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ct cit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시스템사고로 본 압축도시의 공간적 특성과 지속가능성과의 동태적 관계 (System Thinking Perspective o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and Urban Sustainability)

  • 김리영;문태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5-2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and urban sustainabiliy from system dynamics perspective using causal loop analysis. It has been argued that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high population density and mixed land use, are positively related to urban sustainability. However, research results that are not consistent with pros of compact city argument have been accumulated too. It is especially true whe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are examined with regard to each dimension of sustainablility: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viewing each dimension of sustainability with regard to spa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causal loop analysis, this paper provides more clear understanding on relationship between compact city and sustainability. Also this paper provides a base for system dynamics simulation for future study.

  • PDF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Area in Green Belt -Focused on City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mpact City Method)

  • 정재용;오민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917-5930
    • /
    • 2011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기본전략과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개발제한구역내 도시들의 개발사업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후반부터 선진국들은 컴팩트시티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기준으로 삼고, 세부적인 도시개발계획을 추진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은 지속가능한 개발과 컴팩트시티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이 개발계획을 도시공간, 도시환경, 도시커뮤니티, 도시관리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적용가능한 요소를 산정하고 컴팩트시티와의 관련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과천, 의왕, 하남의 개발제한구역 내 다수의 개발계획들을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 비교해본 결과 유사점과 한계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를 고려하여, 앞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정책적인 반영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Compact Cities in Korea

  • Sun-Ju, KIM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2호
    • /
    • pp.13-22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a compact city in Seoul, analyzing whether it is an appropriate and efficient eco-friendly housing supply alternativ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 efficiency, safety, and comfort, with efficiency encompassing economic, energy, and public transport links' efficiency. Safety and comfort are aspects of eco-friendliness, housing safety, and improvement in living environments. Results: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compact cities are a less expensive option than purchasing land for housing construction.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we plan to adopt eco-friendly energy sources. Transportation efficiency is high in locations near public transport stations. To enhance safety and comfort, we intend to create large-scale parks and forests in Seoul. To ensure residential safety, measures will be taken to reduce road vibration, vehicle noise, and scattering dust. Conclusions: Selecting an appropriate location that provides 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is essential for creating a compact city for housing in a large city. Combining a compact and smart city is necessary, and implementing smart technologies is needed to prevent dust, noise, and vibrations, which are undesirable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지속가능한 콤팩트도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유럽, 미국, 일본의 도시, 사회, 거주 특징분석을 중심으로- (Basic Research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mpact Cit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City/ Society/Residence of Europe/USA/Japan-)

  • 백승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95-6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콤팩트 도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콤팩트 시티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스프롤 현상의 문제는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다. 도시 스프롤의 현상은 몇 개의 요인으로부터 초래되는데 도시 교외의 저렴한 토지를 비롯하여 이동수단의 진보, 재원조달의 용이함, 그리고 주택의 대량생산에 따른 부동산 개발업자의 증가 등이다. 이러한 도시 스프롤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색되고 있는 콤팩트 시티는 토지의 집약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에 의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이용 범위 확대, 주민 층의 다양화, 사회적 커뮤니티의 활성화 등을 가져올 수 있다. 이밖에 콤팩트 시티는 스프롤 현상의 억제를 지향하는데 많은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며, 직주근접에 따른 오염 감소, 도보 자전거 또는 대중교통의 이용이 가능하다. 즉, 지속가능한 콤팩트 도시는 주택, 상업, 업무 등의 각종 시설의 집중 개발을 통해 통합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트래픽 볼륨 감소를 통해 도시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다.

디자인 계획요소로 본 컴팩트 시티형 복합용도시설의 공공공간 - 센트럴 시티, 코엑스, 웨스턴돔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for Public Space in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 Focused on the Central City, COEX and Western Dome Facility -)

  • 김선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26-135
    • /
    • 2010
  • As public space such as plaza and square in the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is a social public space that various communication and cultural exchange take places in city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ategorize the design elements as a valuation basis for the public space in the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The scope of contents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entral City, COEX and Western Dome facilities in Korea. This study review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analysis about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131 users of three faciliti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as follows accessibility, comfort, exchange were extracted as the aspects for evaluation for functional activity and connection, openness, hierarchy were extracted as the aspects for evaluation for space formation. The K facility's priority aspect is the accessibility and the S and the W facilities' are the openness.

지속가능교통을 위한 사이버 압축도시 개발 방안 연구 (Developing Cyber-Compact City Strategies for Sustainable Transportation)

  • 추상호;성현곤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12-12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통행패턴을 제고하기 위해 압축도시개발기법에 정보통신요소를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사이버 압축도시(Cyber-Compact City)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통신기술과 도시개발 전략을 통합하는 사이버 압축도시의 개념을 기존 문헌 등을 통해 도출하고, 이를 교통의 지속가능성 제고 측면에서 정립하였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압축도시개발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해외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추진될 수 있는 전략적 접근방법을세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번째는 대중교통 네트워크와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융합전략으로 국토 및 도시공간구조의 연결체계를 대중교통과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이며 철도의 여유공간에 정보통신 인프라를 건설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대중교통 결절점과 정보통신 결절점의 융합전략으로 주요 철도역을 중심으로 지역거점 및 도시거점의 정보통신센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중교통 영향권과 정보통신 영향권을 통합하여 연계체계 및 정보통신기능이 강화된 대중교통지향형 입체복합개발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광역시 도시압축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Compactness Evaluation of Korean Metropolises)

  • 이일희;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224-3231
    • /
    • 2012
  • 통합적이고 객관화된 도시압축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압축도시(compact city)와 관련된 문헌 등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시압축성 평가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평가요소는 전문가조사를 통한 객관화 과정과 AHP계층구조모형을 통하여 평가요소별로 가중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평가분석의 틀을 토대로 우리나라 6대 광역시의 도시압축성을 평가하고 표준점수(z-score)화하여 상대적인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압축도시에 대한 정책 결정에 필요한 기본 자료로서 구도심의 도시재생 등 압축도시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압축도시 계획요소가 지역주민들의 쇼핑통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대상으로 (Effects of Compact City Development on Residents' Shopping Trips -A Case study of Seoul)

  • 고은정;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077-4085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압축도시 계획요소가 지역주민들의 쇼핑통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압축도시 계획요소를 토지이용특성와 교통환경특성으로 구분하고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임의절편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주거밀도가 높을수록 근린 내 쇼핑통행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밀도와 토지이용혼합도가 높을수록 쇼핑통행수단 선택에서 승용차보다 대중교통, 보행, 자전거를 이용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교통시설의 접근성이 높을수록 승용차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밀 복합용도 개발을 유도하고 대중교통시설 접근성을 높이는 압축도시 개발정책은 쇼핑목적의 자동차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이용과 자전거, 보행활동을 활성화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계획에서 소음지도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oise Map in Urban Planning)

  • 고준희;장서일;이승일;이창효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05-910
    • /
    • 2005
  • Increasing population in the cities, it has been demanded that urban planner should consider environmental problem. In this regard compact city has been strongly suggested as an environmental urban form which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However, compact city can also cause noise problem, because residential buildings have to be located near roads and railway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for urban planner to examine the types of roads and railways before they are established. Noise map is able to be useful tool for the task.

  • PDF

그린 컴팩트 시티 계획전략에 관한 연구 - 몽골의 울란바타르시를 중심으로 (A Study of Green Compact City Planning Strategies - Focused on Ulaanbaatar city in Mongolia)

  • 달란자갈 삼부;오덕성;최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946-595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울란바타르시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도시의 스프롤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교통, 에너지 소비의 최소화, 그린 블루네트워크를 조성하여 그린컴팩트 시티를 달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속가능한 개발(SD)과 그린시티, 컴팩트시티의 개념을 고찰하여 그린컴팩트시티(GCC)의 개념과 목표를 정의한다. 둘째, 정의된 그린컴팩트시티의 개념에 따라 계획의 전략을 도출한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계획전략의 적용실태를 확인하여 주로 적용되는 전략을 파악한다. 넷째, 울란바타르시의 전문가 및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현재 울란바타르시에 계획전략별 필요성의 정도를 파악한다. 이를 종합하여 울란바타르시를 그린컴팩트시티로 계획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할 계획전략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