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bnormal p53 Expression of Lung Cancer Associated with Multiple Primary Cancer

다발성 악성종양에 동반된 폐암의 임상 특징과 변이형 p53 발현

  • Shin, Chang-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Hye-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Kyeong-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m, Young-Ran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in-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신창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혜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경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영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정진홍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9.30

Abstract

Background: Nearly 10% of cancer patients will develop a second primary cancer within ten years after surgical removal of the primary tumor. The detection of risk factors for developing multiple primary tumors would be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bnormal p53 expression of lung cancer associated with multiple primary cancer(MPC). Metho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bnormal p53 expression were compared between 20 cases of lung cancer(NSCLC ; 16 cases, SCLC ; 4 cases) associated with MPC and 26 cases of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 Result: MPC associated with lung cancer was gastric cancer(8), lung cancer(2), esophageal cancer(2), colon cancer(2), laryngeal cancer(1), bladder cancer(1), small bowel cancer(l), adrenal cancer(1), hepatocellular carcinoma(1), and breast cancer (1) in order. The clinical stage of primary NSCLC was relatively advanced, but NSCLC associated with MPC was even distribution at each stage. The detected incidences of abnormal p53 expressions were 62.5% in NSCLC associated with MPC and 76.9% in primary NSCLC(p>0.05).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bnormal p53 expression between non-small cell carcinoma associated with multiple primary cancer and primary non-small cell carcinoma.

연구배경: 악성종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법의 발전으로 악성종양 환자의 생존기간이 연장되고, 생존율 또한 과거보다 높아졌다. 또한 수술적 절제술로 악성종양을 제거한 환자 중 약 10% 정도는 약 10년이내 속발성 원발성 종양이 생긴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의 원인과 위험 인자 및 조기 진단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저자들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폐암과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특징과 p53 종양 억제 유전자 변이에 의한 변이형 p53 발현율을 조사하여 두 질환사이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방법: Moertel의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의 분류에 적합한 환자 중 폐암이 동반된 20례(비소세포암 16례, 소세포암 4례)와 비교군으로 원발성 비소세포암 26례를 대상으로 변이형 p53 발현율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곁과: 폐암과 동반된 악성종양은 위암이 8례로 가장 많았고, 식도암, 폐암, 대장암이 각각 2례 이었으며, 후두암, 방광암, 간암, 유방암, 부신암, 소장암이 각각 1례 이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과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남녀비는 각각 7:1, 2.7:1 이었고, 흡연력은 각각 16례 중 15례, 26례 중 19례가 있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은 원발성 비소세포암에 비해 임상적 병기가 비교적 균등하였으며(p<0.05), 조직학적 분화도는 나쁜 경우가 많은 경향이었다(p>0.05).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각각 62.5%, 76.7%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단백 발현율은 차이가 없었다. 변이형 p53 단백 염색법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을 구별하는데 유용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