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child centers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31초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방임과 학대, 자아존중감, 그리고 인권의식의 경로분석연구 (Path analysis on child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 김용회;한창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141-170
    • /
    • 2017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아동에 대한 방임 및 학대와 같은 아동인권침해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저소득 빈곤가정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아동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그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2015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2기 패널) 총 63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임과 학대는 각각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자아존중감은 방임과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학대와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인권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인권친화적 양육환경 조성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for Happiness of Adolescents Who Use Community Child Centers)

  • 박영미;김정이;조은주;이지현;우경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4-4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of adolescents who attended community child centers. Methods: We surveyed 154 adolescents attending a community child center in P City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October 3 to October 15, 2016.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s of family strength,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happiness were $3.8{\pm}0.84$, $3.8{\pm}0.98$, $3.7{\pm}0.84$ and $3.7{\pm}0.6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ppiness according to the subjects' number of close friends and duration of their stay at the community child center.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family strength,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happines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happiness included friend support (${\beta}=.40$) and peaceable family strength (${\beta}=.35$). These variables explained 44% of the total variance in happiness. Conclusion: It is desirable to prepare and support measures to increase friends' support and family strength in order to improve happiness of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friend support and family strength.

일부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효과 평가 (Evalu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ffect from some Part of Community Child Center)

  • 신선정;류다영;배수명;최용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3-171
    • /
    • 2011
  •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아동에게 일상적 구강보건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목적으로 일부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전문가와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협력하여 운영한 4주간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 후의 구강보건지식을 평가한 결과 교육 전 3.43점에서 교육 후 4.40점으로 상승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구강보건인식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는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에 16.3점에서 운영 후 18.7점으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구강보건인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5). 3.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전후 구강건강행동의 변화에서 간식자체를 먹지 않거나 2~3일에 1회 섭취한다는 빈도와 어제 칫솔질 여부는 소폭 증가하였다. 4.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아동들의 구강 내 치면세균막관리 점수는 개선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들의 지속적인 감독과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강건강 프로그램의 내용 개발과 프로그램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의 성교육 경험, 성학대 인식, 성지식 및 성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perience of Sex Education, Awareness of Sexual Abuse, Sex Knowledge, and Sexual Consciousness of Children)

  • 최영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5-368
    • /
    • 2013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or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experience of sex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sexual abuse according to child's sex and economic background. Also the differences of sex knowledge and sexual consciousnes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hild's sex, economic background and sex education. Subjects were 425 children from two elementary schools and 10 community child centers in H city, Gyeonggi-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girls thought the desirable place for sex education was home and more girls consulted sexual problems with their parents. Children from low economic backgrounds experienced sex education at school and community child centers rather than at home. Second, both boys and girls replied that sexual abuse was due to the attacker's fault but more girls than boys attributed the fault to themselves. Third, girls' sex knowledge grade was higher than boys. Fourth, boys showed a more open attitude toward heterosexual dating, and children with a low economic background showed a higher sex drive. Fifth, a high sex drive was related to low sexual knowledge, openness in dating and high sexual ethics.

지역아동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을 매개효과로- (The Transformative Leadership of the Community Child-Care Center President and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 소선주;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30-342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해당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 및 전남 지역의 지역아동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생활복지교사로 총 19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AMOS 7.0 프로그램을 사용해 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종사자의 교사효능감, 조직효과성 간의 연구모형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시설과 교육 보육기관에서와 마찬가지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인지하는 센터장의 변혁적리더십은 교사효능감과 조직효과성에 모두 유의미하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 심리적 자본, 지속경력학습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apability,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on the Job Performance among Practitioners of Child Welfare Centers)

  • 문영주;김주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113-141
    • /
    • 2017
  •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최일선에서 아동을 보호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해 아동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방과 후 돌봄의 중심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제 지역아동센터가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질적 체계적 전문적으로 운영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 심리적 자본, 지속경력학습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6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부산 경남의 지역아동센터 총 460개소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회수된 설문 가운데 성실히 응답한 5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에는 심리적 자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시설장 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을 갖출수록 직무수행도가 높아지지만 생활복지사 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이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 자본을 확충하는 것이 가장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조직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이 아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Job Crafting by a Community Children's Center Social Worker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 김요섭;김도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39-145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이 이용 아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31개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생활복지사 31명과 이용 아동 216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아동 요인(level 1)과 생활복지사 요인(level 2)을 산정한 다층분석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만족도 전체 변량의 34.3%가 지역아동센터 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요인(level 1)에서는 하루 이용시간이, 생활복지사 요인(level 2)에서는 성별, 나이, 잡 크래프팅이 아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만족도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 영향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Discrimination Damage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 우정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73-584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조사의 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3차의 응답자인 초등학교 6학년생이며, 이중에서 가정경제 수준이 기초생활수급대상, 차상위,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아동 355명이다.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부모 가정, 부모 의논상대 존재 여부, 부모의 학대, 행복감이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정일수록, 부모가 의논상대 역할을 하지 못할수록, 부모 양육태도가 학대의 경향일수록 아동의 차별피해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부모 관련 요인들이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역아동센터 및 관련 기관들은 이용 아동의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연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Exploratory Study on Community Link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

  • 김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03-810
    • /
    • 2013
  •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의 지역사회 내 건강하고 안전한 보호와 적응으로의 종합적 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서비스기관으로,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서비스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연계가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지역사회연계는 매우 협의적이며 제한적인 의미로만 사용되었으므로 지역사회 내에서 성장하고 지역사회를 배움의 터로 활용해야하는 아동에게는 그 어느 영역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지역사회연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요구되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체계론적 관점에서 보다 "확장된 개념"의 지역사회연계에 대한 탐색적인 고찰을 통해 아동, 그 중 더욱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촉구되는 빈곤 등의 취약상황에 놓인 아동들의 지역사회 적응과 자기성장을 돕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코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기관 : 놀이터, 어린이 도서관, 청소년 기관 (Local Community Center for Children : Playground, Children's Library, and Youth Center)

  • 현은자;고선주;오연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9-151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playgrounds, children's libraries and youth centers as local community centers in support of children. Its data were collected from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interviews, surveys and web search. It was found that children's libraries were predominantly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s. In comparison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Korea had lower ratios of volumes of books and periodicals per the library user and of a number of staff per the user. It was also found that over a half number of playgrounds was placed in apartment areas. Since 1993, the long-term youth development plan has commenced the construction of various societal infrastructure such as local youth centers, counseling institutes, sex-culture centers and youth cultural zone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olicy issues were rai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