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ison of cultivars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2초

톱밥배지에서 재배된 표고버섯 품종별 이화학적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Lentinula edodes cultivars cultivated in sawdust medium)

  • 최지연;김민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4-190
    • /
    • 2021
  • 표고버섯은 톱밥배지 재배기술의 발달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식용되는 버섯이며, 톱밥배지를 이용하여 재배된 표고버섯의 생산량이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톱밥재배 표고버섯의 품종별 식품학적 차이를 비교하고자 동일 조건에서 재배된 산조701호, 산조707호, 산조 715호, 참아람, L808 총 5품종 표고버섯의 일반성분,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동결건조된 표고버섯의 일반성분 함량은 회분 4.06~5.92 g/100 g, 조지방 0.75~1.02 g/100 g으로 품종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조단백질은 21.24~29.15 g/100 g으로 품종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Trehalose는 산조701호에서 9.60±0.08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총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aspartic acid>leucine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유의적 차이를 보인 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산조707호, 산조715호, 산조701호, 참아람, L808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산조715호가 3.49±0.04 mg GAE/g, 1.33±0.03 mg Q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품종들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같은 톱밥배지와 환경에서 재배된 표고버섯 5 품종간의 유의적 차이가 확인된 성분은 조단백질, trehalose, 6종의 아미노산이었다. 하지만 한 곳의 임가에서 재배된 표고버섯 품종간의 비교 결과로, 품종별 시료 수를 확대한 추가실험을 통하여 품종간의 구별 가능성을 더욱 세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콩의 종자크기, 온도 및 GA처리가 하배축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ize, Temperature and GA Treatment on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

  • 이성춘;서홍일;김진호;최경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8-77
    • /
    • 1992
  • 대두재배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주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출아ㆍ입묘에 대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한국 대두 장려 품종들에 대한 하배축신장성 및 출아에 대한 조사를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배축신장은 파종 후 3.0-3.5일 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하배축신장성이 '양호'한 품종은 은하콩, 장경콩, 보광콩, 등 3품종이었고, '중' 품종은 남해콩, 단경콩, 단엽콩, 밀양콩, 덕유콩, 팔달콩, 망운조생, 남해콩, 새알콩, 등 9품종 이었고 '불량'했던 품종은 광교, 백운콩, 장백콩 등 3품종이었다. 2. 같은 품종에 있어서 종자크기별 하배축신장은 종자크기와는 반대로서 소립, 중립 및 대립 순으로 종자크기가 작을수록 오히려 하배축신장이 양호하였다. 3. 100입중과 하배축신장성과의 관계는 r=-0. 2506$^{**}$ 으로 100입중이 클수록 하배축신장성은 오히려 저조하였다. 4.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은 양호하였고, 낮을수록 저조하였는데 우리나라 대두의 하배축신장에는 30-35$^{\circ}C$가 적온이었다. 또한 처리온도 $25^{\circ}C$에서 특이하게 하배축신장이 억제되었던 품종은 발견할 수 없었다. 5. G $A_3$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을 촉진하였고, ABA, Kinetin및 BA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을 억제하여 서로 상반되는 .반응을 보였는데 그 정도는 하배축신장이 큰 품종에 비해 작은 품종에서 뚜렷하였다. 6. 습윤ㆍ고온처리에 의한 종자노후화 정도는 하배축신장이 양호하였던 품종이 불량하였던 품종보다 노후화 속도가 느려 습윤ㆍ고온처리를 하였을 때도 하배축신장이 뚜렷하게 컸다.

  • PDF

고온조건하에서 코이어 배지에서 유럽형 가지 품종별 수분소비량, 식물체 생육 및 과실 특성 비교 (Comparison in Water Consumption, Plant and Fruit Growth of Different Europe Eggplant Cultivars in Coir Substrate Hydroponic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 윤서아;김정만;최은영;최기영;최경이;남기정;오석귀;배종향;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47
    • /
    • 2023
  • 본 연구는 고온기 온실 환경에 적합한 가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유럽형 가지 'Bartok(BA)', 'Bowie(BO)', 'Black Pearl(BP)', 'Ishbilia(I)', 'Mabel(M)', 'Vestale(VE)', 'Velia(VL)' 7품종을 고온 다습한 온실환경에서 코이어 배지경에서 재배하였을 때, 수분소비량, 식물체 생육 및 과실 특성을 비교하였다. 정식 후 118일에 엽수와 줄기 건물중은 'VL'에서 가장 높았고 'M'이 그 뒤를 이었으며 엽 건물중은 품종별 유의차가 없었다. 주당 과실수는 'M'이 16.4개로 다른 품종보다 많았고, 'VE'와 'VL'이 각각 8.5, 8.8개로 적었으며, 과실당 생체중은 'M'이 136g으로 낮았고, 'VE'와 'VL'은 각각 332, 'VL' 281g으로 가장 높았다. 주당 과실 생산량은 품종별 유의차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수분이용효율이 높고 과실수가 많았던 'M'과 과실 200g 생산에 소요된 물량이 적고, 상품과중이 높았던 'VL'이 UAE 온실환경에서 적응력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봄무 품종별 깍두기 가공 적성의 비교 (Comparison of Spring Cultivars of Radish for Kakdugi Preparation)

  • 김미리;김진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64-471
    • /
    • 2001
  • 깍두기의 숙성기간 중 봄무 품종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5품종(‘백광’, ‘하우스 봄무’, ‘천하대형’, ‘91144’, ‘백봉’)의 신선한 봄무의 특성을 조사하고 깍두기를 담구어 저장(2$0^{\circ}C$, 11일)중의 pH, 총산도, 굴절 당도, TPA, 색도 및 관능적 특성i클 분석하였다. 무의 외형상 길이가 길고 두께가 굵고 무거운 품종은 ‘백광’, ‘천하대형’, ‘백봉’이었고, ‘91144’는 가늘고 길며 무게가 가장 적었다. 당도와 경도가 높은 품종은 ‘91144’와 ‘백봉’이었으며, 수분함량이 높은 품종은 ‘백광’과 ‘백봉’이었다 깍두기 숙성 중 모든 품종이 pH는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였는데. 숙성초기에는 ‘백광’과 ‘하우스 봄무’가 산도 증가폭이 컸고 당도가 높았으나, 숙성 7일 이후에는 ‘91144’와 ‘백봉’이 산도 증가폭이 컸고 당도가 높았다. 깍두기 무의 a값은 ‘91144’가 가장 높았고, ‘백광’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백봉’은 숙성기간이 경과되어도 경도가 크게 낮아지지 않았으나, ‘천하대형’은 감소 폭이 컸다. 파쇄성이 큰 품종으로는 ‘91144’와 ‘백봉’이었고, 파쇄성이 작은 품종은 ‘천하대형’이었다. 관능적 특성으로 ‘깍두기 무에 물든 붉은색 정도’가 높은 품종은 ‘91144’, ‘천하대형’이었고, ‘깍두기 무 표면의 수축정도’가 작은 품종은 ‘백봉’ 및 ‘천하대형’이었다. ‘단맛’은 ‘91144’와 ‘백봉’이 높았고, ‘무의 매운맛’은 숙성이 경과되면서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다즙성’은 ‘백광’, '‘하우스 봄무’ 및 ‘백봉’(5.7점)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질감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는 숙성 3일에 ‘백봉’과 ‘하우스 봄무’가 높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숙성 3일에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품종은 ‘백봉’으로 7.5점이었고 그 다음이 ‘하우스 봄무’, 6.3점이었으며, ‘91144’는 4.7점을 나타내어 가장 낮았다. ‘백봉’은 숙성 5일 및 7일에도 점수가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91144’는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백봉’과 ‘하우스 봄무’가 깍두기 가공 적성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자생 베치와 도입 베치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비교 (Comparison of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n Wild Vetch)

  • 신정남;고기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3-228
    • /
    • 2003
  • 본 시험은 대구, 경북 자생치에서 수집된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3계통과 자생 woolly pod vetch(Vicia Villosa ssp. dnycarpa (Ten.) Eav) 일본에서 도입된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 호주에서 도입된 울리포드베치인 Haymaker plus 품종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 7일에 파종하여 2001년 5월 19일에 수확하였으며 경북 성주 계명문화대학 실습목장에서 수행되었다. 내한성은 일본에서 도입된 울리포드베치와 Haymaker plus가 다른 품종에 비해 다소 약했다. 50% 개화기는 Haymaker plus가 4월 16일, 일본 울리 포드베치가 4월 20일, 자생 헤어리베치(I)가 4월 22일, 자생 헤어리베치(II)가 4월 28일, 자생 헤어리베치(III)가 5월 1일, 자생 울리포드베치가 5월 5일 및 일본 헤어리베치가 5월 10일 이었다. 건물 함량은 Haymaker plus가 가장 높았으며, 50% 개화기가 빠른 품종이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수량은 자생 헤어리베치(III)가 가장 많았으며(P<0.05), 자생 헤어리베치(II)는 다른 품종보다 많았다(P<0.05). Haymaker plus 및 자생 헤어리베치(I)는 일본 헤어리베치보다 수량이 많았다(P<0.05).

변온조건에서 켄터키 블루그래스 신품종 15종류의 발아특성 및 일일 발아패턴 비교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Daily Seed Germinating Pattern in 15 New Cultivars of Kentucky Bluegrass Grown under Alternating Temperature Conditions)

  • 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29-40
    • /
    • 2014
  • 본 연구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발아특성 및 발아패턴을 파악하고자 시작하였다. 공시재료는 국내에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15 종류의 신품종을 이용하였으며, 발아실험은 변온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켄터키 블루그래스 종자의 발아율, 발아패턴 및 발아특성은 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최종 발아율은 75.25-89.50% 사이로 품종 간 최대 14.25% 정도 차이가 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치상 후 6-9일 사이에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품종 간 최대 3일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최초 발아율은 0.25-23.00% 사이로 품종 간 차이가 컸지만, 대부분 5%이내였다. 하지만 'Brilliant' 및 'Midnight II' 품종은 각각 14.50% 및 23.00%로 최초 발아율이 대단히 왕성한 품종이었다. 켄터키 블루그래스 종자의 기준 발아율인 75% 도달기간은 치상 후 15.08-28.80일 사이였다. 기준발아율 도달기간이 가장 빠른 종류는 'Excursion', 'Midnight II', 'Odyssey', 'Midnight' 및 'Courtyard' 품종이었고, 가장 느린 품종은 28.80일로 나타난 'Voyager II' 품종이었다. 'Voyager II' 품종의 발아 특성은 가장 우수한 품종군에 비해 각각 13-14일 정도 느린 것이었다. 종합적으로 발아특성 및 발아패턴의 결과를 고려할 때 'Midnight II', 'Excursion' 및 'Midnight' 품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품종 간 이러한 발아특성 비교 데이터는 골프장 등 잔디밭 조성 시 실무적인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뽕나무(Morus alba L.) 품종별 오디의 영양 및 기능성 성분과 이화학적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 김은옥;이유진;임현희;서일호;유명화;강대훈;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67-1475
    • /
    • 2010
  •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뽕나무(Morus alba L.) 품종별 오디의 영양 및 기능성성분의 함량과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오디 일반성분의 함량은 수분 83.93~86.27%, 가용성 무질소물 8.63~11.76%, 조단백질 1.03~2.54%, 조지방 0.33~0.92%, 조섬유 0.89~2.87% 및 조회분 0.76~0.98% 범위로 익수뽕, 과상2호 및 청일뽕은 다른 품종(대성뽕, 용뽕, 대자뽕, 과상1호)보다 가용성 무질소물 함량이 높은 반면, 단백질, 지방 및 섬유소 함량이 낮았다. 총 당 및 환원당 함량은 과상2호, 청일뽕 및 익수뽕이 높은 반면, 과상1호 및 용뽕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과상1호, 대성뽕 및 용뽕이 다른 품종보다 높았으며,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과상1호 및 2호, 용뽕, 대성뽕이 높았다. 또한, 오디의 anthocyanin 구성성분 즉, C3G 및 C3R 함량은 대성뽕, 과상1호 및 과상2호가 모두 높았다. 한편, 오디의 4가지 플라보노이드 즉, rutin, isoquercitrin, quercitrin, quercetin 함량은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과상2호가 2가지 주된 플라보노이드인 rutin 및 quercetin 함량이 높은 반면, 익수뽕 및 청일뽕은 낮았다. 오디 품종별 piceid 및 4-PM 함량을 측정한 결과, piceid 함량은 대성뽕 및 용뽕이 높았으며, 대자뽕, 익수뽕 및 청일뽕은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항당뇨 성분인 4-PM은 청일뽕 및 대성뽕이 높은 반면, 그 외 오디 품종들은 함량이 비슷하였다. 항고혈압성 GABA 함량은 청일뽕, 대성뽕 및 과상2호가 높은 반면, 익수뽕 및 용뽕은 낮았다. 오디 품종별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 과실의 중량 2.11~6.38 g, pH 4.08~4.80, 산도 0.39~0.73%, 당도 5.83~15.34oBrix, 색도 L값 26.31~31.49, a값 1.04~3.85, b값 -0.02~4.09 범위로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특히 오디 품종 중 익수뽕 및 과상2호는 열매의 크기가 적당히 크고 다른 품종보다 산도는 다소 낮은 반면, 당도는 13~15%로 높았다.

Comparison of Anthocyanin Content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L.) Merr.] Cultivar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 Shin, Sung-Chul;Lee, Soo-Jung;Lee, Sung-Joong;Chung, Jong-Il;Bae, Dong-Won;Kim, Soo-Taek;Sung, Nak-J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70-1475
    • /
    • 2009
  • The seed coat of the black soybean contains 3 main anthocyanins such as delphinidin-3-O-$\beta$-glucoside, cyanidin-3-O-$\beta$-glucoside, and petunidin-3-O-$\beta$-glucoside. As a part of our effort on discovering and breeding new black soybean cultivars which possesses specific anthocyanin component rich, we determined the anthocyanin profiles of the 2 cultivars recently developed soybean cv. Gaechuck #1 and cv. Gyeongsang #1,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d compared their content and identity with those of previously known 10 cultivar controls. The Cosmosil-$5C_{18}$-AR-II colum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because of the best peak separation. The column temperature was set up at $35^{\circ}C$. The mobile phase consisting of water containing 0.5%(v/v) formic acid and methanol gave good separation between the 3 anthocyanin analytes and internal standard (quercetin 3-O-$\beta$-rutinoside) and peaks with suppressed tail. The MS/MS spectra of each individual anthocyanin standard were detected in positive electron spray ionization (ESI) modes. It was disclosed that the anthocyanin contents of the soybean cv. Gaechuck#1 and cv. Gyeongsang#1 are roughly higher than those of the 10 controls.

Comparison of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 in selected cultivars of non-glutinous rice in Korea

  • So-Jung, Kim;Min Joo, Kim;Su Hyeon, Lee;Youngmin, Choi;Sung, Jeehye;Dongwon, Seo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1015-1026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mino acid and protein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non-glutinous rice of 13 cultivars in Korea. Protein contents of MRs (milled rices) were in order of Haepum (7.27%) > Hanareum No. 4 (7.14%) > Odae (6.84%). Protein contents of BRs (brown rices) were in order of Haepum (7.68%) > Odae (7.63%) > Hanareum No. 4 (7.60%). The amin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Haepum (MR 5.76%, BR 6.49%), followed by Haedeul (MR 5.71%, BR 6.30%), and Odae (MR 5.63%, BR 6.29%).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of non-glutinous rices were in order of Haepum (MR 2.34%, BR 2.57%) > Haedeul (MR 2.31%, BR 2.48%) > Odae (MR 2.20%, BR 2.56%). The contents of amino acid and protein in BRs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MRs. Protein and most of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Haepum than the other cultivars. The certificated reference material (CRM) 1849a (infant/adults nutritional formular) from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 (NIST) was used as the test sample to determine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analytical method.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good correlations (correla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0.99. The recovery values of the amino acids ranged from 93.17 to 99.59%. The limit of detection (LODs) ranged from 0.01 - 0.07 mg·100 g-1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s) ranged from 0.03 - 0.21 mg·100 g-1 for all analytes.

Comparison of rice flour properties of different cultivars using wet and dry milling processes

  • Park, Jiyoung;Lee, Seuk-Ki;Park, Hye-Young;Choi, Hye-Sun;Cho, Dong-Hwa;Han, Sang-Ik;Lee, Kyung Ha;Oh, Sea-Kw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86-286
    • /
    • 2017
  • We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milling processes. Five rice varieties (Oryza sativa L.)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were prepared by wet and dry milling processes. The moisture contents of wet-milled rice flours (WMR) was mostly three-time higher than those of dry-milled flours (DMR).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ility index (WSI) and swelling power (SP) increased in proportion to temperature ($50-90^{\circ}C$). WAI, WSI, SP of DMR showed higher value than those of WMR. Baeokchal (BOC) which is waxy rice cultivar was significantly high level of WSI. Pasting properties of DMR except BOC cultivar resulted in higher peak viscosity, trough viscosity, final viscosity and Setback. The levels of resistant starch in the four cultivars except Dodamssal (DDS) were under 1% irrespective of Milling processes, whereas the resistant starch contents of DMR and WMR in DDS was 9.18 and 6.27, respectively. Damaged starch content of WMR were less than those of DMR, moreover,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mylose content and damaged starch of rice cultiva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varied depending on the milling methods and varieties, and it could be a reference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processing purpo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