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ition ecology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5초

올챙고랭이(Scirpus juncoides)를 중심으로 한 주요(主要) 논 잡초종(雜草種)의 벼 경합생태적(競合生態的) 분류(分類) (Competition - Ec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Prominent Paddy Weed Species around Bulrush(Scirpus juncoides))

  • 구자옥;허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6-102
    • /
    • 1985
  • 최근에 발생빈도가 늘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올챙고랭이를 중심으로 하여 논에 빈발하는 10개 잡초종의 경합생태적 특성을 정리 분류할 목적(目的)으로 단식(單植)과 벼 입묘하(立苗下)에 공시하였다. 분류 및 해석은 공시잡초종의 공간경합성과 양분경합성, 이들 잡초종에 대한 벼의 공간경합성과 양분경합성 및 수량성 반응을 기초로 하는 Singk-link-cluster 법(法)에 의하였다. 1. 잡초종들의 생장특성은 단식(單植)과 입묘하(立苗下)에서 대체로 유사한 경향(r= $0.969^{**}$) 이었으며 공간점유성이 큰 초종(草種)(피 * 여뀌바는 등)이 영양수탈력도 큰편이었으나(r=$0.712^*$), 벼의 종간경합으로 인한 생육억제율은 오히려 커지는 경향이었다(r-0.513). 2. 잡초의 종내 및 종간경합성에 의한 분류결과는 피 여뀌바늘 너도방동산이 및 매자기가 한 무리, 올망개 올챙고랭이가 한 우리, 그러고 골풀과 가래가 다른 우리를 이루는 경향이었다. 3. 잡초에 대한 벼의 종간경합성과 수량반응을 기초로 분류한 결과는 바람하늘직이 올챙고랭이 올망개 매자기 및 골풀이 한 무리로, 그러고 여뀌 바늘과 가래 및 물달개비가 다른 우리로 나타났다. 4 잡초 및 벼의 종간경합에 따른 경합성을 종합적으로 분류한 결과, 생장특성은 크나 벼 경합력은 낮은 바람하늘직이 올챙고랭이 올방개 골풀이 제 I 군, 모두가 큰 너도방동산이 피 가래 여뀌바늘이 제 II군, 생장특성은 작아도 경합력은 큰 물달개비와 매자기가 제 III군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 PDF

명아주(Chenopodium album)와 바랭이( Digitaria sanguinalis)의 경쟁이 에너지 분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nergy Allocation on Competition of Chenopodium album and Digitaria sanguinalis)

  • Park, Bong-Kyu;Kim, Ok-Ky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1호
    • /
    • pp.73-78
    • /
    • 1986
  • The effects of density and soil nutrient regime on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in pure and mixed populations of two annuals. Chenopodium album and Digitaria sanguinalis were investigated at the level of enegy allocation. Seedling emergence of two species was extremely high (>90%) in both pure and mixed culture irrespective of the density and nutrient regime, but percentage of seedling establishment or fertile plant became gradually low with increasing density owing to 'self-thinning'. The mean plant dry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increasing density and decreasing soil fertility. The dry matter production of D. sanguinalis in mixture was markedly greater than in pure culture under medium and high density. Also, as considered the number of seed production as reproductive al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number of seed production per plant showed a similar tendency.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 sanguinalis had a greater competitive advantage than C. album and energy allocations to variious organs were regulated by plastic response rather than determined genetically.

  • PDF

Precopulatory Mate Guarding, Mating System and Pairing Parental Care in Hyale rubra (Peracarida; Amphipoda; Gammaridae)

  • Kim, S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1호
    • /
    • pp.17-21
    • /
    • 2008
  • Mating behaviour of the gammarid amphipod, Hyale rubra, was observed. H. rubra displayed precopulatory mate guarding: males clasped females with their gnathopods during copulation, forming a pair. Males also participated in embryo care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The population was small, and the sex ratio was almost equal. Energy allocation for mating effort and parental effort in the two sexes appear to be almost equal. The mating system was sequentially polygamous (or promiscuous) and there was conspicuous sexual dimorphism in the size of the gnathopod, which was used for mate guarding. However, there appears to be relatively weak sexual competition for mating opportunities despite conspicuous sexual dimorphism. H. rubra did not display territorial competition or external fertilization. Nevertheless, the male provided paternal care. Since H. rubra inhabit tide pools and live on algae, the polygamous mating system of the species can be explained by the polygyny threshold model. The evolution of mate guarding and parental care may have been favored by the species' low population density and harsh environments, an interpretation consistent with the optimality model.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의 산란행동 (Spawning Behavior of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 in Korea)

  • 박종성;윤승운;김재구;김현태;박철우;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4
    • /
    • 2021
  • 멸종위기 담수어류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산란시기인 2012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 임실군의 섬진강 일대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래주사의 산란은 무리산란 (group spawning)하는 어류와 달리 암수 한 쌍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수중으로 대량의 생식세포를 방출하여 산란하는 원시적인 생식모드 (broadcast spawner)로 확인되었다. 자연에서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은 휴식(resting), 유혹(male chase), 자극(body beating), 평행유영(parallel swim), 암컷의 산란회피(female withdrawal), 경쟁(male competition), 산란(spawning), 산란 후 난을 보호하는 행동은 보이지 않아(not guard) 총 8가지 행동을 보인 반면 수조 내에서는 휴식, 유혹, 자극, 평행유영, 산란, 산란 후 난을 보호하지 않은 6가지 행동이 관찰되었다. 특히 산란전 행동은 수조 내에서 보다 자연상태에서 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와 같은 행동적 차이는 작고 좁은 수조에서의 행동적 제약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논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미의 경합생태(競合生態)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Competition Ecology of a Perennial Weed Sagittaria pygmaea Miquel in Paddy Field)

  • 이한규;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4-121
    • /
    • 1982
  • 매년(每年) 발생량(發生量)이 증가(增加)되고 분포면적(分布面積)이 확대(擴大)되어 수도(水稻)에 많은 피해(被害)를 주고 있는 논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미의 괴경형성(塊莖形成)에 미치는 요인(要因)과 경합생태(鏡合生態)를 구명(究明)하고자 시험(試驗)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果을 얻었다. 1. 성묘이앙답(成苗移秧畓)에서보다 추묘기계이앙답(推苗機械移秧畓)에서 올미의 발생량(發生量)과 괴경형성량(塊莖形成量)이 많았다. 2 수도(水稻)가 올미에 의해서 경합(競合)이 가장 심(甚)했던 시기(時期)는 이앙후(移秧後) 31일(日)부터 37일(日)까지였다. 3. 올미와 수도(水稻)가 경합(競合)하는 조건(條件)에서 쇠털골의 증가(增加)에 따라 올미수(數)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4. 크기가 작은 괴경(塊莖)은 토심(土深)이 깊었을 경우 큰 괴경(塊莖)에 비하여 신괴경형성량(新塊莖形成量)이 현저(顯著)히 적었다. 5. 올미는 이식밀도(移植密度)를 높여감에 따라 종내경합도(種內競合度)가 점증(漸增)되었다. 6. 높은 시비수준(施肥水準)에서 올미(數),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의 증가(增加)가 현저(顯著)하였다. 7. 수도재배조건(水稻栽培條件)에서 올미개체당(個體當) 3~4개(個)의 괴경(塊莖)을 형성(形成)하였다. 8. 올미의 괴경형성(塊莖形成)에는 질소(窒素) 또는 인산(燐酸)이 가리(加里)보다 더 많이 관여(關與)하였다. 9.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2.0% 이상(以上)에서는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의 증가폭(增加幅)이 적었다. 10. 토양수분(土壤水分) 100% 조건(條件)에서 올미괴경(塊莖)은 담수조건(湛水條件)과 대등(對等)한 괴경(塊莖)의 출아율(出芽率) 및 출아일수(出芽日數)를 보였으나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에서 50% 정도(程度) 감소(減少)되었다.

  • PDF

기후변화와 인간의 방해 및 종간경쟁이 두루미 월동생태와 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ather change, human disturbance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on life-history and migration of wintering Red-crowned cranes)

  • 홍미진;이후승;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81-692
    • /
    • 2015
  • 월동기간 동안 월동조류의 생리 및 영양학적 상태는 이후 번식지로의 이동성공과 번식성공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환경적 요인들이 월동기간 동안 어떻게 몸 상태에 영향을 주어 장기적으로 이동과 번식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월동기간 동안 온도변화와 월동지에서의 인간 활동에 따른 방해가 개체수준에서의 월동하는 조류의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과 번식지로의 이동 및 잠재적 번식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적상태의존 월동 생활사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에 사용된 지수는 월동개체군에 대한 연구가 잘 수행되어 있는 철원의 두루미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델은 온도 변화나 인간의 방해요인의 영향이 생존과 번식지로의 이동을 위한 에너지 축적 그리고 누적된 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자원 분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월동지에 도래한 두루미 몸무게의 회복률은 기온변화가 적고 방해요인의 영향이 낮을수록 빨랐으며, 체내의 누적 스트레스는 기온변화가 크고 방해요인의 영향이 높을수록 회복속도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월동지의 취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의 밀도가 높을수록 두루미의 몸무게 회복률이 낮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끝으로 모델의 예측된 결과를 통해 월동지에서의 월동조류 보전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탄소, 질소, 인 및 살균제가 고도로 풍화된 토양의 인 흡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n, Nitrogen, Phosphorus, and Biocides on Phosphorus Adsorption in Highly Weathered Soils)

  • Lee, Do-won;Carl F. Jord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425-434
    • /
    • 1994
  • After two highly weathered soils were treated with glucose, ammonium nitrate,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and biocides, and incubated for 4 or 6 weeks, adsorption tes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ir effect on P adsorption. Glucose addition generally decreased P adsorption. The addition stimulated microbial activity, which might contribure to the reduced adsorption, probably through chelation and anion competition. Consistent endency was not observed with N treatment. Addition of P initially decreased P adsorption, probably through blockage of adsorption sites. Biocides generally decreased adsorption, probably because the microbes that 몬 been killed. Soil 1 with naturally lower levels of C and higher levels of aluminium adsorbed more P than soil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highly weathered soils, which are low in available P and high in exchangeable Al, cultivation techniques which increase soil organic matter will also result in higher levels of plant-available P.

  • PDF

한국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서식지 이용 패턴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for Using the Habitat Pattern Between the Korean Endangered Species, Mauremys reevesii, and the Exotic Species, Trachemys scripta elegans)

  • 조신일;나수미;안치경;김현정;정유정;임양묵;김선두;송재영;이훈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7-40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패턴을 확인하고 종간 상호 경쟁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 8월 2일부터 2011년 1월 30일까지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 계곡 상류지역에 위치한 정수역인 금붕어광장 연못에서 수행되었다. 서울동물원에서 인공증식한 남생이 3개체와 국내의 연못과 저수지에 서식하고 있던 붉은귀거북 3개체를 포획하여 위치추적발신기를 부착한 후 방사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방사된 개체들의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반경을 측정하였고, 금붕어광장 연못의 온 습도 및 수온, 지온 등 환경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남생이와 붉은귀거북은 제한된 일광욕 장소, 먹이자원 이용, 동면지 등 여러 측면에서 중복된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호 경쟁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적 몸집이 작은 남생이가 몸집이 큰 붉은귀거북에게 경쟁에서 밀려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생이가 서식하고 있는 원서식지에 붉은귀거북의 이입을 통한 종간, 개체간의 행동권과 먹이경쟁, 서식지 이용 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남생이 복원사업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서울시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에 따른 관리방안 연구 (Management Plan to Consider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Seoul)

  • 이수동;이경재;최진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8-271
    • /
    • 2009
  • 외부환경 변화와 천이의 영향으로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서울시 소나무림의 식생환경을 개선하고자 교목층 우점종의 경쟁관계, 하층식생내 경쟁종 출현 유무, 관리정도 등에 근거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생태적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서울시 소나무림을 생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소나무순림에 속하는 토지극상림(26.1%)과 소나무순림(21.5%), 소나무와 타 수종이 경쟁하는 소나무-신갈나무림(28.0%), 소나무-리기다소나무림(13.1%), 소나무-상수리나무림(4.2%)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유형에 대한 정밀한 식생조사 결과, 토지극상, 답압피해, 식생관리로 인해 교목층과 하층에 경쟁종이 출현하지 않아 소나무림 유지가 가능한 4개 군집은 하층식생 보완 등 소극적인 관리가 필요하였다. 반면 교목층과 하층에 소나무와 경쟁수종인 낙엽성 참나무류와 외래종이 출현하는 4개 군집은 생태적 지위가 동일한 경쟁종관리, 하층식생 도입 등 적극적인 관리기법을 적용해야 소나무군집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강릉 남대천에서 소상하는 연어(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분포와 행동 특성 (Distribut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Namdae Stream, Korea)

  • 김범식;정용우;김우보;홍성익;이충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861-868
    • /
    • 2022
  • The Namdae stream in Gangneung-si is one of the rivers where salmon stock is mainly maintained by natural spawning rather than artificial seedlings. There are structures including weir, and fish distribution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can be different by these structur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almon by sighting survey within 12 km immediately upstream of the river mouth between October 2021 and February 2022. As a result, salmon distributed within 9 km from rivermouth. There were more salmon in the lower reaches of Doosan weir than in the upper reaches of that. The main spawning ground for salmon was between 7-9 km from rivermouth and around the lower part of Doosan weir. Salmon behaved for spawning in the gravel-bed area and undercut slope of the mainstream, such as mating, digging the riverbed, and competition among males. Salmon moved more slowly in the gravel-bed area than sand-bed area. Doosan weir hinders the spawning migration of salmon by frequent flow changes and terraced fishway. This study provides primary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nges of salmon by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Namdae 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