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중심지의 경제기반승수 추정

An Estimation of Economic Base Multipliers of Rural Centers

  • 김학훈 (청주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투고 : 2019.11.27
  • 심사 : 2019.12.06
  • 발행 : 2019.12.31

초록

이 논문은 농촌중심지들을 대상으로 직접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경제기반승수를 산출하고, 간접추정 방법들을 적용하여 추정한 경제기반승수와 비교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한국의 경제기반 연구에서 직접조사 방법은 본 연구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로는 청원군(현 청주시) 5개 면을 선정했으며, 해당 면지역의 직접조사 자료와 사업체 기초통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경제기반승수를 추정하였다. 경제기반이론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직접조사 방법을 통해서 정확한 경제기반승수를 산출하고, 간접적으로 추정한 승수값과 비교하여 간접추정 방법들의 장단점을 검토해 보았다. 임의가정 방법, 입지계수 방법, 최소요구치 방법 등 경제기반승수의 간접추정 방법들은 기본가정에 문제점이 있지만 최소요구치 방법이 다른 방법보다는 현실적 가정 측면에서 우월하며, 가능하다면 직접조사를 하고 역외 통근자와 역내 통근자 자료를 반영하면 더욱 정확한 승수를 추정할 수 있다.

This study estimates the levels of the basic and nonbasic activities in five rural centers in Cheongwon County by using the direct survey method and indirect non-survey methods. The economic base multipliers obtained through direct survey method and indirect non-survey methods are compared to find 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estimation methods.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applying non-survey methods for economic base estimation. It is found that, among three non-survey methods, multipliers obtained through minimum requirements method are better than other two methods in terms of the theoretical assumption. However, if we use direct survey data and in-commuter/out-commuter data, we can obtain more accurate multiplier estima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병현, 1991, 경제기반이론에 의한 대전시 경제기반 분석, 경희대학교 경제학 석사학위논문.
  2. 김용철, 1987, 경제기반이론에 의한 대전시의 경제분석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학 석사논문.
  3. 김용철, 1993, 대전지역 산업구조분석을 위한 경제기반이론의 응용에 관한 일고, 경제학논구, 16, pp.167-193.
  4. 김학훈, 1993, 도시경제기반으로서의 비고용소득의 성장과 영향분석, 지역연구, 9(2), pp.27-40.
  5. 김학훈, 1999a, 변이할당모형과 경제기반모형, 지역경제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편저), pp.216-231.
  6. 김학훈, 1999b, 한국 도시의 경제기반 분석: 최소요구치 방법의 적용, 지리.환경교육, 7(2), pp.631-652.
  7. 김학훈, 2015a, 청원군 내수읍의 경제기반 분석, 한국사회과학연구, 36(2), pp.237-255.
  8. 김학훈, 2015b, 한국 도시의 경제기반: 최소요구치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3), pp.1-17.
  9. 윤수걸, 1989, 경제기반이론을 통한 대구 도시경제분석, 경북대학교 경제학 석사학위논문.
  10. 이만수, 1982, 지역경제성장과 경제기반이론의 적용문제(상), 지방행정, 31(7), pp.87-92.
  11. 이만수, 1982, 지역경제성장과 경제기반이론의 적용문제(하), 지방행정, 31(8), pp.76-85.
  12. 이만수, 1983, 지역경제 기반이론과 적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희연, 1998, 서비스 경제화와 공간의 변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 pp.33-56.
  14. 조영진, 1988, 도시지역 경제기반이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학 석사학위논문.
  15. 최영근, 1993, 지역 경제성장을 위한 경제기반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경제학 석사학위논문.
  16. Alexander, J. W., 1954, The basic concept of urban economic functions, Economic Geography, 30, pp.246-261. https://doi.org/10.2307/141870
  17. Bendavid-Val, A., 1983, Regional and Local Economic Analysis for Practitioners, New York: Praeger.
  18. Blumenfeld, H., 1955, The economic base of the metropolis: Critical remarks on the 'basicnonbasic' concept,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1, pp.114-132. https://doi.org/10.1080/01944365508979342
  19. Gibson, L. J. and Worden, M. A., 1981, Estimating the economic base multiplier: A test of alternative procedures, Economic Geography, 57, pp.146-159. https://doi.org/10.2307/144139
  20. Gibson, L. J., 1997, Using economic base analysis to solve development planning problems: A best practice approach, Applied Geographic Studies, 1(3), pp.169-186. https://doi.org/10.1002/(SICI)1520-6319(199723)1:3<169::AID-AGS2>3.0.CO;2-#
  21. Isard, W., 1960, Methods of Regional Analysis: An Introduction to Regional Science, Cambridge: MIT Press.
  22. Mulligan, Gordon F., 1987, Employment multipliers and functional types of communities: effects of public transfer payment, Growth and Change, 18, pp.1-11. https://doi.org/10.1111/j.1468-2257.1987.tb00077.x
  23. Mulligan, G. F., 1994, Multiplier effects and structural change: Applying economic base analysis to small economies, Review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Studies, 6, pp.3-21. https://doi.org/10.1111/j.1467-940X.1994.tb00047.x
  24. Mulligan, G. F. and Gibson, L. J., 1984a, Regression estimates of economic base multipliers for small communities, Economic Geography, 60, pp.225-237. https://doi.org/10.2307/143812
  25. Mulligan, G. F. and Gibson, L. J., 1984b, A note on sectoral multipliers in small communities, Growth and Change, 15(4), pp.3-7. https://doi.org/10.1111/j.1468-2257.1984.tb00745.x
  26. Mulligan, G. F. and Kim, H. H., 1991, Sectorallevel employment multipliers in small urban settlements: a comparison of five models, Urban Geography, 12(3), pp.240-259. https://doi.org/10.2747/0272-3638.12.3.240
  27. Park, H., 1997. An investigation of the determination of regional base and its multiplier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13(1), pp.67-84.
  28. Tiebout, C. M. 1962. The Community Economic Base Study. Supplementary Paper No.16, New York: 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29. Vias, A. S. and Mulligan, G. F., 1997, Disaggregate economic base multipliers in small communiti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29(6), pp.955-974. https://doi.org/10.1068/a29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