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lonial educat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근대 자수문화 연구 (A Study of Korean Culture of Embroidery Art in Modern Times)

  • 권혜진
    • 복식
    • /
    • 제63권8호
    • /
    • pp.1-13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from the beginning of Korean modern times to 1945 which was the year of independence from Japan. An objective basis is presented by the analysis of articles and illustrations from the press and publications of the corresponding ti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which connected traditional times with modern Korean culture in order to investigate its identity. Due to Korea's modern embroidery art being started in the Japanese colonial times, there are some limits in it because of it being influenced by Western modern embroidery art and Japanese embroidery design. However,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expanded from the private space to public space such as schools, open lectures and exhibitions. It has also accepted diverse foreign embroidery forms, which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accepted as art. The embroidery craft as commerce and art has given women the chance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and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Modern Korean embroidery was art for the modern woman who had been educated in academic art, as well as a liberal art for wealthy housewives. It was the founda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for poor rural women. It can be concluded that Modern Korean embroidery art has been accepted and developed by women in modern times.

일본 식민지시대의 경관개념어 연구 -육당의 [조선의 산수]에 나타 난 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the Word "Kyoung" of Choi Nam-Sun)

  • 정하광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28
    • /
    • 1992
  •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formation and classify the diverse concepts which related to Kyoung(景) of Chio Nam-Sun at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 turning point in the korean history). The cultural policy of th Japanese Government-General was aimed at the destruction of Korean nationalism and racial consciousness and the rapid Japanizatio of the Koreans. In the name of assimilatio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was first simply discouraged while the movement for the use of Japanese was stepped up, the use of the Japanese language was forced upon the Koreans, and textbook revis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velop Shinto nationalism and loyalty to the emperor and the st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ype of landscape concept was 10 types and had the following frequencies in order; Pung-Kuoung(風景)(42), Kyoung-Chi(景致)(21), Koang-Kyoung(光景)(8), Kyoung-Sung(景勝)(7), Kyoung-Gae(景槪)(5), Kyoung-Goan(景觀)(2), Sung-Kyoung(勝景)(2), Kyoung(景)(2), Sil-Kyoung(實景)(1), Pung-Kyoung-Goan(風景觀)(1). Types of landscape concepts in critical periods were classified into 10 according to the many characteristics; personal situations, cultural policy and education policy of Japanese.

  • PDF

문중문고(門中文庫)에 대하여 -특(特)히 수봉정사(壽峰精舍).영규헌(映奎軒) 우문고(雨文庫)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Clan Community Library in Korea)

  • 이춘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8-101
    • /
    • 1974
  • The libraries that exist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Yi Dynasty may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 royal library, the school library, the clan community library, and the private library. Of these, the clan community library has yet received very little attention in the study of Korean libraries. In this study the author discusses the purposes, functions, and collections of the clan community library to clarify what that particular type of old libraries in Korea was. The clan community library functioned within individual clan communities to give young peopl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protecting them from possible influences of. Japanese version of Western scholarship which had threatened the traditional value systems of the society.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lan community library was a unique community institution created by Korean people, and the Korean public library movement should trace its origin back to the activities of the libraries. Unfortunately the growing suppression and control of the Japanse colonial regime upon the traditional schools made the purposes and development of the clan community library movement a tragic experience before its flowering. The clan community library was a Korean native public library which came out in response to a historical situation and community need. It may deserve more attention in future study of the national library movement of Korea.

  • PDF

대구 신천(新川) 유로에 관한 새로운 해석 (A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River Channel of Shincheon in Daegu)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89-69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과 고지도 등을 통해 신천 원유로의 위치를 고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78년 이전의 신천이 현재의 신천 유로와는 달리 대구 중심부를 흘렀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둘째, 현재의 신천이라는 지명은 1778년 대구 판관 이서가 새롭게 조성한 물줄기라는 의미에서 그 명칭이 생겨나게 되었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 셋째, 신천의 한 분류로 인식되어온 대구천은 그것의 발원지가 신천과는 다른 앞산의 계곡(삼정골 또는 강당골 일대)과 그 일대의 작은 구릉지로 판단된다. 넷째, 일제강점기 때 대구천은 소멸되었으며, 다만 대구천 일부가 이천천으로 유로가 변경되어 신천으로 유입하고 있다. 다섯째, 신천의 유로는 역사시대 이래 지금까지 변화가 없었다.

  • PDF

근세 지도를 이용한 토사유출 및 항만구조물 주변의 지형변화 분석 (The sediment runoff and geographic change around coastal structure using Korean modern map)

  • 배선학;강상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5-142
    • /
    • 2012
  •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작성된 1:50,000 지도(이하 근세 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는 전국을 망라한 최초의 근대적 방법에 의해 제작된 지도이다. 본 지도는 주로 인문 지리적 관점에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지도의 높은 정확성이 인식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되었다. 특히 해안분야에 있어서는 해안 구조물 건설에 따른 장기적인 지형변화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독립된 해안 표사계에 대해 구조물의 건설 전후에 진행된 지형변화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기적인 해안의 지형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기점은 1910년도의 지형도로 하였다.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朝鮮佛敎觀-高橋亨を中心に (Making the image of Korean Buddhism :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TAKAHASHI Toru)

  • 川瀨 貴也
    • 대순사상논총
    • /
    • 제17권
    • /
    • pp.151-171
    • /
    • 2004
  • TAKAHASHI Toru (1878-1967)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Koreanologists in Japanese academic field. He was a professor of K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in the prewar period and Tenri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postwar period. He was majored i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and literature. His achievements, especially on Korean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still referred and influential. He wrote two pamphlets published by department of educa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20. This year was a year after of 3.1 Independent Demonstration. This riot might have demanded Japanese governors to survey about Korean mentality and characteristics. One of outcomes was Chousenjin (Korean People). The pamphlet tried to explain the Korean character in the perspective of a essentialism in Korean race. The other was a simple outline about history of Korean religions entitled Chousen shukyoushi ni arawaretaru sinkou no tokushoku (The characteristics of faith in the history of Korean religions). He explained that Korean religions, especially its Buddhism, were easily influenced by political condition. These pamphlets seemed to be typically colonialistic, since such neg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de Japanese colonial rule legitimated as the Mission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His discourses synchronized with the desir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article attempted to analyze his discourses in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 critics and sociology of knowledge.

  • PDF

$1920{\sim}30$년대 가사 교과서 육아단원의 외형 및 내용 분석 (A Study on the Contents of Child Rearing in Household Textbooks during the 1920s-30s)

  • 고상옥;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5-149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1922-1937년 사이에 발행된 가사교과서의 육아단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내용분석의 연구방법으로 문부성 검정을 받은 $\ulcorner$신시대 가사교본 하$\lrcorner$(1928), $\ulcorner$최신 가사교과서 하$\lrcorner$(1930), $\ulcorner$가사신교과서 하$\lrcorner$(1930), $\ulcorner$가사신교과서 하$\lrcorner$(1937)를 분석텍스트로 삼아 육아단원의 외형적 측면과 각 하위단원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식민지 시기 가정교과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당시에 요구되었던 '어머니 노릇'의 구체적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교과서의 육아단원의 단원별 체제는 크게 '편, 장, 절'의 체계로 되어 있으며, 다른 교과서에 비해 삽화, 표가 많았는데, 이는 시각적 자료를 통해 교과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라 여겨진다. 둘째, 육아단원은 '모성', '부인위생', '임신', '출산', '신생아 및 유아', '포유', '젖니', '이유', '유아의 의식주', '보육', '취학', '질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교과서별로 큰 차이가 없다. 셋째, 전반적으로 네 교과서는 '보육', '포유', '신생아 및 유아'에 많은 지면수를 할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 영역이 육아단원 가운데 중요한 내용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식민지 시대의 가사교과서는 임신과 출산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또 어머니는 올바른 육아를 위하여 아동의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의 습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다섯째, 가사교과서는 육아에 있어 청결과 위생을 강조하였다. 어머니는 아동이 쉽게 걸리는 질병의 종류와 관련된 의학적 지식을 습득할 것이 요구되었다.

  • PDF

1920-30년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 "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otherhood discourses' during 1920s and 1930s - Focusing on mothering education written in $\lceil$Shinyeosung$\rfloor$)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5-112
    • /
    • 2005
  • 이 연구는 $\lceil$신여성$\rfloor$ 에 실린 모성담론을 통해 식민지 시기 어머니 노릇의 구체적 내용 및 그 특징과 함께 모성 담론의 논리적 토대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담론분석의 연구방법으로 당대 가장 대표적 여성잡지인 $\lceil$신여성$\rfloor$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ceil$신여성$\rfloor$에 실린 모성담론의 내용은 (1) 여성의 어머니됨, (2) 아동관, (3) 우생학, (4) 아동양육 및 교육, (5) 아동 질병 및 간호, (6) 임신과 출산의 내용으로 나눠지며, 이것은 당시의 가사교과서의 육아단원과 큰 차이가 없다. 또한 모성담론의 집필진은 문인을 포함하여 대부분 의사${\cdot}$박사와 같은 전문가(experts)들이었다. 둘째, 모성담론의 주장에 '당위성'을 부여하는 논리적 토대는 (1) 어머니로서 여성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여성교육의 주장, (2) 모성은 여성의 본질적 특성이라는 성과학의 주장, (3) 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재된 위험과 질병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위대함을 찬양하는 의함담론의 주장이 있었다. 셋째, 식민지 시기 모성담론의 특성은, (2) 잡다한 어머니 노릇의 나열, (2) 자녀에 대한 세심한 관찰에 대한 강조 (3) 질병이 내재된 양육에의 위험성 강조, (4) 실천하기 매우 어려운 어머니 노릇의 제시, (5) 새로운 어머니 노릇으로 강조되는 학부모 역할로 정리할 수 있다.

  • PDF

1920~30년대 아동 독서운동 연구 - 아동도서관 운동과 독서지도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ildren's Reading Movement in the 1920s~1930s: Focus on the Children's Library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71-196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1920~30년대 『동아일보』, 『조선일보』에 게재된 이동도서관 설립 운동 및 독서지도론을 중심으로, 아동 독서운동의 전개상을 고찰하였다. 즉 당대 두 신문에서는 아동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아동도서관 설립의 필요성, 아동 독서지도 및 독서경향 관련된 기사들을 꾸준히 게재했다. 본고에서는 이를 주목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1920~30년대 아동 독서를 강조한 배경적 의미와 이와 병행된 아동서관 설립에 대한 논의들을 탐색했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민족운동과 아동교육의 관계, 당대 독서가 지니는 의미 등을 검토했다. 둘째, 이와 함께 당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아동도서관 운동 전개 양상과 독서란을 통해 제시되었던 독서교육 방법론을 분석하였다. 이 시기는 그 어느 때보다 아동 독서교육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다. 여기에 아동도서관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각지에 소년문고가 다수 설치되기도 했다. 한편 신문의 독서란에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독서지도법도 다수 게재되었으며, 선진적인 해외 독서교육 사례를 통해 그 모본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1920~30년대는 아동 독서운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덕혜옹주 유년기 사진의 내포적 메시지에 관한 연구: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적 사진 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noted Messages of Princess Deokhye's Childhood Photography: Focusing on Roland Barthes' Semiological Methodology for Analysis of Photography)

  • 한상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08-222
    • /
    • 2022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덕혜옹주의 소학교 입학 전 사진들이 신문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적 사진 분석 방법론을 도입하여 분석한 것이다. 1920년대 초, 일제는 자신들의 교육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소학교 입학을 앞둔 덕혜옹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매일신보는 덕혜옹주의 사진과 기사를 보도하면서 그들의 정책에 협조했다. 본 논문에서는 매일신보에 게재된 2장의 사진과 기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양한 사진의 수사적 기법과 텍스트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해 일본화 교육을 정당화시키는 메시지를 생산하면서, 독자들이 그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유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기사들은 단순히 정책의 홍보에 그치지 않고 조선의 전통적 가치의 소멸을 부추기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