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diment runoff and geographic change around coastal structure using Korean modern map

근세 지도를 이용한 토사유출 및 항만구조물 주변의 지형변화 분석

  • Received : 2012.09.26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map drawn on a scale of 1 to 50,000, modern Korea map drawn on a scale of 1 to 50,000 made by Japanese colonial era in 1910s, is the first topographical map using modern technical method. The map has been mainly used in human activities and geographic viewpoint, recently it is available on various field with recognizing high accuracy. It is especially expected that the map will provide us with lots of information on long-term change of topography in field of coastal area which is built on coastal structure.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analyzing before and after geographic change of coastal structure in independent drift sand system. The reference point to analyze long-term coastal geographic change was selected the map of 1910s.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작성된 1:50,000 지도(이하 근세 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는 전국을 망라한 최초의 근대적 방법에 의해 제작된 지도이다. 본 지도는 주로 인문 지리적 관점에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지도의 높은 정확성이 인식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되었다. 특히 해안분야에 있어서는 해안 구조물 건설에 따른 장기적인 지형변화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독립된 해안 표사계에 대해 구조물의 건설 전후에 진행된 지형변화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기적인 해안의 지형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기점은 1910년도의 지형도로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