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ison of cultivars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8초

품종 간 고구마 흰비단병(Sclerotium rolfsii) 발생 정도 비교 (The Comparison of Resistance of Sweet Potato Cultivars to Sclerotium Rot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김신철;김주희;정성수;최규환;이왕휴;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126-128
    • /
    • 2014
  • 고구마 흰비단병 증상에서 분리한 병원균을 이용하여 고구마 품종간 발생차이를 비교하였다. 병원균 접종 후 고구마는 지제부가 수침상으로 변하며 고구마 묘가 꺾여 고사하였다. 병반부위에 흰색균사가 솜털처럼 발생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색을 띤 구형의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으며, 흰비단병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고구마 16품종에 대한 흰비단병 저항성을 비교한 결과 품종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대유미와 바이오미에서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며 신자미, 신건미, 홍미, 연자미와 신형 3호 등 5종에서 감수성을 보였다.

일계성 딸기 과실의 부위에 따른 바이오 활성 화합물 함량 비교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Contents in Different Fruit Tissues of June-bearing Strawberry Cultivars)

  • 김성겸;배로나;황현승;김무정;성혜령;전창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48-953
    • /
    • 2010
  • '매향', '설향', '금향', '아키히메'와 '레드펄' 딸기 과실 부위에서 환원당, 유기산, 아스코르빈산, 안토시아닌 및 엘라직산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환원당, 유기산, 아스코르빈산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딸기 표피에서 다른 부위의 함량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엘라직산의 함량은 딸기 수과에서 높았다. '매향' 딸기의 표피 및 과육에서 아스코르빈산 함량은 각각 69.2와 $42.2mg{\cdot}100g^{-1}$ FW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금향' 딸기의 표피 및 수과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74.0mg{\cdot}100g^{-1}$ FW과 $36.7mg{\cdot}100g^{-1}$ DW으로 타 품종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설향' 딸기 수과에서 엘라직산의 함량은 $215.5mg{\cdot}100g^{-1}$ DW로 타 품종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딸기 과실의 부위에 따라 바이오 활성 화합물들의 함량은 크게 차이가 있었으며 '매향', '설향' 및 '금향' 딸기 품종은 바이오 활성 화합물들의 함량이 높아 소비자들에게는 고품질 딸기로 인식될 수 있어 국내 육성 품종 딸기의 보급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기초적 결과들은 딸기 가공 분야 및 영양학 연구 분야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고산지역에서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품종 생육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Cultivars at Mountain Area)

  • 정준기;이종민;김기동;이정호;주영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83-291
    • /
    • 2013
  • 고산지역 기후 환경에서 크리핑 벤트그래스품종의 생육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그린과 페어웨이조건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경기중부, 영서시내, 영서 고산지대의 기후환경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고도에 따른 기후의 차이가 위도에 따른 지역 차이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서산악지대에 USGA 방식의 그린용 지반과 캘리포니아식의 페어웨이 지반의 시험포장을 조성한 후 5가지 종류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품종을 파종하여 두 지반에 따라 깎는 높이를 달리하여 3년간 생육기간의 품종별 생육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봄철 그린 업 측정한 결과 'T-1'과 'CY-2'는 타 품종들 보다 좀 그린업이 빨랐으나 'Penncross'는 그린업이 가장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과 페어웨이 예고환경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기간 중 'T-1' 품종이 전반적인 시각적 품질평가 결과와 전반적인 뿌리길이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하절기에는 'Penncross'의 뿌리 길이와 건중량이 높았고, 'Penn A-1' 품종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페어웨이에서도 그린조건에서와 같이 'T-1', 'CY-2' 품종이 엽색, 피복도, 뿌리길이 등 양호한 생육특성을 보였다.

봄철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품종별 특성비교 (Comparison of Sp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Creeping Bentgrass(Agrogtis palustris Huds.) Cultivars)

  • 이형석;홍범석;김경덕;태현숙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5-161
    • /
    • 2007
  • 본 연구는 봄철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품종별 생육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그린업 조사결과, CY-2와 T-1의 초기 그린업이 가장 빨랐으며 이는 다른 품종들보다 2주정도 빨리 진행된 것으로 나타나 봄철 그린업 속도에 따른 품종별 별도의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 나머지 품종들의 그린업은 Penn A-4, Crenshaw, L-93 > 2 Penncross > Putter > Dominant > SR1020 순으로 조사되었다. 클로로필 함량은 T-1과 CY-2가 가장 높았고, Penncross는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잔디 밀도가 가장 높았던 품종은 Crenshaw, Penn A-4이고, 다음으로 CY-2, L-93, T-1, Putter, Dominant, SR1020, Penncross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봄철 뿌리생육이 가장 우수한 품종은 CY-2와 L-93이었고, 가장 불량한 품종은 Penncross였다. 시각적 품질은 CY-2가 가장 좋았으며, T-1과 Crenshaw도 우수한 품종으로 분류되었다. SR1020, Dominant 및 Penncross의 시각적 품질은 낮았으나 잔디생육이 활발한 6월에 접어들면서 품종별 차이는 없어졌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봄철 생육이 가장 우수한 품종은 CY-2, T-1, Crenshaw이었으며, 가장 불량하였던 품종은 SR1020, Penncross였다. 조사된 다양한 결과들은 많은 골프장 그린의 품종 선택과 초기 관리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잔디병과 답압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항목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재배방법에 따른 아스파라거스 4 품종의 생장과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Four Asparagus Cultivars by Cultural Method)

  • 김호철;허북구;배종향;이승엽;강동현;유찬석;김동억;최이진;구양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5-503
    • /
    • 2016
  • 본 연구는 아스파라거스 4 품종을 이용하여 하우스 및 노지 재배에 따른 생장 특성과 생리활성 물질을 조사하여 국내 노지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스파라거스의 지상부 줄기 개수, 눈의 개수, 뿌리의 개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 및 전체 건물중은 하우스 재배에서 노지 재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품종간에는 노지 재배에서 Jersey Giant가 다른 품종들보다 지상부 줄기 개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하우스 재배에서 Jersey Supreme의 눈의 개수는 다른 품종들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재배 방법에 따라 유의성이 나타내지 않았지만, Jersey Giant에서 다른 품종들보다 더 높았다. 하우스에서 재배된 아스파라거스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노지 재배보다 높았다. Jersey Giant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하우스 재배에서 다른 품종 간에는 가장 높았다. Catalase (CAT) 및 Peroxidase (POX) 활성은 재배 방법과 품종 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Ascorbate peroxidase (APX) 활성은 노지 재배에서 하우스 재배보다 더 높았고, 품종별로는 UC15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아스파라거스 하우스 재배 방법은 식물의 생장 특성과 생리활성 측면에서 노지 재배보다 증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고 또한 각각 재배 방법은 적합한 아스파라거스 품종 선발, 다 수확 및 생리활성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Occurrence of Stolbur Phytoplasma Disease in Spreading Type Petunia hybrida Cultivars in Korea

  • Chung, Bong Nam;Jeong, Myeong Il;Choi, Seung Kook;Joa, Jae Ho;Choi, Kyeong San;Choi, In Mye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465-470
    • /
    • 2013
  • In January 2012, spreading type petunia cv. Wave Pink plants showing an abnormal growth habit of sprouting unusual multiple plantlets from the lateral buds were collected from a greenhouse in Gwacheo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presence of phytoplasma was investigated using PCR with the primer pairs P1/P6, and R16F1/R1 for nested-PCR. In the nested PCR, 1,096 bp PCR products were obtained, and through sequencing 12 Pet-Stol isolates were identified. Comparison of the nucleotide sequences of 16S rRNA gene of the 12 Pet-Stol isolates with other phytoplasmas belonging to aster yellows or Stolbur showed that Pet-Stol isolates were members of Stolbur. The presence of phytoplasma in petunia was also confirm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pathogens. In this study, Stolbur phytoplasma was identified from spreading type petunia cultivars by sequence analysis of 16S rRNA gene of phytoplasma and microscopic observation of phytoplasma bodi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tolbur phytoplasma in commercial Petunia hybrida cultivars.

Comparison of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in Petiole Explant Cultures of 20 Cultivars of Catharanthus roseus

  • Lee, Soo-Young;Park, Pil-Son;Chung, Hwa-Jee;In, Dong-Soo;Park, Dong-Woog;Jang R. Liu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59-61
    • /
    • 2003
  • Petiole explants from 20 cultivars of Catharanthus roseus were cultured on various shoot-inducing media to assess their competence for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After eight weeks of culture on Murashige and Skoog' s medium supplemented with 4.4 $\mu\textrm{m}$6-benzyladenine and 0.5 $\mu\textrm{m}$ $\alpha$-naphthaleneacetic acid, petiole explants from 'Cooler Icy Pink' exhibited the greatest frequency of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at 40%, which was followed by 'Little Bright Eye'. By comparing with a previous study on assessment of competence for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in hypocotyl explant cultures of various cultures, it is indicated that the relative degree of their competence among cultivars varies to the organ used for the source of explant. Excised adventitious shoots were readily rooted on half-strength MS basal medium. Regenerated plantlets were successfully transplanted to potting soil and grown to maturity in a greenhouse.

Comparison of Endophytic Microbial Community in Kiwifruit Plant Cultivars

  • Cho, Gyeongjun;Kim, Min-jung;Kwon, Youngho;Kwak, Youn-Si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341-346
    • /
    • 2018
  • The microbiome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lant health and endophytes may generate positive effects for the host. However, there is a limited knowledge available concerning the kiwifruit endophyte. Therefore, we discuss endophyte microbiome community structures among the kiwifruit cultivars. Total reads numbered 17620 in cv. Hayward, 11515 in cv. Haegeum and 13613 in cv. Jecygold. The number of OTUs was follows: 112 in cv. Hageum; and 87 in cvs. Hayward and Jecygold. Most of the identified OTUs were phylum Proteobacteria and it emerged that Actinobacteria, Firmicute and Bacteroidetes were mainly present. While the largest difference in Proteobacteria content is between cv. Haegeum and cv. Jecygold, they shared more OTUs than cv. Hayward. As well, this study revealed the presence of remarkably dominated OTU of Pseudomonas spp. in kiwifruit sap regardless of cultivar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one to investigate the kiwifruit endophyte-microbiome community.

헤어리 베치의 품종별 생육 특성과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ies of Hairy Vetch (Vicia villosa) Varieties)

  • 이종경;임근발;김기용;최기준;성병렬;서성;지희정;최연식;신정남;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49-256
    • /
    • 2007
  • 본 연구는 2005년과 2006년 축산과학원 2개 지역의 시험포장에서 각각 수행되었다. 1년차는 수원(중부)과 남원(남부)에서 2년차는 천안(중부)과 남원(남부)에서 수행되었으며 공시 품종은 헤어리 베치 11품종 도입품종 9품종(Penn-02, Sander, Latigo, Welta, Ostsaat, VV4712, Minnie, Barlosa 및 Capello), 국내품종 2품종(Cold green과 Cheong pa)를 이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품종을 개화시기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도입품종 Minnie, Barlosa, Capello 및 국내 품종 Cold green이 조생종이었고, 도입 품종 Penn-02, Sander, Latigo, Welta, Ostsaat, VV4712 및 국내품종 Cheong pa는 중만생종에 속하였다. 월동상태는 조생종 Minnie, Barlosa 및 Capello를 제외하고 대부분 우수하였다. 2년간 시험한 결과 11개 품종중 VV4712가 가장 수량이 높은 품종이었다. 그리고 중부지방에서는 중만생종의 수량이 남부지방에서는 조생종의 수량이 많았다. 두 지역에서 국내 육성품종인 중만생종 Cheong pa는 도입품종들에 비하여 뒤떨어지지 않았고 조생종 Cold green은 도입 품종들에 비하여 생육과 수량이 우수하였다. 헤어리 베치의 NDF, ADF, IVDMD 및 CP 등 사료가치는 조생종보다 중만생종이 좋았고, 그 중에서 NDF는 중만생종 Latigo, ADF는 중만생종 Welta, 소화율과 조단백질 함량은 중만생종 Sander가 가장 좋았다. 이 시험의 결과 헤어리 베치중 VV4712 품종의 생산성이 가장 높았고 국내 육성품종인 Cheong pa와 Cold green은 유망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삽주 육성품종 간 생육특성 및 유효성분 분석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Active Ingredients in Atractylodes Inter-Specific Hybrid Cultivars)

  • 정진태;이희정;이정훈;홍충의;이윤지;정양선;이대영;이승은;장재기;하보근;박춘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0-226
    • /
    • 2018
  • Background: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belong to the family (Asteraceae). Their rhizomes, called white Atractylodes rhizomes, are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address some issues with their cultivation, we recently developed eight hybrid cultivars by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A. japonica and A. macrocephal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the hybrid cultivars that have high amounts of active ingredients and yield ability. Methods and Results: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eight hybrid cultivars and A. macrocephala (control cultivar) in the experimental field of the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located in Eumseong, South Korea. We investig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Among the cultivars, 'Sanwon' had the highest rhizome dry weight (53.8 g/plant), followed by 'Dachul' (50.0 g/plant). In addition, the content of atractylenolide I, II, III and total active ingredients were investigat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mpared with A. macrocephala, most of the inter-specific hybrid cultivars had a higher content of active ingredients and yield ability. Conclusions: Through study, we established the superior quality of Atractylodes inter-specific hybrid cultivars. In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Dachul' may be grown as a superior cultivar, with high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as well as yield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