong, Yunki;Bae, Kyung-Hoon;Kim, Hyun-Ki
    • ETRI Journal
    • /
    • 제41권3호
    • /
    • pp.371-382
    • /
    • 2019
  •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is the task of understanding a given context and finding the correct response in that context. A simple recurrent unit (SRU) is a model that solves the vanishing gradient problem i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using a neural gate, such as a gated recurrent unit (GRU) and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reover, it removes the previous hidden state from the input gate to improve the speed compared to GRU and LSTM. A self-matching network, used in R-Net, can have a similar effect to coreference resolution because the self-matching network can obtain context information of a similar meaning by calculating the attention weight for its own RNN sequence.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dataset for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and propose an $S^2-Net$ model that adds a self-matching layer to an encoder RNN using multilayer SRU.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2-Net$ model has performance of single 68.82% EM and 81.25% F1, and ensemble 70.81% EM, 82.48% F1 in the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test dataset, and has single 71.30% EM and 80.37% F1 and ensemble 73.29% EM and 81.54% F1 performance in the SQuAD dev dataset.

다양한 표상활동 중심 분수학습이 분수의 이해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Fraction Comprehension and Mathematical Attitude in Fraction Learning Centered on Various Representation Activities)

  • 안지선;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215-239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표상활동을 중심으로 한 분수학습이 분수의 이해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서울 소재 B초등학교 4학년 33명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활동적, 영상적, 상징적 표상활동으로 이루어진 분수학습을 6주간 15차시에 걸쳐 진행한 결과 관계적 이해에 도달한 학생들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분수 학업성취도 검사 I, II, III에서 평균 90점 가까이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수학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두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표상활동 중심의 분수학습은 학생들의 관계적 이해도와 분수 이해력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학습지향성, 자기통제, 흥미, 가치인식, 자신감을 높이며,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등의 수학적 태도면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Developing EFL Students'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ithin a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 Alsamadani, Hashem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145-152
    • /
    • 2022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on EFL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 study utiliz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consisted of 41 students enrolled in the English program at Umm Al-Qura University studying Reading in EFL course in Summer 2018/2019. The samp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21 students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20 students.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α≤ 0.01)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of the vocabulary test and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favoring the experimental group. Finally, the study concluded with a call for more studies on modern technologies in teaching EFL skills in the Saudi context.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음운인출과 음운기억 능력 (Phonological retrieval and phonological memory skills in children with dyslexia and poor comprehension)

  • 윤효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83-90
    • /
    • 2024
  • 본 연구는 초등 2-3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음운인출과 음운기억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난독증 아동 17명, 읽기이해부진 아동 17명, 일반 아동 24명이 참여하였다. 난독증 아동은 표준화된 읽기검사의 단어해독 검사에서 표준점수 85점 이하인 아동으로 선정하였으며,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단어해독 검사에서는 표준점수 90점 이상이며 읽기이해 검사에서는 표준점수 85점 이하인 아동, 그리고 일반 아동은 단어해독과 읽기이해 검사 모두에서 표준점수 90점 이상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음운인출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비단어 따라말하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난독증 아동은 빠른 이름대기와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다른 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행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집단 별로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난독증 아동 집단에서는 빠른 이름대기 능력이 해독 및 읽기이해와 통계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빠른 이름대기 능력이 해독 및 읽기이해와 관련이 있었으며, 비단어 따라말하기는 읽기이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읽기이해부진 집단에서는 변인들간에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난독증 아동은 읽기 발달의 토대가 되는 음운인출과 음운기억에서 어려움이 있는 반면,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음운처리 기술에서는 결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독증 아동의 단어해독 어려움은 음운처리 결함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텍스트 유형과 작업기억이 읽기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 아동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 Types and Working Memory on Text Comprehension in Reading Normal and Reading Deficient Children)

  • 도경수;이은주
    • 인지과학
    • /
    • 제17권3호
    • /
    • pp.191-206
    • /
    • 2006
  • 언어 작업기억과 시공간 작업기억이 아동의 글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읽기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아동들에게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정상 아동에 비해 읽기 지진 아동들이 읽기 폭과 연산 폭은 작았으나 시공간 폭은 작지 않았다. 또 정상아동은 설명글과 묘사글의 이해 정도의 차이가 없었지만, 읽기 지진 아동들은 묘사글보다 설명글의 이해 정도가 낮았다. 실험 2에서는 청각 기억과제와 시각 기억과제가 글 이해에 미치는 간섭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상 아동들은 설명글과 묘사글 모두에서 시각 기억과제를 할 때보다 청각 기억과제를 할 때 이해 정도가 떨어졌으나, 읽기 지진 아동들은 묘사글을 읽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시각 기억과제 조건에서 글 이해정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는 글을 읽을 때, 특히 묘사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도 관여할 수 있으며, 이 가능성은 정상아동에게서 보다 읽기 지진 아동에게서 더 클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 환자 선별에서의 작업기억 능력 관련 구어유창성 및 이야기이해 능력의 차이 (Differences in Verbal Fluencies and Discourse Comprehension Abilities associated with Working Memory in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 여한결;김충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83-390
    • /
    • 2020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구어유창성과 이야기이해 과제 수행능력의 차이 및 작업기억 처리수준과의 상관 그리고 언어능력 관련 요인선별을 위해 시행되었다. 전반적인 인지능력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각기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구어유창성 내 음소유창성 및 이야기이해 그리고 작업기억 하위과제인 지연회상과 재인과제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수행능력의 차이를 보였다. 상관 및 회귀분석에서는 알츠하이머 그룹이 작업기억 내역행 숫자기억 과제와 이야기이해 과제에서만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혈관성 치매 그룹은 추가적으로 재인 점수에서도 이야기이해 능력과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회귀분석에서는 혈관성 치매 그룹에서만 언어적 작업기억 능력이 이야기이해 능력의 예측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유형의 치매를 구분하는 데 있어 음소유창성 과제 외에 이야기이해 및 작업기억 과제가 유의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는데, 이를 통해 두 유형의 치매에 대한 분류기준을 제고함은 물론 적절한 치료계획 및 효율적인 중재에 부가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동화 내용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문해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n Literacy Development of Teacher-Child Discussion about the Contents of Storybooks)

  • 민옥진;이윤경
    • 아동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3-175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n children's literacy of teacher-child discussion about the contents of storybooks. The subjects were 10 experimental and 10 control 5-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in Cheongju. The experimental design was the Split Plot design.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for pre- and post-tests were the Vocabulary Decoding Competence Test(Lee, 1998), Writing Competence Test(Lee & Lee, 1990), Story Comprehension Competence Test(Lee, 1998; Morrow, 1990), and the Emergent Reading Ability Judgements for Favorite Storybooks(Sulzby, 1985). Data were analyzed b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child discussions about the contents of storybook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children's competence in decoding vocabulary, writing, and story comprehension but not for improving emergent reading ability.

  • PDF

사고력 시험으로서의 법학적성시험 (LEET as a Reasoning Test)

  • 민찬홍
    • 논리연구
    • /
    • 제16권2호
    • /
    • pp.273-293
    • /
    • 2013
  • 지난 5년간 시행되어 온 법학적성시험의 개발 과정 및 초기 구상을 설명하고, "언어이해", "추리논증", "논술" 시험의 기출 문항을 내용 영역별, 인지활동 영역별로 분류하고 주요 특징을 기술하고, 문제점을 지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