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ter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19초

수도권 통행 특성을 고려한 통행시간가치 산정 연구 (Calculation of Travel Time Valu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onsidering Unique Travel Patterns)

  • 김경현;이장호;윤일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81-498
    • /
    • 2017
  • 교통시설 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편익항목은 통행시간 절감편익이며, 이는 통행시간가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표준 지침(5판)에서는 1999년 전국 지역 간 통행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업무통행 대비 비업무통행 통행시간가치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업무통행 통행에 대한 시간가치를 산정하였으며, 여기에 수도권 통행목적 비율과 재차인원을 적용하여 수도권에 대한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수도권 통행은 전국 지역 간 통행과 다른 통행특성을 가지고 있다. 수도권 통행의 경우 복합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 환승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통근통행에 장시간을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조사 관련 지침의 통행시간가치 산정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수도권의 통행 특성을 반영한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수도권 통행 특성 반영을 위하여 기존 비업무통행에 포함된 통근통행을 분리하여 통근통행에 대한 통행시간 가치를 별도로 산정하였다. 통근통행 모형과 비업무 통행 모형에 대한 우도비 검정통계량 검정 결과 두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른 통행 여건을 반영하기 위하여 대중교통 통합 모형을 구축하였다. 대중교통 통합모형의 버스와 지하철의 계수 비교결과 두 수단간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CTIVE DIRECT TILT CONTROL FOR STABILITY ENHANCEMENT OF A NARROW COMMUTER VEHICLE

  • Piyabongkarn, D.;Keviczky, T.;Rajamant, R.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77-88
    • /
    • 2004
  • Narrow commuter vehicles can address many congestion, parking and pollution issues associated with urban transportation. In making narrow vehicles safe, comfortable and acceptable to the public, active tilt control systems are likely to playa crucial role.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n active direct tilt control system for a narrow vehicle that utilizes an actuator in the vehicle suspension. A simple PD controller can stabilize the tilt dynamics of the vehicle to any desired tilt angle. However, the challenges in the tilt control system design arise in determining the desired lean angle in real-time and in minimizing tilt actuator torque requirements. Minimizing torque requirements requires the tilting and turning of the vehicle to be synchronized as closely as possible. This paper explores two different control design approaches to meet these challenges. A Receding Horizon Controller (RHC) is first developed so as to systematically incorporate preview on road curvature and synchronize tilting with driver initiated turning. Second, a nonlinear control system that utilizes feedback linearization is developed and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orque. A close analysis of the complex feedback linearization controller provides insight into which terms are important for reducing actuator effort. This is used to reduce controller complexity and obtain a simple nonlinear controller that provides good performance.

광역철도사업의 지정기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for Revising the Designation Criteria of Metropolitan Railroad Projects)

  • 이장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58-266
    • /
    • 2012
  • 광역철도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분류기준, 지정요건 등이 모호하여 지방정부는 재정지원비율이 높으면서 동시에 운영부담이 없는 국가시행사업으로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을 낳았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철도 사업이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정기준을 재정립하였으며, 광역철도 사업의 세부 유형구분, 시행주체, 지정절차 등에 대해서도 규정의 정립을 제안하였다.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광역철도의 범위를 정하고, 표정속도를 높여 도시철도와의 차별성을 확보하는 등의 형태로 광역철도 지정요건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의 재정소요를 경감하고 지방정부의 책임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소형비행기 조종실 평가에 대한 인증방법 연구 (Certification on cockpit evaluation for small airplane)

  • 김필수;정봉구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
    • /
    • 2012
  • On this study, as a Human Factor(HF)'s point of view, typical PVI(Pilot Vehicle Interface) evaluation for small airplane cockpit design, PVI evaluation items and procedures to show compliance to KAS Part 23 "Airworthiness Standards : Normal, Utility, Acrobatic, And Commuter Category Airplanes" are introduced and review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Korean small civil airplane development and certification program.

농촌중심지의 경제기반승수 추정 (An Estimation of Economic Base Multipliers of Rural Centers)

  • 김학훈
    • 지역연구
    • /
    • 제35권4호
    • /
    • pp.3-18
    • /
    • 2019
  • 이 논문은 농촌중심지들을 대상으로 직접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경제기반승수를 산출하고, 간접추정 방법들을 적용하여 추정한 경제기반승수와 비교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한국의 경제기반 연구에서 직접조사 방법은 본 연구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로는 청원군(현 청주시) 5개 면을 선정했으며, 해당 면지역의 직접조사 자료와 사업체 기초통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경제기반승수를 추정하였다. 경제기반이론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직접조사 방법을 통해서 정확한 경제기반승수를 산출하고, 간접적으로 추정한 승수값과 비교하여 간접추정 방법들의 장단점을 검토해 보았다. 임의가정 방법, 입지계수 방법, 최소요구치 방법 등 경제기반승수의 간접추정 방법들은 기본가정에 문제점이 있지만 최소요구치 방법이 다른 방법보다는 현실적 가정 측면에서 우월하며, 가능하다면 직접조사를 하고 역외 통근자와 역내 통근자 자료를 반영하면 더욱 정확한 승수를 추정할 수 있다.

통근통행에 의한 직·간접 흐름을 이용한 지역의 중심성 분석 (Analysis of Regional Centrality by Investigating Direct and Indirect Flows of Commuters)

  • 이종상;서덕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7권3호
    • /
    • pp.125-134
    • /
    • 2020
  • The regional centralit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national and regional planning and it is measured by data such as people, goods, and information flows among regions. The inter-regional flows are usually considered by only direct flows, yet indirect flows, which are generated accordingly from direct flows, are not critically considered. Most centrality studies have also hardly reflected the indirect flow in the network analysi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flows to enhance accuracy of the regional centrality. The nationwide dataset of inter-regional commuter traffic matrix is used in this study and analysed into two groups; one to consider only direct flow and the other both direct and indirect flows. The results indicate remarkable differences of centrality raking between two groups such as Yeongam of Jeonnam Province(+60th), Eumseong of Chungbuk Province(+57th), Gwacheon of Gyeonggi Province (-35th), and Nowon of Seoul (-32nd). It clearly show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indirect flow for regional centrality study. This also reveals regional centrality ranking in Korea by considering direct and indirect flows of commuters. Jung, Gangnam, and Jongno of Seoul are categorized in the highest rank group and Ulleung of Gyeongbuk, Ongjin of Incheon, and Jindo of Jeonnam are in the lowest group. The top group includes seven districts of Seoul, two of Busan, and one of Gyeonggi Province. The bottom group includes mostly island and costal areas. As this study shows an accurate method of centrality measurement, it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to lead an effective regional planning.

자율주행차 운영 환경하에서 통근자 출발시간 선택의 영향에 관한 연구 (Exploring the influence of commuter's variable departure time in autonomous driving car operation)

  • 김찬성;진영근;박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14
    • /
    • 2018
  • 자율주행택시, 자율주행셔틀과 같은 새로운 교통서비스들에 대한 연구들이 전 세계적으로 여러 도시들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 현재 통행 수요는 출발시간이 고정적이라고 가정하고 기존 교통수단과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기반 교통서비스 운영에서 통근자의 출발시간 조정에 따른 교통체계의 영향을 행위자기반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통행시간 선택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고 자율차를 수용할 수 있는 도로용량의 영향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근자가 원하는 출발시간에서 집에서의 활동종료시간과 출발시간이 상당히 조정된 후 시스템적으로 안정적인 통근통행이 완료되었으며, 또한 도로용량의 감소는 과도한 스케줄 조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통행자들이 9시 이전에 통근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현재와 다른 교통운영과 교통가격정책이 필요성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인구 및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한 도시확산현상 및 지역 간 상호작용 검증 - 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f Urban Sprawl and Interregional Interaction by Demographic and Commuting Data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 박제인;최낙훈;장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7-88
    • /
    • 2006
  • 서울시와 인천광역시, 그리고 경기도가 포함된 서울 대도시권에서는 1990년 이후 인구집중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서울시의 인구억제정책에 따라 인천광역시 및 경기지역으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의 대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도심공동현상의 확인을 위하여 서울 대도시권의 역사적인 인구자료를 분석하였고, 서울 대도시권의 확산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구자료로부터 산출한 순위변화지수(RMI: Rank Mobility Index)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 간 상호작용 분석에 유용한 자료로서 최근 미국에서도 대도시를 정의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사용될 만큼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통근자 자료를 본 연구에서도 분석하였다. 인구 자료의 분석 결과, 서울시의 인구는 1990년 이래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외곽에 위치한 구 및 동으로의 편중현상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또한 순위변화지수의 분석으로 대규모 개발과 인프라 건설이 집중된 서울 이남지역을 위주로 서울 대도시권이 불균형적 확산을 지속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통근자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서울 주변지역의 자족성이 높아질수록 서울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대도시권의 효율적인 계획 및 관리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Virtual Go to School (VG2S): University Support Course System with Physical Time and Space Restrictions in a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 Fujita, Koj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137-142
    • /
    • 2021
  •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provide online course content. The main methods of providing class contents are on-demand and live-streaming. This means that students are not restricted by time or space. The advantage is that students can take the course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unlike commuting students, there is no commuting time to the campus, and there is no natural process required to take classes. However, despite this convenient situation, the attendance rate and graduation rate of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tend to be lower than that of commuting universities. Although the course environment is not the only factor, students cannot obtain a bachelor's degree unless they fulfill the graduation requirements. In both commuter and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taking classes is an important factor in earning credits. There are fewer time and space constraints for distance learning students than for commuting students. It is also easy for distance learning students to take classes at their own timing. There should be more ease of learning than for students who commute to school with restrictions. However, it is easier to take a course at a commuter university that conducts face-to-face classes. I thought that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commuting to school was a part of the process of taking classes for commuting students. Commuting to school was thought to increase the willingness and motivation to take classes. Therefore, I thought that the inconvenient constraints might encourage students to take the course. In this research, I focused on the act of commuting to school by students. These situ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ents have physical time constraints. To achieve this goal, I will implement a course restriction method that aims to promote the willingness and attitude of stu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implemented a virtual school system called "virtual go to school (VG2S)" that reflects the actual route to school.

맞벌이 가정의 아동복지감과 맞벌이 어머니의 부모역할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al Satisfaction with Dual Income Family)

  • 김민정
    • 아동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7
    • /
    • 2006
  • In this investigation of child'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al satisfaction with dual income family(DIF), subjects were 297 3rd and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Results showed that boys and younger children were more satisfied with mother's working than girls and older children. Mothers' DIF satisfaction was dependent on gross family income, parents' occupations, working conditions of each parent, commuter marriage status, and length of time in DIF. Child's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ed positively to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and to mother's satisfaction with parental roles, parent-child relationships, spouse support and child support. Only sub factors of dilemmas in parental role related negatively to DIF status. Child's satisfaction with mother's roles, father's roles, and mother working influenced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