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n Wild Vetch

자생 베치와 도입 베치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비교

  • 신정남 (계명문화대학 동물산업과) ;
  • 고기환 (계명문화대학 동물산업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Korean wild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Korean wild woolly pod vetch(Vicia villosa ssp. dasycarpa(Ten.) Eav.), introduced hairy and woolly pod vetch cultivars from Japan, and Haymaker plus(woolly pod vetch) from Australia. Seeds were sown on 7 October 2000 at the Livestock Experiment Fm, Keimyung College, Seongju, Kyeongbuk. Vetch Plants were harvested on 19 May 2001. Cold tolerance for woolly pod vetch from Japan and Haymaker plus were lower than other cultivars. Dry matter content of the Haymaker Plus was higher than other cultivars. Fifty percent flowering was observed 16 April for Haymaker plus, 20 April fur woolly pod vetch from Japan, 22 April fur Korean wild hairy vetch( I ), 28 April fer Korean wild hairy vetch(II), 1 May for Korean wild hairy vetch(III), 5 May fur Korean wild woolly pod vetch, and 10 May for hairy vetch from Japan. Dry matter yield per hectar was significantly highest(P<0.05) for wild hairy vetch(III) and wild hairy vetch(II) was higher(P<0.05) than other cultivars. Dry matter yield Per hectar was higher(P<0.05) for Haymaker Plus and wild hairy vetch(I) than hairy vetch from Japan.

본 시험은 대구, 경북 자생치에서 수집된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3계통과 자생 woolly pod vetch(Vicia Villosa ssp. dnycarpa (Ten.) Eav) 일본에서 도입된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 호주에서 도입된 울리포드베치인 Haymaker plus 품종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 7일에 파종하여 2001년 5월 19일에 수확하였으며 경북 성주 계명문화대학 실습목장에서 수행되었다. 내한성은 일본에서 도입된 울리포드베치와 Haymaker plus가 다른 품종에 비해 다소 약했다. 50% 개화기는 Haymaker plus가 4월 16일, 일본 울리 포드베치가 4월 20일, 자생 헤어리베치(I)가 4월 22일, 자생 헤어리베치(II)가 4월 28일, 자생 헤어리베치(III)가 5월 1일, 자생 울리포드베치가 5월 5일 및 일본 헤어리베치가 5월 10일 이었다. 건물 함량은 Haymaker plus가 가장 높았으며, 50% 개화기가 빠른 품종이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수량은 자생 헤어리베치(III)가 가장 많았으며(P<0.05), 자생 헤어리베치(II)는 다른 품종보다 많았다(P<0.05). Haymaker plus 및 자생 헤어리베치(I)는 일본 헤어리베치보다 수량이 많았다(P<0.05).

Keywords

References

  1. 김정갑, 양종성, 한민수, 이상범, 1988. 대맥 및 호맥의 건물생산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n.생육단계별 화학성분. 소화율 및 에너지 함량 변화, 동물자원지 30(3): 193-198
  2. 김종근, 정의수, 윤세형, 서 성, 서종호, 박근제, 김충국. 2002a. 연맥-헤어리베치 혼파에 의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 연구. 한초지 22(1):33-36 https://doi.org/10.5333/KGFS.2002.22.1.031
  3. 김종근, 윤세형, 정의수, 임영철, 서 성, 서종호, 김시주. 2002b. 파종방법 혼파비율이 호밀 헤어리베치 혼파시 사료가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2(4):233-240 https://doi.org/10.5333/KGFS.2002.22.4.233
  4. 김종덕, 권찬호, 김수곤, 박형수, 고한종, 김동암, 2002. 중부지방에서 일년생 콩과 목초의 사초생산성 비교. 동물자원지 44(5):617-624
  5. 권순기, 김충수, 이인덕, 조동삼, 1987. 삼정최신사료작물. 선진문화사. 71-72
  6. 권찬호. 2000. 베치 도입품종의 적응성 시험. 연암축산원예대학. 미발표
  7. 농협무역. 1999. 개인면담. 농협중앙회
  8. 박찬호, 이종열, 김동암. 1982. 신고 사료녹비 작물학. 향문사. 279-286
  9.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김충국, 조현숙 2000. 동계 녹비작물 초종별 화학성분 및 생산성 비교. 한초지 20(3):193-19
  10. 신정남, 윤익석. 1983, 생육시기가 silage의 사료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4(1):41-60
  11. 신정남. 1998. 야생 버어드풋트레포일의 건물수량, 생육특성 및 사료적인 가치. 한초지 8(2): 129-132
  12. 신정남. 1999. 조·만생 사초용 추파호밀의 수확 시기별 건물수량 및 사료적 가치. 계명문화대학, 계명연구논총 17:523-529
  13. 신정남, 고기환. 2000. 베치 도입 품종의 사료 수량과 사료가치. 계명연구논총 18..441-447
  14. 신정남, 김동암, 고기환, 김용원. 2000. 도입 베치 품종 및 한국 야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한초지 20(4):251-258
  15. 심상인. 2002. 친환경 농업을 위한 녹비용 피복소재로 자생 자운영 수집종 개발. 농림기술관리센터 자유공모과제
  16. 조남기, 강영길, 육완방, 김보현. 1998. 제주도자생 두과식물의 분포, 현존량 및 사료가치 평가. 한초지 40(6):681-690
  17. 지영린, 최범렬, 최현옥, 이정행, 이은웅, 김희태, 조재영, 박찬호. 1975. 사료.녹비작물학. 향문사 251-274
  18. 雪印種苗. 1997. 牧草 .飼料作物品種 解說と栽培の 手引. 39-41
  19. Bull, B. and A. Mayfield. 1992. Growing vetch. Bold Images, Australia
  20. Mayfield, A. 1999. Namoi woolly pod vetch dynamic spring pasture. 221-224 in Pasture plus Kondinin GrouP, Australia
  21. Power, J.F. and J.A. Zachariassen. 1993. Relative nitrogen utilization by legume cover crop species at three soil temperatures. Agron. J. 85:134-140 https://doi.org/10.2134/agronj1993.00021962008500010025x
  22. Seedco. 1999. Haymaker plus. Seedco (Australia)
  23. Torbert, H.A, D.W. Reeves and R.L. Mulvaney. 1996. Winter legume cover crop benefits to corn rotaton vs. fixed-nitrogen effects. Agron. J. 88:527-535 https://doi.org/10.2134/agronj1996.00021962008800040005x

Cited by

  1.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ntroduced Common Vetch (Vicia sativa) Cultivars and Korean Wild Common Vetch in Kyeongbuk vol.33, pp.2,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2.117
  2. Screening of Rhizobium, Hairy Vetch Root Nodule Bacteria, with Promotion of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vol.49, pp.2, 2013, https://doi.org/10.7845/kjm.2013.3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