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model

검색결과 1,695건 처리시간 0.023초

계층화된 3차원 피부색 모델을 이용한 피부색 분할 (Skin Color Region Segmentation using classified 3D skin)

  • 박경미;윤가림;김영봉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809-1818
    • /
    • 2010
  • 피부색 영역의 검출을 위한 기존 연구들은 영상의 각 픽셀을 피부에 속하는 픽셀(피부픽셀)과 속하지 않는 픽셀(비피부픽셀)로 나누게 된다. 이때 정확한 피부색 영역을 검출하는 작업은 영상의 조명효과 및 화장에 의한 피부색 변형 등으로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 영역 검출을 어렵게 하는 여러 가지 요인을 포함한 영상들로부터 효율적으로 피부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계층화된 피부 모델과 컨텍스트 정보를 통합하여 피부 영역 검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획득된 영상들로부터 뽑아낸 피부색 색깔 값들의 확률분포를 YCbCr칼라 공간에 만들고, 그 확률 값에 따라 피부(Skin), 피부후보(Skinness), 비피부(Non-skin)의 3계층으로 분류한 3차원 피부색 모델을 만든다. 계층화된 피부색 모델을 이용하여 각 픽셀의 피부색 여부를 결정하고, 피부후보(Skinness)색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웃 화소의 정보를 고려하여 피부색 또는 비 피부색으로 정하게 된다. 제안 방법의 사용으로 피부색이 왜곡 되었거나 피부색과 유사한 객체가 포함된 다양한 영상들에서도 효율적으로 피부 영역을 분할할 수 있었다.

공감각인지 기반 근감각신호에서 색·음으로의 변환 시스템 (The System of Converting Muscular Sense into both Color and Sound based on the Synesthetic Perception)

  • 배명진;김성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62-469
    • /
    • 2014
  • 본 논문은 공감각의 공학적인 응용 및 표현방법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감각들 중 근감각을 시각 및 청각 요소로 변환하는 기본 시스템의 구축을 목표로 한다. 구축방법으로서, 근감각 신호를 3축 가속도 센서 및 2축 자이로센서로부터 계산된 롤(roll), 피치(pitch) 신호를 통하여 근감각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데이터에서 시각적 컬러 정보와 청각적 정보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롤 신호는 HSI 컬러 모델의 명도(Intensity)와 청각의 요소인 옥타브(Octave)로 변환하고, 피치 신호는 HSI 컬러 모델의 색상(Hue)과 청각의 음계(Scale)에 대응하여 변환한다. 추출된 HSI 컬러모델의 요소성분들을 기반으로 RGB 컬러모델로 변환한 후 실시간 컬러 출력신호를 얻는다. 또한, 청각의 요소인 옥타브 및 음계 성분을 기반으로 MIDI 신호로 변환, 합성한 후 실시간 사운드 출력신호를 얻는다. 실험에서, 신체의 움직임 즉 근감각을 표현하는 롤과 피치 값에서 색과 음 사이의 유사성에 기초한 변환관계에 따라 정상적인 색과 음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폴로지 연산과 가우시안 혼합 모형에 기반한 컬러 영상 분할 (Color Image Segmentation Based on Morphological Operation and a Gaussian Mixture Model)

  • 이명은;박순영;조완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3호
    • /
    • pp.84-9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모폴로지 연산과 가우시안 혼합 모형에 기초한 새로운 칼라 영상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리는 혼합 모형에서 구성 성분의 수를 결정하고, 각 구성 성분의 중심값을 계산하는데 모폴로지의 연산과 라벨링 연산을 이용한다. 그리고 칼라 특징 벡터의 확률 모형으로 가우시안 혼합 모형을 사용하고, 이들의 모수 값들을 추정하는데 결정적 어닐링 EM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혼합 모형으로부터 계산된 사후 확률을 이용하여 칼라 영상을 분할한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모폴로지 연산이 혼합모형의 수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각 성분의 모드를 계산하는데 아주 효율적인 방법임을 보였고, 또한 결정적 어닐링 EM 알고리즘에 의하여 추정된 가우시안 혼합 모형을 사용하여 계산된 사후 확률에 의한 영상 분할 방법이 기존의 분할 알고리즘보다 정확한 분할 방법임을 보였다.

피부색상을 이용한 유해영상 분류기 개발 (Development of an Adult Image Classifier using Skin Color)

  • 윤진성;김계영;최형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11
    • /
    • 2009
  • 최근 인터넷에 유통되는 유해영상이 급증하면서 이들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컴퓨터비전 기술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색상을 이용한 유해영상 분류도구를 연구 및 개발한다. 제안하는 분류도구는 2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에서는 피부색 분류기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에서 피부색 영역을 검출하고, 2단계에서는 영역특징 분류기를 이용하여 앞서 검출된 피부색 영역의 비율과 위치 특징을 무해 또는 유해로 분류한다. 피부색 분류기는 히스토그램 모델에 기반하여 무해영상과 유해영상의 RGB 값으로 학습되며, 영역특징 분류기는 SVM(Support Vector Machine)에 기반하여 영상의 29개 지역의 피부색 비율로 학습된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분류기는 92.80%의 검출율(Detection Rate)과 6.73%의 양성오류율(False Positive Rate)을 나타내었다.

개선된 영상생성 모델과 적응적 필터를 이용한 칼라 영상 보정방법 (Color Image Compensation Method using Advanced Image Formation Model and Adaptive Filter)

  • 최호형;윤병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0-18
    • /
    • 2009
  • 일반적으로 PDA, 모바일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으로 촬영된 영상은 촬영 장비의 생동 폭의 한계로 인해 낮은 영상 대비를 갖는 영상들이 획득된다. 이러한 이유로 영상 개선 방법은 여러 가지의 영상 촬영 장비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들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 영상 개선을 위한 몇 가지의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후광효과(halo-artifact), 회색계의 왜곡(graying-out), 칼라 잡음(color noise) 등의 영상 왜곡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레티넥스 기반 영상 향상 방법을 제안하며, 회색계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 HSV 칼라 좌표계를 사용하며, 후광효과를 줄이기 위해 영상을 전역조명성분, 국부조명성분, 반사성분으로 나누는 개선된 영상 생성모델을 적용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다른 방법들 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컬러 매트릭스 모델링에 의한 영상 인쇄물 위변조 검출 기법 : QR코드에의 적용 (An Effective Detection of Print Image Forgeries Based on Modeling of Color Matrix : An Application to QR Code)

  • 최도영;김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31-442
    • /
    • 2018
  • 2차원 바코드인 QR코드는 사진, 동영상, 지도, 명함 등 다양한 정보를 더 편리하게 담아낼 수 있다. 현재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QR코드는 다양한 인쇄 매체에 인쇄하여 연결된 인터넷 정보를 손쉽게 검색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QR코드는 정보보안이 용이하지 않아, 결재시스템에 활용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QR코드와 컬러 도안을 결합하여 새로운 코드를 설계하여, 제품 인증 시스템이 요구되는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CMYK 컬러 모델로 인쇄된 정품은 전자기기에서 RGB 컬러 모델로 캡처되며, 이때 컬러의 왜곡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컬러 매트릭스를 통해 측정하고, 통계 특성에 기초한 정품 인증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양한 종류의 컬러 코드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제품 인증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3차원 체적 모델의 생성을 위한 색상 최적화 함수 기반의 조명 보상 기법 (A New Illumination Compensation Method based on Color Optimization Function for Generating 3D Volumetric Model)

  • 박병서;김경진;김동욱;서영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98-60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실사 3차원 모델 생성용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영상에 대한 조명 보상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3차원 체적에 대한 촬영은 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시간에 따른 조명의 위치와 강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다시점 카메라는 총 8대를 사용하고, 공간의 중심을 향해서 수렴하는 형태이므로 조명이 일정하다고 할지라도 각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의 강도 및 각도는 다르다. 따라서 모든 카메라는 색상 보정 차트를 촬영하고, 색상 최적화 함수를 이용하여 획득된 8개의 영상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색상 변환 매트릭스를 획득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색상 보정 차트를 기준으로 모든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보정한다. 본 논문은 3차원 객체를 8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 취득할 시 카메라 간의 색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컬러 보정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3차원 영상으로 복원 시 영상 간의 색차가 줄어드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메이크업 색채활용시스템 개발을 위한 화장색 이미지 지각 및 선호도 연구 - 20대 여성 모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Make-up Color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Make-up Color System - Focused on a Female Model in Her Twenties -)

  • 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5호
    • /
    • pp.712-728
    • /
    • 2005
  • This study consists of the stimuli of a female model in her twenties with twenty-three different facial make-up and survey on the differences of them for the development of make-up color system, based on the color-sense on the Korean's skin-tone and make-up color, to enforce the efficiency of beauty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is as followed. Firstly, Familiarity, Intelligence, Fitness, Charm, Tradition and Youth were came out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make-up color image perception. Secondly, the stimulus of bare face was evaluated as more familiar and intelligent than the one with image make-up but perceived as unhealthy and not untraditional. Thirdly, skin tone had a big impact on both in lip color that's been applied in monotonous make-up and in image make-up that had been applied in contrastive make-up. Through thes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skin tone and make-up colors were influential variables in the research on facial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against a female model in her 20s, and also the image test and preferen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contrasts.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ic tool for the development of make-up color applying system with image perception of statics of population variables and preference research. Also it aims to suggest the alternatives to perform the present collage make-up education for more systematic and organized education.

  • PDF

퍼지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컬러 영상에서의 감성 인식 (Fuzzy Model-Based Emotion Recognition Using Color Image)

  • 주영훈;정근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30-33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인간의 감성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컬러 영상으로부터 색모델을 이용하여 피부색 영역을 추출한다. 그 다음, 추출된 피부색 영상으로부터 Eigenface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마지막으로, 얼굴 영역으로부터 인간 얼굴의 특징 점(눈썹, 눈, 코, 입)들을 추출하고, 각 특징 점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로부터 인간의 감성(기쁨, 놀람, 슬픔, 분노)을 인식하는 퍼지 모델을 구성한다. 이 모델로부터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인간의 감성을 추론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은 실험을 통해 그 응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인간심리를 이용한 감성 모델과 영상검색에의 적용 (Emotional Model via Human Psychological Test and Its Application to Image Retrieval)

  • 유헌우;장동식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8-78
    • /
    • 2005
  • A new emotion-based image retrieval method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research was motivated by Soen's evaluation of human emotion on color patterns. Thirteen pairs of adjective words expressing emotion pairs such as like-dislike, beautiful-ugly, natural-unnatural, dynamic-static, warm-cold, gay-sober, cheerful-dismal, unstablestable, light-dark, strong-weak, gaudy-plain, hard-soft, heavy-light are modeled by 19-dimensional color array and $4{\times}3$ gray matrix in off-line. Once the query is presented in text format, emotion model-based query formulation produces the associated color array and gray matrix. Then, images related to the query are retrieved from the database based on the multiplication of color array and gray matrix, each of which is extracted from query and database image. Experiments over 450 images showed an average retrieval rate of 0.61 for the use of color array alone and an average retrieval rate of 0.47 for the use of gray matrix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