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mixing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31초

PDMS 굴절 조정층이 Mn-Doped SnO2 (MTO)/Ag/MTO/PDMS/MTO 투명전극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DMS Index Matching Layer on Characteristics of Mn-Doped SnO2 (MTO)/Ag/MTO/PDMS/MTO Transparent Electrode)

  • 조영수;장건익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408-411
    • /
    • 2018
  • We fabricated highly flexible Mn-doped $SnO_2$ (MTO)/Ag/MTO/polydimethylsiloxane (PDMS)/MTO multilayer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To reduce refractive-index mismatching of the MTO/Ag/MTO/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ndex-matching layers were inserted between the oxide-metal-oxide-structured films and the PET substrate. The PDMS layer was deposited by spin-coating after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PDMS and hexan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index-matching layer on the color and reflectance differences with different PDMS dilution ratios. As the dilution ratio increased from 1:100 to 1:130, the color difference increased slightly, while the reflectance difference decreased from 0.62 to 0.32. The MTO/Ag/MTO/PDMS/MTO film showed a transmittance of 87.18~87.68% at 550 nm. The highest value of the Haacke figure of merit was $47.54{\times}10^{-3}{\Omega}^{-1}$ for the dilution ratio of 1:130.

쌀젖산발효물과 대두단백젖산발효물의 혼합에 의한 라이소거트의 개발과 특성 (Risogurt, a Mixture of Lactic Acid Fermented Rice and Soybean Protein: Development and Properties)

  • 목철균;한진숙;김영진;김남수;권대영;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45-749
    • /
    • 1991
  • 대두단백젖산발효물과 쌀젖산발효물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쌀젖산발효물은 색택, 향미가 우수하였고 대두단백 젖산발효물은 영양과 물성이 우수하였다. 쌀젖산발효물과 대두단백 젖산발효물 각각의 우수한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들을 혼합하였고 이혼합물을 라이소거트라 명명하였다. 라이소거트는 대두젖산발효물 보다 향, 맛, 색택, 종합적기호도가 월등하였으며, 영영 및 유변학적 특성면에서 쌀젖산발효물 보다 우수하였다. 라이소거트의 적정혼합비율은 쌀젖산발효물: 대두단백젖산발효물 75:25 이었다.

  • PDF

현대 단청용 장단육색의 기본 특성 및 사용 기준 연구 (Basic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Modern Dancheong Pigment Jangdanyuksaek (Incarnadine))

  • 김은지;정광용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7-476
    • /
    • 2015
  • 본 연구는 현재 단청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장단육색을 중심으로 현대 재료의 역학적 관계를 살펴보고 안료에 대한 물성 분석 결과 및 사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장단육색 조채 방법을 설문조사 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배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박락(剝落), 균열(龜裂), 이채(異彩) 현상이 적게 나타난 조건으로 직접 시편을 제작한 후 촉진 내후성 시험 및 자외선 열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당($TiO_2$)인 루타일형이 아나타제형보다 변색 및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나타제형의 경우 장단과의 혼색 과정에서 흡유량 차이로 인한 이채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대체재로 쓰이고 있는 수성 외부용 페인트는 황변화 현상이 심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분은 열화 후 명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 조채 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응집 및 정밀여과 처리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agulation and MF Membrane Process for the Reuse of Sewage Effluent)

  • Paik, Ke-Jin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3호
    • /
    • pp.36-43
    • /
    • 2005
  •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이용을 위해 2004년 1월$\~$12월까지 수질상태를 조사하였다. BOD, SS, 탁도, 총인과 색도의 월별로 조사한 연평균은 각각 4.1mg/L, 2.9mg/L, 0.8NTU, 1.3mg/L, 27unit이었다. 쟈테스트는 급속혼화 5분, 완속교반 15분, 침전 1시간의 조건하에서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응집제는 Alum과 폴리염화알루미늄이고, 방류수 중의 색도, 탁도, 총인, 총유기탄소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특히 폴리염화알루미늄을 사용시 탁도와 용존성인의 제거 효과가 좋았다. 응집공정과 연속한 정밀여과 공정에 의한 유기물의 제거효과를 조사한 결과, 분자량 1,000 Dalton 이상의 범위에 있는 물질의 제거가 잘 이루어진 반면, 소독부산물의 생성에 영향을 주는 분자량 500 Dalton 이하 물질의 제거율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복합공정에서 이 범위 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흡착공정 등의 추가공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감잎분말을 첨가한 냉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engmyon Added with Persimmon (Diospyos kaki L. folium) Leaf Powder)

  • 남성구;이보수;박주석;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7-343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감잎을 냉풍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첨가한 냉면의 반죽과 숙면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결합능력은 무첨가구와 감잎 분말첨가구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아밀로그래프 상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 도달시간은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고,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다. 면의 조리적성에서 조리 후의 무게는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고, 감잎분말 첨가량에 따른 부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리 손실율과 탁도는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다. 숙면의 색도는 무첨가구의 L값과 a, b값이 가장 높고,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낮아졌다. 색차는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으나 6, 8, 10%에서의 색차는 변화가 없었다. 조리면의 조직감은 측정한 결과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ess, gumminess의 값은 감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갈이 감소하였다. 관능 검사결과는 color, flavor, texture, taste, overall acceptance 모두 무첨가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4%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종합한 결과 산업화를 위한 냉면에 감잎을 첨가한 4%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로스팅 뽕잎과 오디 혼합차 개발 (Development of Optimization Mixture Tea prepared with Roasting Mulberry Leaf and Fruit)

  • 김애정;강현정;김민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40-1049
    • /
    • 2016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mixed tea prepared with roasted mulberry leaf and frui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Roasting of mulberry leaf was by 6 stages, as shown in Fig. 1; and mulberry fruit was roasted in 4 stages, as shown in Fig. 2. Subsequently, physicochemical measurements such as total polyphenol content, nitric oxide production conten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were obtained for each sample.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applied to prepare samples containing varying contents of roasted mulberry leaf (RoML) and roasted mulberry fruit (RoMF); subsequently,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roasted samples (RoML and RoM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samples (RaML and RaMF), respectively.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of roast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LPS induced RAW 264.7 cell).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roasted samp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samples, respectively. Based on the RSM estimation for determination of optimum ratio by sensory evaluation (taste, color, and flavor) among 13 mixed samples, the optimum mixing ratio of RoML and RoMF for taste, color, and flavor were 1.64 g (RoML) and 0.88 g (RoMF), 1.35 g (RoML) and 0.92 g (RoMF), 1.65 g (RoML) 1.03 g (RoMF), respectively. Based on results of three sensory evaluations, mixing ratio comprising 1.54 g of RoML and 0.92 g of RoMF is desirable for delicious tea with functionality.

혼합물 실험계획법에 의한 쑥 첨가 찜 케이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teamed Cake with Mugwort (Pseudosasa japonica Makino) Powder)

  • 오석태;박정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76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al ingredient mixing ratio for the preparation of steamed cake containing mugwort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owder. After preliminary studies, the following ingredient ranges were determined; 110~129% sugar, 3~8% mugwort powder, 10~25% oil. Among the different mixture designs, the D-optimal design was chosen for analysis. The results of F-test, specific gravity, viscosity, volume and color values (L, a, b), hardness decided a linear model, whil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col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decided a quadratic model. The fitnes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 all characteristic, the probabilities were significant within 0.05%; thus, the models were accepted as appropriate. The response surface and trace plot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amounts of mugwort powder decreased the brightness, and increased redness and yellowness. As the level of added oil increased, the softness of the cake increased. Cake samples received low sensory evaluation scores when sugar, mugwort powder, and oil were added above their optimal levels. The optimum formulations by the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ere similar, and with the numerical method presented as: sugar, mugwort powder, and oil at 120.7%, 5.1%, and 16.2%, respectively(flour weight basis).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dding mugwort powder to sponge cake, and therefore, the commercialization of mugwort powder cake marketed as a functional food is deemed possible.

청국장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heongkukjang Powder)

  • 박경심;장정옥;윤혜경;김형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0-258
    • /
    • 2010
  • 본 연구는 설기떡에 청국장 가루를 첨가하여 기능성이 있는 설기떡을 만들기 위한 배합비를 찾아내고자 하여 청국장 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일반성분, 색도, 관능평가와 텍스쳐 특성 등을 실험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회분은 대조구에 비해 회분함량이 유의하게 적어졌으며, 조지방, 조단백질은 청국장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청국장 가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는 낮았으나,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았다. 첨가량에 따른 텍스쳐 변화는 청국장 첨가량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대조구와 비교할 때 견고성, 부착성, 응집성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대조구의 씹힘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부착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에서 색과 향에서는 청국장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청국장 첨가구 중에서는 전반적인 기호도는 5% 첨가구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것의 배합비가 쌀가루 68%, 청국장 가루 5%, 설탕 10%, 물 17%일 때 최적의 맛을 나타내었다.

  • PDF

조 분말의 첨가가 sponge cake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Millet Flour)

  • 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52-958
    • /
    • 2004
  • 식이섬유원으로서 메조와 차조 분말을 sponge cake 제조에 이용하고자 10-50%의 비율로 첨가하여 cake 제조적성 및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식이섬유는 박력밀가루가 2.23%인데 비하여 메조 5.04%, 차조 5.72%로서 2배 이상 높았으며,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는 메조, 차조 모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Rapid Visco Analyser에 의한 호화특성에서 maximum, minimum 및 final viscosity는 메조와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올로지특성에서 peak time 및 peak height는 메조와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Sponge cake의 crust color의 L 값은 메조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차조첨가군은 대조군보다는 L 값이 높았지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rumb color의 L 값은 메조, 차조첨가군 모두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Sponge cake의 부피는 메조 및 차조를 첨가함으로써 감소하였고, 10% 첨가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0% 첨가수준부터는 대조군에 비해 품질이 떨어졌다.

Evaluation of Fermented Food Wastes (FFW) as Feedstuffs on Meat Qua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 Jung, Woo-J.;Kim, Tae-H.;Lim, Kye-T.;Kim, Kwang-H.;Lee, Sung-D.;Chin, Koo-B.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6-220
    • /
    • 200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the fermented food wastes (FFW) on meat quality, twenty pigs produced from four treatments with different mixing rates of FFW [100% concentrate (control), 25% replacement with FFW (25% FFW), 50% replacement with FFW (50% FFW) and 100% fermented food wastes (100% FFW)] were slaughtered.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iated if FFW replacement rate was higher than 50%.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hams and loins in control pigs were not different from (p>0.05) those of the FFW replacements, regardless of mixing rate of FFW replacement. Drip loss of pork loin increased (p<0.05) with increased rate of FFW replacement. Hunter color values were affected (p<0.05) by the FFW replacement and storage time, while not significantly changed (p>0.05) when replaced with lower than 25% FFW. With replacing more than 50% FFW, redness values tended to be decreased, while yellowness values increased. Aerobic plate counts (APC) were rapidly increased 12 d for the control and 8 d for FFW replacement, and microbial stability seemed to be lowered when the rate of FFW replacement rate was more than 50%.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placement of concentrate diets with FFW was still nutritious feedstuffs for pig diet, however, no more than 50% FFW replacement was recommended to have similar effect to those with the control (100% concent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