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district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1초

읍 중심부 상가건물 디자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거창읍 중앙로타리 주변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mercial Building Design in the Central Area of a Small Town - Focused on the Central Rotary District in Geochang-eup -)

  • 주우일;권현철;김근성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8
    • /
    • 2009
  • Townscape design is now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t in city management as a means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its dwellers.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local residents on townscape has been greatly changed. As a part of this effort, the plan to improve the townscape of the central rotary district in Geochang-eup has been examined in multilateral ways. In this plan, first, improvement for proper buildings was studied. Second, betterment for street furniture around the central rotary was considered. Third, making a landscape square around it was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ose considerations, this article intends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commercial buildings of the central rotary district which has the greatest symbolicity in Geochang-eup.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o the dwellers beforeh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on creating townscape for the central rotary district and collected their opinions on it. According to the result, among the elements of townscape in the shopping district around the rotary, the externals of the buildings such as signboards, color, and shape and the pleasantness part like the maintenance of telegraph poles occupied the highest portion on the street. And It is proposed 4 Alternative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commercial building design in the central rotary district of geochang-eup.

  • PDF

District Energy Use Patterns and Potential Savings in the Built Environment: Case Study of Two Districts in Seoul, South Korea

  • Lee, Im Hack;Ahn, Yong Han;Park, Jinsoo;Kim, Shin D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8권1호
    • /
    • pp.48-58
    • /
    • 2014
  • Energy efficiency is vital to improve energy security,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and economic performance. Improved energy efficiency also mitigates climate change by lower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Buildings are the single largest industrial consumer of energy and are therefore key to understanding and analyzing energy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opportunities for saving energy at the district level in urban environments. This study focused on two representative boroughs in the major metropolitan area of Seoul, South Korea as a case study: Gandong-gu, a typical residential district, and Jung-gu, a typical commercial district. The sources of the energy supplied to the boroughs were determined and consumption patterns in different industry sectors in Seoul used to identify current patterns of energy consumption. The study analyzed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s for five different building categories and four different sectors in the building using a bottom-up energy modeling approach. Electricity and gas consumption patterns were recorded for different building categories and monthly ambient temperatures in the two boroughs. Finally, a logarithmic equation was developed to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commercial activity and cooling energy intensity in Jung-gu, the commercial district.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are made regarding the current energy consumption patterns at the district level and government energy policies are suggest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hen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both commer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근대(近代) 도시화(都市化)에 따른 전라도(全羅道) 전통(傳統) 소도읍(小都邑)의 공간구조변화과정(空間構造變化過程)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raditional Small City Structure in Jeollabuk-Do)

  • 이경찬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3호
    • /
    • pp.21-34
    • /
    • 2002
  •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patial structure of traditional small city structure in Jeollabuk-Do in the process of modern urbanization between 19th century and the year 2000. The small cities, IM-PI, YONG-AN, YEO-SAN, OK-GOO, GO-SAN, MU-JANG, GUM-MA, GO-BU, which have been local administrative center in CHO-SUN dynasty, have role of local administrative center of subdivision of country-myon, except OK-GOO.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patial structural elements of with the actual field surveys, the analysis of Gunhyun map made in 1872, land registration maps in 1910s and 2000, and various topological maps. The elements of analysis are the topological site and geographical situation conditions, the urbanized areas, the street systems, the function of streets, the focal points of urban land use, the land use systems, and the locatio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administration facilities, markets, bus terminals. The analytical point of view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l matrix route system and the growth pattern of urbanized areas, Especially on the contrary to the matrix route with East-West direction which has the role of checking the growth of urbanized area, the South-North direction route acts as the leading line of the growth. The focal points structure of urban land use shows transformation process from the point of central space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front of Nae-A, to the access point to administrative district or to the access point to housing and neighborhood commercial area. From the point of functional area structure and major facilities location, line-type commercial area is developed along the line of central axis route and access route to administrative district. Especially direction of the growth of commercial area is strongly connected wit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area and its neighboring cities. Pattern of commercial district development is varied with the direction of matrix route. That is, commercial district, which shows one side development pattern along the East-West direction route, is developed on both sides of street along the South-North direction route.

  • PDF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분산투자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의 오피스 빌딩 및 소매용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 (Diversified Investment of Commercial Real Estate Assets - Focused on Office Building and Retail Real Estate Markets in Seoul -)

  • 박종권;전재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44-155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오피스 빌딩 및 소매용 부동산 자산 간 권역별 포트폴리오의 구성을 통해 서로 다른 용도의 상업용 부동산 간의 분산 투자 시, 포트폴리오의 위험-수익률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투자의 효율성과 성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Markowitz의 평균-분산모델을 토대로 서울지역의 오피스 빌딩 자산과 소매용 부동산 자산을 권역별로 분류하여 이들 간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포트폴리오의 투자성과, 효율성, 그리고 Sharpe 지수에 기반한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의 3대 오피스 빌딩 시장인 강남권, 여의도 마포권, 그리고 도심권과 소매용 부동산의 3대 시장인 강남권, 신촌 마포권, 그리고 도심권에 대하여, 부동산 자산의 용도와 권역에 따라 투자비율을 달리해가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도심권 오피스 권역의 자산비중 10~30%와 도심권 소매용 부동산 권역의 자산 비중 70~90%로 구성한 포트폴리오가 가장 높은 분기별 Sharpe 지수인 2.7118~2.7776을 제시해 최적의 자산구성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의 분기별 수익률은 1.826%~1.838% 그리고 분기별 위험은 0.573~0.589였다. 또한 부동산 자산 간 권역별 포트폴리오의 구성 시, 서로 다른 용도를 지닌 자산간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의한 분산투자가 동일한 투자자산의 권역별 분산투자 보다 더 좋은 투자성과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부동산간접투자시장에서도 지역 및 용도별 분산투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부동산 및 건설경기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던저네스 게 성체와 유생의 역학: 지역 개체군 지표로서의 유생의 풍도 (Dynamics of Adult and Larval Dungeness Crabs: Larval Abundance as an Indicator of Adult Abundance in Regional Populations)

  • 박원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9-17
    • /
    • 2012
  •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bundance and zoea I (ZI) density of Dungeness crabs was investigated in southeastern Alaska. Commercial harvest data (catch per pot) for male crabs larger than 165 mm in carapace width were collected from the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ADF&G) management area, district 114 and a subdivision of district 114, 114C from 1996 to 2003. Commercial harvests of Dungeness crabs in the management area varied interannually. Commercial harvests decreased until 2000 but increased beginning in 2001. ZI density was obtained from zooplankton samples collected monthly from sampling stations within the same management district from 1997 to 2004. ZI occurred mostly in May and June, but as late as July in 1997 and 2002. ZI densities increased beginning in 1999. Total densities of Z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mmercial harvest data of adult male crabs within the management area, 114C (tens of square kilometers), containing the plankton sampling stations, but were not related to total commercial harvests within the larger geographic management area 114 (hundreds of square kilometers). We suggest that larval density may be an indicator of abundance of adult populations of Dungeness crabs.

머신러닝 기반 서울시 로컬브랜드 골목상권 추천시스템 설계 (Seoul Local Brand Alley Commercial Area Recommendation System Design Using Machine Learning)

  • 김지연;장효선;박민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01-109
    • /
    • 2023
  • 코로나 19 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년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 매출의 95.6%가 감소했으며, 방역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피해는 더욱 커졌다. 하지만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전부 해제되고 상권이 활기를 띠면서 서울시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한계에 부딪혀 폐업하였던 소상공인이나 예비 창업자를 위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재기할 수 있도록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의 대상으로 선정된 골목상권 5곳 중 창업자에게 적합한 골목상권을 추천하는 모델을 설계했다. 이 연구의 서울시 로컬브랜드 골목상권 추천시스템은 Xgboost를 이용한 인구관점 모델과 Decision tree를 이용한 상권특징 모델을 합쳐 해당 상권의 주요 인구 연령대와 주요 업종을 추천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젠트리피케이션 상권의 장소성 분류와 특성 분석 -서울시 14개 주요상권을 중심으로- (Class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Types of Gentrified Commercial Districts Based on Sense of Place Using Big Data: Focusing on 14 Districts in Seoul)

  • 김영재;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9권1호
    • /
    • pp.3-20
    • /
    • 2023
  •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상권의 장소성을 파악하여 상권의 확장과 쇠퇴 속에서 장소성의 구체적인 모습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수집된 대용량 문서를 활용하여 위계적 군집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지역별 장소성을 인지적 차원의 <경험>과 실재적 차원의 <상권특성>으로 구분하여 상권 군집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토픽모델링 기법과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상권별 매출액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상권은 고유한 특성을 가진 '연극 상권', '전통문화 상권', '여성 미용 상권', '고급음식점 및 의료서비스 상권', '트렌디 상권'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지역별 특색에 맞는 상업정책들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Appropriate Size of Stores and Countermeasures in Decline Commercial Area in the Original Downtown

  • Ryu, Tae-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11호
    • /
    • pp.49-57
    • /
    • 2021
  • Purpose: In this study, we try to figure out the appropriate size of commercial districts in the original downtown area through empirical studies targeting the Jinju Central Commercial Area in Gyeongnam and Cheonan Station in Chungnam, which are trying to regenerate a specific space that has been lost through government proje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district were examined through on-site surveys of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of Jinju, Gyeongnam Province, and Cheonan Station, Chungnam Province, and the size of the empty stores was determined. In addition, the standard median income was used as the survey data along with the survey of the mobile population in the commercial area. Result: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883 stores should be maintained considering the overall expenditure and gross sales profit within Cheonan Station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Currently, considering spending and margins in the Commercial Area, Jinju Central Commercial Area is a place where 222 stores can be sold excessively, and a proper commercial supply plan is needed.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demand prediction study in the commercial sector of the most basic sector to regenerate the commercial sector through major regional commercial districts.

딥러닝 기반 서울시 행정동별 외식업종 상권 변화 예측 (Predicting Changes in Restaurant Business District by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using Deep Learning)

  • 김지연;오수민;박민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459-463
    • /
    • 2024
  • 자영업자의 빈번한 폐업은 국가적인 경제 손실을 동반한다. 특히 외식업종이 가장 높은 폐업률을 보이기 때문에 외식업종의 상권 변화를 예측하여 업체의 생존에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외식업종의 생존율과 폐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나, 상권의 변화 정도를 예측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권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행정동별 상권 변화를 예측하는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을 설계한다. 첫째, 2023년과 2022년 2분기의 상권 변화와 관련된 변수를 수집한다. 둘째, 1년간의 등락 정도를 백분율로 환산한 후, 증강 단계를 거친다. 셋째,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상권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향후 본 연구를 고려한 외식업종 지원정책은 상권의 질적 성장 및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르코브 체인을 적용한 유동인구의 매출 및 이동 패턴 분석 (Analyzing Patterns of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Using Markov Chain)

  • 김봉균;이원상;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1-78
    • /
    • 2020
  • 최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으로 인하여 도심 내 지역 경제와 커뮤니티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지역 상권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상권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해를 위한 방법론을 소개하고 실증적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의 대표적인 지역상권인 가로수길과 가구거리의 유동인구를 이동통신 기지국 데이터를 통해 추적하고, 유동인구의 매출 패턴과 이동 흐름의 패턴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기반 유동인구 데이터에 마르코브 체인을 적용하여 지역 상권 이해의 중요한 요소인 유동인구 흐름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유동인구 흐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상권 내 매출 정보와 결합되어 지역상권의 진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젠트리피케이션 등에 의해 침체되는 지역 상권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더 나아가 도심 경제의 균형잡힌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