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science textbook analysi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15초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 탐구 실험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Inquiry Scopes in High School General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6th Curriculum - Emphasizing the Analysis of Inquiry Experiment -)

  • 박원혁;김은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8-541
    • /
    • 1999
  •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중 탐구실험을 중심으로 과학탐구 평가표(SIEI)를 사용 하여 탐구 활동을 분석하였다. 공통과학 4종의 교과서의 탐구활동의 평균 횟수는 115.5회로 나타났고, 교과서별 비교에서 B교과서가 147회로 가장 많고, D교과서가 121회, C교과서가 100회, A교과서가 94회로 가장 적어 교과서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탐구활동 영역별 횟수는 관찰이 22회, 실험이 117회, 자료해석이 196회, 조사가 64회.. 토의가 51회, 분류가 4회 그리고 예상이 8회로 개념적 탐구 활동이 탐구실험에 비해 약 2.3배 정도 많이 나타났다. 탐구과제수는 A교과서가 268개, B교과서가 328개, C교과서가 207개 그리고 D교과서가 304개로 C교과서가 가장 적었다. 탐구활동의 구조적 분석 중 경쟁/협동구조의 평가에서 공동과제, 조별결과가 87.1%, 토론구조평가에서 토론이 없는 활동이 83.5%, 탐구자유도 평가에서 문제, 방볍, 답이 모두 제시된 탐구활동이 58.3%, 탐구영역평가에서 교과내용의 증명이나 시범활동이 66.9%로 이들이 각 평가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통과학4종의 교과서에 대한 탐구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탐구피라미드 구조는 모두 형태 I 구조를 나타내었고, 탐구지수는 평균 47.8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 PDF

한국, 일본, 중국 과학교과서의 '실험' 내용 비교 분석 연구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Experiment' Presentation of Science Textbooks of Korea, Japan, and China)

  • 변효종;백미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473-486
    • /
    • 2008
  • This study was to compare 'experiment' presentation type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Korea, Japan, and China and to draw some impli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science textbooks. It analyzed the experiments from the unit 'Light' of science textbooks which is common content in all three different science textbook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experiments with two questions. First, how is the experiment organized? Second, what role does each element of the experiment is playing in the experiment setting? The finding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experiment presentation type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three countries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tended to present the experiments without enough information for the experimental process and method, whereas the Japanese textbook tended to present the experiment with detailed information for the experimental method and process. Second, whereas the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tended to have a loosened relationship among pre-experimental content, experiment, after-experiment content, the Japanese textbook tended to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among pre-experimental content, experiment, after-experiment content.

환경교육 차원에서 검토된 중학교 과학 자연환경과 우리 생활 단원의 탐구활동 내용에 대한 분석 및 그 개선방안 (An analysis and their improvement plan on the inquiry activity contents presented at a chapter on natural environment and our lives in science textbook of Middle school investigated in viewpoi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 이창석
    • 한국환경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교육학회 2002년도 후반기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79-85
    • /
    • 2002
  • Inquiry activity contents presented at a chapter on natural environment and our lives in 6 science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were analyzed based on kinds of the inquiry Loaming classified by textbook.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y subjects showed severe variation as mean value was 8.3${\times}$3.7 ranged from 4 to 15. Moreover, textbooks had little common point among each other as the percentage of subjects appeared together in the textbooks more than 3 kinds, 50% of total ones investigated, was just 26.3%. Data interpretation occupied significant position in the inquiry activity as 42% of total activity contents, whereas observation and experiment (or survey) did slight part of the activity as 10% and 16%, respectively even though they are main factors of science education. A model for field education based on the reasonable common subjects was prepared in the Gildong ecological park located In the eastern fringe of Seoul as a pla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 PDF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물질 부분)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Textbook(Materials Part) By Using 3-Dimensional Analysis Framework)

  • 김윤희;문성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4-287
    • /
    • 2000
  •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물질단원)의 내용분석을 통해 전체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고 6차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탐구활동을 탐구 내용 영역, 탐구 과정 영역 및 탐구 상황 영역으로 구성된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에서는 풍부한 학습자료와 읽을거리를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흥미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하고 있었다. 3차원 분석틀 중 탐구 내용 영역 분석에서는 교육과정 목표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다양한 탐구활동을 통해 다루고 있었으며 탐구활동의 횟수도 교과서당 평균 16회 정도로 각 교과서의 탐구 활동 횟수가 유사하였다. 탐구 과정 영역의 분석에서는 자료해석 및 일반화가 39.1%, 관찰 및 측정이 30.8% 로 대부분올 차지하고 있어 공통과학 교과서의 기본 목표에서 볼 때 상위의 탐구과정 요소의 반영 비율을 좀 더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탐구 상황 영역의 분석에서는 과학적 상황이 81.3%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현대 과학 교육의 주요한 교육운동인 STS 관련 내용은 18%에 불과하여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영역 물질대사 관련 탐구활동 분석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Metabolism Presented in Lif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 심규철;안중임;김현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2-21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nection among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Metabolism' presented in lif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To perform this, the type, process and context of inquiry activities of life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is gradually increased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 As result of analysis, types, processes and skills, and context of inquiry were not balanced according to textbooks and school levels. It is suggested that the framework of evaluating inquiry activities based on curriculum objectives be provided when developing science textbooks. It also implies that teachers need to reconstruct inquiry contents and activities suitable to school situations when they teach in the real fields of education.

삼차원 분석에 기초한 2015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과학사 자료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History Materials for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ree-Dimensional Analysis)

  • 김형미;강경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145-156
    • /
    • 2020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총 1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과학사 자료 삼차원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과학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각 학년별로 과학사 자료들이 특정 단원에 편중되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 자료에 대한 삼차원 분석 결과 모든 학년에서 공통적으로 개념적-기본적-발견/고안 유형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수업 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맥락이 가장 많았고, 역할 차원에서는 기본적 역할이 주를 이루었다. 제시 유형으로는 발견/고안 유형이 가장 많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들이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있고, 수업 맥락과 역할이 측면에서도 일부 요소들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앞으로 다양한 과학사 자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되는 과학사 자료들이 다른 맥락들에서 다양한 역할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사회정서학습 요소 분석 (Analysis of Science Social Emotions Learning on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 김서영;박현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63-170
    • /
    • 2022
  •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중등학교의 모든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공통과목인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성취기준 139개와 교과서 활동 496개를 대상으로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경우, 7개의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 중 '문화적 이해'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고, '수리', '창의적 사고'는 중학교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 '사회적 기술', '윤리적 이해'는 고등학교에 높은 빈도로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 활동의 경우,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사회정서학습 요소의 경향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사회적 기술' 등이 중점적으로 제공되고, '윤리적 이해'와 '문화적 이해'는 제한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총체적인 사회정서학습 요소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구체화 또는 교과서 활동 및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보완 등이 필요하다.

한국, 일본, 미국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지구온난화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lobal Warming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Textbook of the Korea, Japan and U.S.A.)

  • 정윤정;최돈형;조성화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3호
    • /
    • pp.50-61
    • /
    • 2010
  • As the influence of mankind's actions grows on the earth's climate, the necessity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s increasing everyday. Therefore, this study will discuss desirable courses about climate changes education that can be used throughout the world. It is meaningful to try to compare the contents and scope of earth global warming education courses of different nations. where education and a research about earth global warming occur simlutaneously. This is key because global warming is not just a national issue, but an international issue. Therefore this study ne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over the world to devise an improvement plan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on an internation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global warming educational contents which appeared in Korean textbooks to Japanese and American textbooks, and analyz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Also, we will discuss desirable global warming educational instructional strategies.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nations by looking at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using an analysis form. Even though the researchers of an each nation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 through common analysis forms, this study utilized a common analysis method with a colleague researcher regarding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 environmental science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udy in each nation. Also th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were aggregated as This study collected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nation. The researcher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o engage in repeated discussion and the sharing of results.

  • PDF

고등학교 ‘공통과학’의 교과내용 및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Contents and Textbooks)

  • 이광호;최종범;박문국;조규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53-463
    • /
    • 1997
  • 제6차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1996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공통과학'과목의 교과 내용과 7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 구성 체계 및 단원별 내용의 양적 분포, 교과 내용의 구성, 탐구 활동의 내용, Schwab의 탐구 활동 수준 분류, 부록의 구성, Slayer & Bay의 목적군을 이용한 분석, Romey의 정량적 분석 등을 실시했다. 교과서의 구성 체계는 모든 교과서가 교육부가 제시한 원칙에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교과서의 총 면 수는 7종의 교과서가 $471{\sim}519$면으로 구성되었고 '물질', '힘', '생명', '지구' 단원간의 배분을 적절히 유지하였으며 특히 통합 단원의 의미가 있는 '에너지'와 '환경'단원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공통과학'은 통합 과학의 의미를 살리려는 의도는 엿보이나 아직도 교과 내용이 화학적 통합을 완전히 이루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주제로 그 원인과 과정을 밝히는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일 것이다.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탐구 활동의 종류는 11가지 인데 대부분 '자료해석', '실험', '조사', '토의'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탐구활동 중 실험은 96.1%가 Schwab의 탐구 요구 수준의 제1수준에, 3.9%가 제2수준에 해당하였고, 제3수준에 해당하는 실험은 없었다. 교과서의 부록은 총 26종이 제시되어 있는데 모든 교과서가 '교과서 내용 풀이'를 포함하고 있고 기타 특정 분야에 편중되는 등 다양한 자료를 담지 못하고 있다. Slayer & Bay가 제시한 종합 연구의 목적군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과서의 내용이 대부분 학문적 준비에 치우쳐있다. 그러나 '환경' 단원의 경우는 사회적 필요에 따른 내용을 상당히 포함하고 있다. Romey의 정량적 분석 결과는 문장, 그림 및 도표, 장 끝의 질문, 학생의 학습 활동 수 등이 $0.4{\sim}1.5$ 사이의 값으로 학생 참여를 적절히 유도하는 발견 지향적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장의 요약은 본문 내용을 반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공통과학 과목은 새로운 현대 사회에 부응하는 교과 목표와 체계를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도 통합과학으로서의 내용과 체계를 완전히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7종의 교과서가 교육 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하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