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n26-L5 carcinom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9초

수삼추출물 첨가 혼합배지에서 조제된 상황 균사체 심부배양물 다당획분의 면역활성 증진 (Immune Enhancement of Polysaccharide from Submerged Culture with Phellinus linteus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Ginseng Extract)

  • 김훈;송기윤;정재현;정헌상;이현용;유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0-28
    • /
    • 2011
  • 면역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삼추출물(GE, $65^{\circ}$Bx)이 첨가된 액체배지(mushroom complete medium, MCM)에서 상황(Phellinus linteus, PL) 균사체를 배양하여 배양액과 균사체가 모두 포함된 심부배양물을 조제하고 조다당획분(CP)으로 분획하였다. MCM 부피에 대하여 GE가 15% 첨가된 혼합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수삼추출물-상황 심부배양물로부터 분획된 PL-GE-15-CP는 $100{\mu}g$/mL의 시료농도에서 GE-5와 10%가 첨가된 PL-GE-5와 10-CP 및 GE가 첨가되지 않은 일반-상황 심부배양물의 PL-CP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마크로파지(saline 대조군의 1.45배) 및 Peyer's patch를 경유한 장관면역 활성(1.46배)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획분인 PL-GE-15-CP는 DEAE-Sepharose CL-6B를 이용한 분획을 통하여 PL-GE-15-CP의 다른 획분 또는 시료대조군인 PL-CP로부터 분획된 모든 획분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마크로파지 활성, IL-12 생산능 및 장관면역 활성(각각 1.54, 3.96과 1.56배)을 갖는 다당획분인 PL-GE-15-CP-II를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PL-GE-15-CP-II는 동일 NaCl 농도에서 분획된 시료대조군인 PL-CP-II보다 시료농도 $200{\mu}g$/mouse에서 colon 26-M3.1 carcinoma cell에 대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암전이 억제활성도 보여주었다(대조군의 57.3% 억제활성). 한편, 활성 다당획분인 PL-GE-15-CP-II는 주로 중성당(82.45%)과 산성당(12.99%)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성당 분석결과에서 산성당과 함께 Ara, Man, Gal과 Glc의 중성당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molar ratio; 0.52:0.97:0.63:1.00:0.54). 결론적으로 GE가 첨가된 상황 심부배양물은 일반배지에서의 상황 심부배양물보다 면역활성이 높아 GE가 균사체 활성의 증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활성성분으로 다당류가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삼추출물 첨가 mushroom complete medium에서 배양된 영지버섯 균사체의 면역증진 효과 및 활성다당류 (Active Polysaccharide and Immune Enhancement of Ganoderma lucidum Mycelium Cultured in Mushroom Complete Medium Supplemented with Ginseng Extract)

  • 김훈;정재현;정헌상;황종현;유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33-640
    • /
    • 2011
  • 영지버섯 균사체(Ganoderma lucidum, GL)의 면역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본배지인 mushroom complete medium(MCM)에 수삼추출물(GE, 65$^{\circ}Bx$)을 농도별로 첨가한 혼합 액체배지에서 균사체를 배양한 후 원심분리로 균사체를 회수하여 동결건조하고 열수추출과 에탄올 침전처리를 이용하여 조다당획분(CP)을 분획하였다. MCM 부피의 15% GE가 첨가된 혼합배지에서 배양된 수삼추출물-영지 균사체의 GL-GE-15-CP는 100 ${\mu}g/mL$의 농도에서 5%와 10% GE가 첨가된 GL-GE-5-, 10-CP 및 GE가 첨가되지 않은 일반-영지 균사체의 GL-CP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마크로파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eyer's patch를 경유한 장관면역 활성도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획분인 GL-GE-15-CP는 DEAE-Sepharose CL-6B의 분획을 통하여 GL-GE-15-CP의 다른 획분 또는 시료대조군인 GL-CP로부터 분획된 모든 획분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마크로파지 활성, IL-12 생산능 및 장관면역 활성(각각 1.75, 5.68, 1.76배)을 갖는 다당획분인 GL-GE-15-CP-II을 분리하였다. 또한, GL-GE-15-CP-II는 동일 NaCl 농도에서 분획된 시료대조군인 GL-CP-II보다 200 ${\mu}g$/마우스의 농도에서 colon 26-M3.1 carcinoma cell에 대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암전이 억제활성도 보여주었다(tumor control의 72.8% 억제활성). 한편, 활성 다당획분인 GL-GE-15-CP-II는 주로 중성당(83.00%)과 산성당(9.11%)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성당 분석결과에서 Ara, Man, Gal와 Glc의 중성당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molar ratio; 0.28 : 0.39 : 0.50 : 0.75 : 1.00). 따라서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에 있어서 MCM 기본배지에 수삼추출물의 첨가는 균사체의 면역활성 증진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활성 다당획분의 구성당 분포를 비교할 때 중성 다당류가 면역활성 증진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발성 악성종양에 동반된 폐암의 임상 특징과 변이형 p53 발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bnormal p53 Expression of Lung Cancer Associated with Multiple Primary Cancer)

  • 신창진;박혜정;신경철;심영란;정진홍;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31-338
    • /
    • 1999
  • 연구배경: 악성종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법의 발전으로 악성종양 환자의 생존기간이 연장되고, 생존율 또한 과거보다 높아졌다. 또한 수술적 절제술로 악성종양을 제거한 환자 중 약 10% 정도는 약 10년이내 속발성 원발성 종양이 생긴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의 원인과 위험 인자 및 조기 진단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저자들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폐암과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특징과 p53 종양 억제 유전자 변이에 의한 변이형 p53 발현율을 조사하여 두 질환사이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방법: Moertel의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의 분류에 적합한 환자 중 폐암이 동반된 20례(비소세포암 16례, 소세포암 4례)와 비교군으로 원발성 비소세포암 26례를 대상으로 변이형 p53 발현율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곁과: 폐암과 동반된 악성종양은 위암이 8례로 가장 많았고, 식도암, 폐암, 대장암이 각각 2례 이었으며, 후두암, 방광암, 간암, 유방암, 부신암, 소장암이 각각 1례 이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과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남녀비는 각각 7:1, 2.7:1 이었고, 흡연력은 각각 16례 중 15례, 26례 중 19례가 있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은 원발성 비소세포암에 비해 임상적 병기가 비교적 균등하였으며(p<0.05), 조직학적 분화도는 나쁜 경우가 많은 경향이었다(p>0.05).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각각 62.5%, 76.7%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단백 발현율은 차이가 없었다. 변이형 p53 단백 염색법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을 구별하는데 유용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황기 및 천년초 첨가가 홍삼음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tragali Radix and Opuntia humifusa on Quality of Red Ginseng Drink)

  • 유상권;김성원;정경환;문성권;유광원;최원석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4호
    • /
    • pp.299-30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홍삼음료의 다양화 및 기능성 강화와 여러 기능성을 가진 황기의 식품으로의 활용에 역점을 두고, 기존의 증점제를 대신하여 동결건조 천년초열매를 첨가한 새로운 기능성 홍삼음료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높은 항산화활성을 지닌 황기추출물을 얻고자 추출용매의 지용성정도를 달리하면서(100(증류수) : 0(95% 에탄올), 75 : 25, 50 : 50, 25 : 75) $80^{\circ}C$에서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및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 증류수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추출물의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의 온도에 의한 황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추출용액의 온도를 달리하면서(60, $80^{\circ}C$)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80^{\circ}C$에서의 추출물이 증류수와 에탄올혼합비율과는 상관없이 대부분 $60^{\circ}C$ 추출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점증제를 대신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함유한 천연물 소재인 천년초분말을 선택하였으며, 구아검용액과 농도별 점도를 비교해 본 결과, 구아검 0.1%(w/v) 용액과 비슷한 점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천년초분말의 경우 1-2%(w/v)의 농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기와 천년초 첨가가 홍삼용액의 저장성($35^{\circ}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용액의 pH와 총미생물수를 7일 동안 측정하였다. 홍삼용액에 황기와 천년초를 첨가한 경우, 저장 1일째 부터 pH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저장 3일째에는 pH가 약 3.6까지 떨어진 다음, 저장 6일 이후에는 다소 pH가 증가하였으며, 천년초분말을 첨가한 용액에서는 황기의 농도증가에 의한 유의적 pH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천년초를 첨가한 홍삼용액의 경우 황기의 농도와는 상관없이 저장 7일째 미생물의 성장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천년초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6 log cycle 이상의 큰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황기(3, 5%, w/v), 천년초(1.2%, w/v)를 함유한 홍삼용액(5%, w/v)이 대장암 및 뇌종양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0.5 mg/mL과 1 mg/mL의 농도에서 살펴본 결과, 종양세포에 대한 의미 있는 증식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내장신경차단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Evaluation of Splanchnic Nerve Block)

  • 김수연;오흥근;윤덕미;신양식;이윤우;김종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권1호
    • /
    • pp.34-46
    • /
    • 1988
  • Intractable pain from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 abdomen is difficult to manage. One method used to control pain associated with these malignancies is to block off the splanchnic nerve. In 1919 Kappis described a technique by which the splanchnic nerve of the upper abdomen could be anesthetized, using a percutaneous injection. This method has been used for the relief of upper abdominal pain due to hematoma and cancer of the pancreas, stomach, gall bladder, bile duct, and colon.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1968 to January 1986, this method was used in 208 cases of malignancy at Severance Hospital and clinically evaluated. Patients were retroactively grou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echnique used. Twelve patients who received the treatment in the period from November 1968 to March 1977 were designate4i as group 1, 26 patients from April 1977 to April 1979 as group 2, and 170 from May 1979 to January 1986 as group 3.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splanchnic nerve block has been increasing since 1977. 2) A total of 208 patients, including 133 males and 75 females, ranging in age from 18 to 84 and averaging 51. 3) The causes of pain were stomach cancer 90, pancreatic cancer 69, and miscellaneous cancer 49 cases respectively. 4) There were 57.7% who had surgery. and 3.7% of whom had chemotherapy before the splanchnic nerve block was done. 5) These blocks were carried out with the patient in the prone position as described by Dr. Moore. For group 2 and 3, C-arm image intensifier was used. In group 1, a 22 gauze loom long needle was inserted at the lower border of the 12th rib on each aide about 7\;cm from the midline.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midline was $6.60{\pm}0.61\;cm$ on the left side and $6.60{\pm}0.83\;cm$ on the right side in group 2, and $5.46{\pm}0.76\;cm$ on the left side and $5.49{\pm}0.69\;cm$ on the right side in group 3. The average depth to which the needle was inserted was $8.60{\pm}0.52\;cm$ on the left side and $8.74{\pm}0.60\;cm$ on the right side in group 2, and $8.96{\pm}0.63\;cm$ on the left side and $9.18{\pm}0.57\;cm$ on the right side in group 3. 6) The points of the inserted needles were positioned in the upper quarter anteriorly, 51.8% on the left side and 54.4% n the right side of the L1 vertebra by lateral roentgenogram in group 3. The inserted needle points were located in the upper and anterolateral part, of the L1 vertebra 68.5% on the left side and 60.6won the right side, on the anteroposterior rentgenogram in group 3. The needle tip was not advanced beyond the anterior margin of the vertebral body. 7) In some case of group 3, contrast media was injected before the block was done. It shows, the spread upward along the anterior mal gin of the vertebral body. 8) The concentration and the average amount of drug used in each group was as follows: In group 1, $39.17{\pm}6.69\;ml$ of 0.5% -l% lidocaine or 0.25% bupivacaine were injected for the test block and one to three days after the test block $40.00{\pm}4.26\;ml$ of 50% alcohol was injected for the semipermanent block. In group 2, $13.75{\pm}4.88\;ml$ of 1% lidocaine were used as the test block and followed by $46.17{\pm}4.37\;ml$ of 50% alcohol was injected as the semipermanent block. In group 3, $15.63{\pm}1.19\;ml$ of 1% lidocaine for test block followed by $15.62{\pm}1.20\;ml$ of pure alcohol and $16.05{\pm}2.58\;ml$ of 50% alcohol for semipermanent block were injected. 9) The result of the test block was satisfactory in all cases. However the semipermanent block was 83.3 percent of the patients in group 1 who received relief from pain for at least 2 weeks after the block, 73.1% in group 2, and 91.8% in group 3. In these unsuccessful cases, 2 cases in group 1 were controlled by narcotics but 7 cases in group 2 and 14 cases in group 3 received the same splanchnic nerve block 1 or 2 times again within 2 weeks. But, in some cases it was 3 to i months before the 2nd block and in 1 cases even 7 years. 10)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of splanchnic nerve block were hypotensino(25.5%) occasional flushing of the face, nausea, vomiting, and chest discomfort. 11) For the patients in group 3, the supplemental block most commonly used was a continuous epidural block; it was used as a diagnostic block and to afford relief from pain before the splanchnic nerve block was done. 12) The interval between the receiving of the alcohol block and discharge was from 5 to 8 days in 61 cases(31.1%) and from 1 to 2 days in 48 cases(24.5%).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planchnic nerve block done in the prone position with pure and 50% alcohol immediately after an effective test block with 1% lidocaine under C-arm fluoroscopic control is satisfactory and reliable. How to minimize the repeat block is still a problem to be sol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