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Types of Gentrified Commercial Districts Based on Sense of Place Using Big Data: Focusing on 14 Districts in Seoul

빅데이터를 활용한 젠트리피케이션 상권의 장소성 분류와 특성 분석 -서울시 14개 주요상권을 중심으로-

  • 김영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 박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23.03.06
  • Accepted : 2023.11.06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14 major gentrified commercial areas of Seoul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ir sense of place.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using text data collected from Naver Blog. We divided the districts into two dimensions: "experience" and "feature"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using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of the text data and statistical data collected from Seoul Open Data Square. As a result, we classified the commercial districts of Seoul into 5 categories: 'theater district,' 'traditional cultural district,' 'female-beauty district,' 'exclusive restaurant and medical district,' and 'trend-leading distri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policy-makers to develop more efficient and suitable commercial policies.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상권의 장소성을 파악하여 상권의 확장과 쇠퇴 속에서 장소성의 구체적인 모습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수집된 대용량 문서를 활용하여 위계적 군집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지역별 장소성을 인지적 차원의 <경험>과 실재적 차원의 <상권특성>으로 구분하여 상권 군집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토픽모델링 기법과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상권별 매출액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상권은 고유한 특성을 가진 '연극 상권', '전통문화 상권', '여성 미용 상권', '고급음식점 및 의료서비스 상권', '트렌디 상권'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지역별 특색에 맞는 상업정책들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3A2A01089625)

References

  1. 경기도, 2022,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사업, 경기도.
  2. 경신원.정규리, 2019, 이태원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은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일어나는가?, 「서울도시연구」 20(2), pp.1-17. https://doi.org/10.23129/SEOULS.20.2.201906.1
  3. 국토교통부, 2018, 내 삶을 바꾸는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 국토교통부.
  4. 김다혜.양승우, 2020, 서울 망리단길 장소성의 인과구조 실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1(5), pp.127-138. https://doi.org/10.38195/judik.2020.10.21.5.127
  5. 김성현.김기홍.김재태, 2019, 전통시장의이용만족도 및 계속이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지역 골목형 시장을 대상으로,「주거환경」, 17(1), pp.23-44.
  6. 김주일, 2018, SNS 등 모바일 인터넷 매체의 활성화가 이용자의 장소선택과 요식업체 입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도시설계」, 19(4), pp.125-138. https://doi.org/10.38195/judik.2018.08.19.4.125
  7. 김희진.최막중, 2016, 문화특화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과정과 장소성 인식 변화의 특성: 삼청동과 신사동가로변을 사례로, 「국토계획」, 51(3), pp.97-112. https://doi.org/10.17208/jkpa.2016.06.51.3.97
  8. 박재희.김태형, 2020,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영향요인 및 발생지역의 입지특성, 「서울도시연구」, 21(4), pp.183-201. https://doi.org/10.23129/SEOULS.21.4.202012.183
  9. 박준홍.강준수.김수인.이수진.이새봄, 2021,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민간 도시재생지역의 장소성 변화 분석, 「인문사회」, 12(5), pp.217-232. https://doi.org/10.22143/HSS21.12.5.15
  10. 백영민, 2020,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개정판)」, 한울엠플러스. pp.19-21, 246.
  11. 법무부, 2002,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법무부.
  12. 부산시, 2017, 부산형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종합대책, 부산광역시.
  13. 서울시, 2015,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종합대책, 서울: 서울연구원.
  14.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옮김, 2014,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pp.112-113.
  15. 이기훈.이수기.천상현, 2018,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특성 분석, 「지역연구」, 34(1), pp.31-47. https://doi.org/10.22669/KRSA.2018.34.1.031
  16. 이선영.정남호.구철모, 2016, 도심 거리관광에서 나타나는 장소성과 젠트리피케이션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호텔관광연구」, 18(4), pp.1-24. https://doi.org/10.19034/KAYW.2016.18.4.01
  17. 윤윤채.박진아, 2016,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도시연구」, 17(4), pp.17-32. https://doi.org/10.23129/SEOULS.17.4.201612.17
  18. 정은애.김영기, 2022, 상권활성화 성공 요인 분석 및 정책 방향, 「주거환경」20(1), pp.193-210.
  19. 최막중.양욱재, 2018, 주거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효과, 「국토계획」, 53(1), pp.123-136. https://doi.org/10.17208/jkpa.2018.02.53.1.123
  20. 최종석.최현재.정철현, 2018,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시론적 연구, 「지방정부연구」, 22(2), pp.341-360. https://doi.org/10.20484/klog.22.2.15
  21. 허자연.정연주.정창무, 2015,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 경리단길 사례, 「서울도시연구」, 16(2), pp.19-33. https://doi.org/10.23129/SEOULS.16.2.201506.19
  22. Blei, D., B.,, Ng, A., Y., and Jordan, M., I.,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pp.993-1022.
  23. Glass, R. L., 1964, 「London: Aspects of Change」, MacGibbon & Kee.
  24.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25. Ley, D., 1996, 「The New Middle Class and the Remaking of the Central Ci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6. Ley, D., 2003, Transnational Spaces and everyday Lives,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29, pp.151-164. https://doi.org/10.1111/j.0020-2754.2004.00122.x
  27. Oldenburg R., 1989, 「The Great Good Place; Cafes Coffee Shops, Community Centers Beauty Parlors, General Stores, Bars, Hangouts, and How They Get You through the Day」, Paragon House, Newyork. pp.10-11.
  28. Pan, B., Maclaurin, T. and Crotts, J.C., 2007, Travel Blogs and the Implications for Destination Marketing, 「Journal of Travel Research」, 46(1), pp.35-46. https://doi.org/10.1177/0047287507302378
  29.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30. Shu, W., Lang, Q., Yunqiang, Z., Jia, S., Feng, L., Zeng, H., and Geng, W., 2021, A Web Text Mining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t the Town Level, 「Transactions in GIS」, 25, pp.2074-2103. https://doi.org/10.1111/tgis.12763
  31. Smith, N., 1979, Toward a Theory of Gentrification: A Back to the City Movement by Capital, not Peop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5(4), pp.538-548. https://doi.org/10.1080/01944367908977002
  32. Smith, N., 1987, Gentrification and the Rent Gap,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7(3), pp.462-465. https://doi.org/10.1111/j.1467-8306.1987.tb00171.x
  33. Yoon Y., and Park J., 2018, Stag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Seoul, 「Sustainability」, 10(7), pp.2440.
  34. Zukin, S., 2008, Consuming Authenticity: from Outposts of Difference to Means of Exclusion. 「Cultural Studies」, 22(5), pp.724-748. https://doi.org/10.1080/09502380802245985
  35. Zukin, S., 2010, 「Naked CIty: The Death and Life of Authentic Urban Places」 Oxford University Press.
  36. Zukin, S., Trujillo, V., Frase, P., Jackson, D., Recuber, T., and Walker, A., 2009, New Retail Capital and Neighborhood Change: Boutiques and Gentrification in New York City, 「City & Community」, 8(1), pp.47-64. https://doi.org/10.1111/j.1540-6040.2009.0126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