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방임과 학대, 자아존중감, 그리고 인권의식의 경로분석연구

Path analysis on child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 김용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한창근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Yong Hoi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 Han, Chang-Ke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투고 : 2017.03.30
  • 심사 : 2017.06.06
  • 발행 : 2017.06.30

초록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아동에 대한 방임 및 학대와 같은 아동인권침해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저소득 빈곤가정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아동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그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2015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2기 패널) 총 63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임과 학대는 각각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자아존중감은 방임과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학대와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인권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인권친화적 양육환경 조성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s child neglect and abuse have emerged as social problems deteriorating human rights of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s of child neglect and abuse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on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neglect and abuse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From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panel data, 630 fifth-year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were included as a sample. Key finding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hild neglect and abuse were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respectively; (2) self-esteem was positively related to consciousness; (3)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neglect and consciousness; (4) the impact of child abuse on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was found to be perfectly mediated by self-esteem. We conclude by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promote human right-friendly environ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