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ative usability evaluat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User experience of MV2000-MT (SU:M2)® as a Mechanical Ventilator: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on Usability, Safety, and Medical Staff Satisfaction

  • Jeon, Soeun;Kim, Hae Kyu;Lee, Dowon;Kim, Hyae Jin;Park, Eun Ji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260-267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demonstrate that MV2000-MT(SU:M2)® (MV, MEK-ICS, Paju, Korea), a domestic ventilator, is not inferior in terms of usability, safety, and medical staff satisfaction as compared to Hamilton G5 (G5, Hamilton Medical AG, Rhäzuns, Switzerland). A total of 39 patients who applied MV (group M) or G5 (group H) were included in the study sample. Usability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factors: the number of alarm errors, replacement requirement of breathing circuit, replacement requirement of a right-angle connector, and ease of ventilator weaning. For safety evaluation, the number of ventilator replacements due to malfunction of the ventilator was evaluated. Items for medical staff satisfaction survey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MV and G5 uses, hardware, and software assessment. In the usability evaluation, the replacement requirement of the right-angle connector was lower in Group M than in Group H (mean ± standard deviation, Group M: 7.39 ± 6.72, Group H: 14.19 ± 10.24, p = 0.021); however, the evaluations of other par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number of ventilator replacements due to a malfunction of the ventilator did not differ between two groups. The number of MV and G5 uses was 3.0 [3.0-4.0] and 10.0 [5.0-10.0] (median [interquartile range], p < 0.001). Overall, the mean medical staff satisfaction score of Hamilton G5 was higher than that of MV2000-MT(SU:M2)®. The usability of MV is comparable to that of G5. However, medical staff satisfaction with Hamilton G5 was higher than that with MV2000-MT(SU:M2)®, and this difference could b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uses. In order to improve the penetration rate of the domestic mechanical ventilator,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familiarity of medical staff with domestic mechanical ventilators.

메타버스 플랫폼 사용성 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델파이연구 - 로블록스, 제페토, 게더타운 사례를 중심으로 (Delphi Research on Usability Test Framework of Metaverse Platform - Case of Roblox, Zepeto, and Gathertown)

  • 이한진;구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79-193
    • /
    • 2022
  •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고객경험에 기반한 측정 및 분석, 평가할 통일된 지표는 부재하다. 이에 2~3차원 혼합형 가상세계 플랫폼인 메타버스 평가를 위해 기존의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모델과 문헌검토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내 사용성 평가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델파이기법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여 사용자주도권, 정보구조, 디자인과 콘텐츠, 이용환경 등 5개 분야의 20개 항목 세분화로 측정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로블록스, 제페토 등 주요 메타버스 플랫폼의 실제 내용을 체험 후 사용성 평가하여 비교 검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사용자주도권 및 콘텐츠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그 효용성이 높게 도출되어 메타버스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사용성 평가체계를 확장현실, 혼합현실 분야로 확장하여 메타버스 사용성 평가의 기초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이와 함께 메타버스 현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초적인 판단기준 제공의 실무적 함의는 물론 디지털 역량강화와 산업 활성화의 정책적 의의도 가진다.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에서 버튼메뉴의 형상변화에 따른 정량적 수행평가 모델 적용 (The Application of a Quantitative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in Accordance with Button Menu Form Changes in Touch Screen Input Methods)

  • 한상복;표정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37-348
    • /
    • 2015
  • 터치 인터페이스 입력방식에서 메뉴를 마우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 보다 터치입력 방식이 의도하지 않는 터치와 입력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튼메뉴의 최소 형상버튼을 기준으로 형태와 크기변화에 따라서 사용성 평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적용방법으로는 터치 입력방식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활용 할 수 있도록 회귀 모형식과 인터페이스 인간 수행 평가방법의 대표적인 모형인 피츠의 법칙(Fitts' Law)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더욱 효과적인 정량적 수행예측 평가 모형식 적용을 통해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따라서 터치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버튼의 형상과 크기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고려한 수행예측시간을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다.

정보시스템 개발자와 이용자 간의 평가요소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valuation Factors on Information Systems between the User and the Developer)

  • 조현양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3-172
    • /
    • 1996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개발자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보시스템의 평가요소를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평가요소들은 선행연구에서 우선적으로 추출되고 추출된 요소는 성능, 효율성을 비롯한 9개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각 기준별 평가요소를 중심으로 문항을 작성하여 개발자 집단과 이용자 집단에게 배포되어 개발자 및 이용자가 중요시하는 요소들에 있어서 차이를 밝히고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 순위부여결과 185개 시스템 평가요소에 대한 우선순위의 부여에 있어서 이용집단과 개발자집단 사이에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휴리스틱 기법을 이용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시각화 평가 (The Visualization Evaluation of Traffic Apps using Heuristics Techniques)

  • 조현지;남두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89-95
    • /
    • 2014
  • 교통정보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과 발전이 급속화 됨에 따라 시공간의 제약 없이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 폰의 보급 율이 높아지면서 모바일 앱 형식의 교통정보 제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이들 정보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사용성(Usability)향상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공되고 있는 교통정보 모바일 앱 네 개를 선정하여 그에 대한 비교평가 및 사용자 니즈를 도출하여 향후 교통정보 모바일 앱의 시각화 방향을 제시한다. 먼저 정보 시각화 평가와 관련 된 연구 및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교통정보 모바일 앱의 소개와 함께 각 모바일 앱에서 제공하는 시각화 서비스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다양한 평가기법 중 시각화 평가기법으로 적절한 휴리스틱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교통정보 시각화 평가에 적절한 평가요소를 추출하였다. 평가 요소를 기준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관적일 수 있는 시각화 평가에 객관성을 부여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교통정보 모바일 앱의 시각화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도출 된 결과가 향후 교통정보의 시각화 서비스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ATS: Structure-Aware Touch-Based Scrolling

  • Kim, Dohyung;Gweon, Gahgene;Lee, Geehyuk
    • ETRI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1104-1113
    • /
    • 2016
  • Non-linear document navig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repeatedly reading a document at different levels to provide an overview, including selective reading to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within a document under time constraints. Currently, this function is not supported well by small-screen tablets.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ncept of structure-aware touch-based scrolling (SATS), which allows structural document navigation using region-dependent touch gestures for non-sequential navigation within tablets or tablet-sized e-book readers. In SATS, the screen is divided into four vertical sections representing the different structural levels of a document, where dragging into the different sections allows navigating from the macro to micro levels. The implementation of a prototype is presented, as well as details of a comparative evaluation using typical non-sequential navigation tasks performed under time constraints. The results showed that SATS obtained better performance, higher user satisfaction, and a lower usability workload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tructural overview interface.

사용자 참여형 연구 기반의 한국형 경기용 핸드사이클 개발과 사용성평가 - 국가대표 대상으로 - (A User Particip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Road Racing Hand Cycle and Usability Assessment: Targeting on National Players)

  • 김동욱;김정현;김종배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8권
    • /
    • pp.23-32
    • /
    • 2017
  •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한국형 경기용 핸드사이클 국산화를 통해 국내 장애인의 스포츠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생산하는 핸드사이클은 전무하며 모든 선수들이 외국에서 제작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외산제품의 경우 외국인 선수들의 체형에 맞게 제작이 되었기 때문에 국내 선수들이 사용할 경우 자신의 체형에 맞추기 위해 부품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을 가중할 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경기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전 연구에서 한국인 체형을 고려한 경기용 핸드사이클 개발을 진행하였고 개발된 시제품의 성능평가를 위해 외산제품과 비교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경기용 핸드사이클 시제품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 사항을 도출하여 국내선수들의 체형을 고려하면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형 경기용 핸드사이클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1차 시제품에서 도출한 문제점을 토대로 크랭크와 공기흡입부 및 배출부, 뒷 축 흔들림 방지장치 등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였고 개발된 제품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 핸드사이클 국가대표 상비군 선수들이 사용하는 외산제품과 비교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 영역에서 결과를 측정하였고 효과성을 제외한 효율성, 만족도에서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제품이 외산제품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외국산 핸드사이클의 수입을 재치할 수 있는 저가의 핸드사이클을 상용화하고 외국상품의 수입대체 효과와 수출로 인한 국제 경쟁력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비스무스, 텅스텐 기반 차폐체의 성능 및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and Usability of Bismuth, Tungsten Based Shields)

  • 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6호
    • /
    • pp.611-616
    • /
    • 2018
  • Lead apron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because it is made at heavy metals, and when worn for long periods of time, it causes pain. Therefore, this paper intended to improve the defects of lead apron by using new material shields. For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lead and new material shieldes, the shielding rate and weight were measured and tested based on lead 0.5 mmPb. The rate of shielding was 97% based on lead at 0.5 mm thickness, while The new material shield T3 showed similar shielding rates as lead in 8 layers, and in T2 these values were measured in 11 layers. In addition, similar shielding rate was measured in 12 layers at B2, and 8 layers in BF, and 4 layers in $BF_2$. Comparing the weight of cases when commercialized with apron, T3, T2 and B2 were heavier than lead apron. But BF, $BF_2$ were lighter than the lead apr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3 and T2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lead if human or environmental hazards are considered a priority. However, BF and $BF_2$ should be used if the reduction of external exposure is considered a priority.

사용자 관점에서 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Exploring User Perceived Usability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s on Smart Phones: A Grounded Theory Analysis of User Reviews)

  • 이정우;임헌혁;김주형;강선주;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15-627
    • /
    • 2012
  • 스마트폰의 본격적인 보급은 이후 관련 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휴대폰 시장은 물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시장 역시 급격하게 성장하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소규모 개발사들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경쟁의 심화와 높은 시장진입 비용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들은 사용자 관점에서의 접근을 바탕으로 한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품질제고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관점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로 다양한 접근에서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의 개방형 코딩방법에 따라 국내 포털사이트의 관련 커뮤니티와 블로그를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리뷰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여 사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 사용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지표들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각 지표들이 노출되는 빈도를 계산하여 지표간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 사용시 유희성과 통제가능성, 다양성, 사용용이성 등 총 30개의 하위범주에 속하는 지표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하위범주들은 5개의 상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상위범주는 감성, 디자인, 기술, 가격, 사회성의 다섯가지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들에게 사용자 니즈를 바탕으로 개발을 할 수 있는 디자인과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추후 심화 연구를 통하여 실제 애플리케이션들의 사용성 평가 도구 개발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코딩 교육을 위한 챗봇 모델 구현 (Implementation of Chatbot Models for Coding Education)

  • 안채은;전현인;한희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9-3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챗봇 시스템을 활용하여 코딩 교육용 챗봇 학습 모델인 SW-EDU 봇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챗봇 빌더인 Dialogflow와 Kakao i Open Builer 기반으로 동일한 시나리오 기반 모델을 제작한 다음, 목적에 더 적합한 빌더를 선정하여 SW-EDU 봇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챗봇 시스템은 학습 유형 선택, 개념 학습, 난이도 별 문제풀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자기 주도성을 고취하면서 효과적인 학습 방법 습득을 목표로 한다. 챗봇 빌더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5개 지표를 선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비교 우위의 빌더를 선택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SW-EDU 봇을 구현한다.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SW-EDU 봇의 학습 지원 도구로서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SW 교육 학습 매체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