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ng yield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8초

양이온 계면활성제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를 이용한 한지 슬러지의 제거 (Application of Cationic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Surfactant to Collecting of Hanji Sludge)

  • 김태영;최희선
    • 분석과학
    • /
    • 제15권2호
    • /
    • pp.157-162
    • /
    • 2002
  • 전통한지 섬유질 슬러지 및 기계한지 섬유질 슬러지를 양이온 계면활성제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CTAC)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통한지 슬러지 시료일 경우 고형분의 양이 약 0.08 g/L 일 때 CTAC의 농도가 $1{\mu}g/mL$ 되면 제거율이 95% 이상 되었으며, 이 때 걸리는 시간은 30초 이내이었다. 기계한지 슬러지에 대해 CTAC만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하였을 때 $15{\mu}g/mL$ 이상에서 90% 정도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나 슬러지 층이 안정하지 못하고, 부상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렸다. $5{\mu}g/mL$의 CTAC에 PAMID$^{(R)}$를 첨가하여 부상시켰을 때는 CTAC만을 이용하였을 때 보다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며 슬러지 층도 또한 안정하였다. 기계한지 슬러지보다 전통한지 슬러지를 제거할 때 더 효율적이었다.

한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탈색 및 슬러지 회수 (Decolorization of Wastewater and Collecting of Sludge from Hanji Production)

  • 최희선;김태진
    • 분석과학
    • /
    • 제13권3호
    • /
    • pp.351-356
    • /
    • 2000
  • 한지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폐수의 탈색과 최종 슬러지 회수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잿물삶기 공정에서 생긴 50 mL 폐수의 검은 색은 산화제인 $Ca(OCl)_2$를 2.0g 정도 가하면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었는데 이는 표백공정 중에 사용되는 과량의 표백제를 재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기분해적 산화에 의한 탈색은 전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최종 슬러지를 회수하는데는 현재 사용하는 고분자 응집제로도 효과적으로 슬러지가 제거됨을 알 수 있었지만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할 경우 필히 $Al_2(SO_4)_3$을 사용하여야 하고 슬러지를 제거할 때 함께 나오기 때문에 순수한 섬유질 형태의 슬러지를 얻을 수 없었다. 그러나 triethanolamine과 Triton X-100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였을 때 슬러지 회수율은 85% 정도로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할 때와 거의 같은 효율을 나타내었고, $Al_2(SO_4)_3$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슬러지도 섬유질 형태이었기 때문에 재활용하기에도 좋으리라고 예상된다.

  • PDF

'설향' 딸기 삽목묘의 최적 삽수 채취시기와 오옥신 처리 구명 (Determination of Optimal Collecting Date and Exogenous Auxin Dipping Treatments in Cutting Transplants of 'Seolhyang'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 김은지;엄미정;정현수;김종엽;이준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2-258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설향' 딸기 품종의 삽목 육묘 시 초기 활착을 증진시키고 묘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삽수 채취시기와 오옥신계 식물생장조절제 IBA, NAA의 적정 처리농도 구명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딸기 삽수는 6월 7일과 7월 5일의 두 차례에 걸쳐 채취했으며, IBA와 NAA는 각각 0.025, 0.05, 0.1%의 농도로 침지 처리하였다. 삽목한 묘는 터널재배 후 18일 동안 6회에 걸쳐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삽수 채취시기와 관계없이 NAA 처리에서는 묘 고사율이 높아, 딸기 삽목 육묘 시에는 NAA 처리가 부적합하였다. 삽수 채취시기와 식물생장조절제가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6월 채취묘는 IBA 0.1%에서, 7월 채취묘는 IBA 0.05%에서 묘의 활력이 우수하였다. 광합성 효율을 조사한 결과 6월 채취묘는 IBA 0.1%에서, 7월 채취묘는 IBA 0.05%에서 양자수율이 높았다. 따라서, 딸기 삽목묘의 생육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NAA보다 IBA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때 6월 삽수 채취 시에는 0.1%, 7월 삽수 채취 시에는 0.05%의 농도로 이용하는 것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한지 섬유질 슬러지의 제거 (Collecting of Hanji Fibrous Sludge with Surfactant)

  • 최희선;김태진
    • 분석과학
    • /
    • 제14권2호
    • /
    • pp.167-172
    • /
    • 2001
  •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한지 섬유질 슬러지를 폐수시료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섬유질 슬러지의 농도가 약 80mg/L 인 실험 시료를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odium oleate를 이용하여 부상시켜 제거하려고 할 때 농도는 10mg/L, 유리필터 구멍크기는 $5-10{\mu}m$, 공기 유속은 200 mL/min이 적당하였다. Sodium oleate는 $Ca^{2+}$ 이온과 같은 다가 양이온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는데 $Ca^{2+}$ 이온의 농도가 100mg/L 이하일 경우에는 영향이 없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를 이용하였을 때는 sodium oleate보다 제거율이 좋지 않았으며, 거품도 비교적 많이 생겼다. 전통한지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로 사용되는 $PAMID^{(R)}$를 실험 재료에 1mg/L 가한 후 CTAB를 1mg/L 가하더라도 섬유질 슬러지들이 매우 잘 엉겼으며 부상시켰을 때 30초 이내에 95% 이상 제거되었으나 sodium oleate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 PDF

Effect of Sta-Green on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 Choi Seong-Kyu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13-1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ffective production system in greenhouse for leaves and stems of Angelica acutiloba by fertilizing of Sta-Green in pot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ermination rate of Angelica acutiloba seeds collected in 2003 was $13\%$, while germination rate of seeds Collected in 2004 was above $91\%$. Seed germination rate and plant biomass of Angelica acutiloba collected in 2004 were higher than seed gathering in 2003. Especially, plant growth and yield of Angelica acutiloba grown in pot(The pots was filled with soil mixtures of Sta-Green and Peat Moss mixed with 45:55 ratio.) was the high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improved by fertilizing of Sta-Green in pots and optimizing seed collecting time in greenhouse.

  • PDF

감염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효과적 회수법 (An Improved Collecting Method of the Infective Juveniles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 이성섭;김용균;한상찬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7-100
    • /
    • 2000
  • 본 연구는 곤충기 주에서 증식된 감염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ae weiser)을 회수하는데 새로이 개량된 방법을 소개한다. 이 수거방법은 기주곤충에 감염태 선충을 접종 후 $25^{\circ}C$에서 증식시켰을 경우 최대의 감염태 밀도를 보이는 시기(6일후)에 기주곤충의 혈강을 노출시켜 수거함으로 빠른 속도로 감염태 유충을 회수하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 이렇게 해서 빠져나오는 선충들중 가능하면 감염태 유충만 선별하여 걸러지도록 수거하게 했다(개량된 'Baermann'깔대기법).기존의 방법은 증식된 기주를 처리없이 'White trap'에 설치하여 놓고 스스로 표피를 뚫고 나오는 감염태 유충을 수거하여 왔다. 개량된 수거방법과 기존의 수거방법을 통해 나오는 감염태 유충의 총수거율과 병원력을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 bner)) 5령 유충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두 방법 모두에서 회수된 선충은 95% 이상이 형태적으로 감염태 유충이었다. 이들 감염태 선충의 기능적 분석을 위해 두 방법에서 회수된 감염태 유충을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 5령충에 동일한 밀도로 처리했다. 이때 두 방법 모두 기주 살충력이나 일정시간 동안 기주 혈강속으로 침입하는 선충활동력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감염태 유충의 총 수거밀도와 소요기간에 있어서는 타이를 보였다 기존의 'White trap'수거방법은 $25^{\circ}C$에서 6일동안 증식된 기주 파밤나방 1마리 당 10일 동안의 수거기간을 통해 약 20,000마리의 감염태 유충을 수거한 반면, 개량된 'Baer-mann'갈대기법을 이용한 수거방법은 불과 2일의 수거기간 동안 약 50,000마리의 총 수거 감염태 선충밀도를 보였다.

  • PDF

A Basic Study on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 Choi, Seong-Kyu;Yun, Kyeong-won;Chon, Sang-Uk;Lee, Jong-Ill;Seo, Young-Nam;Seo, Kyoung-Sun;Choi, Kyeong-Ju
    • Plant Resources
    • /
    • 제7권3호
    • /
    • pp.233-237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ffective production system in greenhouse for leaves and stems of Angelica acutiloba by using connect pots in 2003 and 2004. Seed germination rate and plant biomass of Angelica acutiloba collected in 2004 were higher than those harvested in 2003. Germination rate of Angelica acutiloba seeds collected in 2003 was 10%, while germination rate of seeds collected in 2004 was above 90%. Especially, plant growth and yield of Angelica acutiloba grown in connect pots sized with 4 ${\times}$ 4 ${\times}$ 5cm(length ${\times}$ width ${\times}$ height) were the high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improved by using connect pots and optimizing seed collecting time in greenhouse.

  • PDF

스마트팜 도입 딸기농가의 생산효율성 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Production Efficiency on the Strawberry Farms Using Smart Farming)

  • 최돈우;임청룡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707-71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strawberry farmers who introduced smart farming, one of the primary symbol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Methods: We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of strawberry farms using smart farming and analyzed production efficiency using DEA method. Results: First, difficulties for strawberry farmers introducing smart farming included time and money spent on parts replacement and additional costs due to compatibility problems with existing facilities after the adoption. Second, strawberry farmers using smart farming increased their total income by producing higher yield and improving quality thanks to the competent growth management. Third, the analysis of production efficiencies before and after smart farming found improvement in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But, the gaps in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among the farms widen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offered. First, an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suitable for strawberry farming needs to be developed. Second, the smart farming technology needs to be standardized by the government. Third, new smart farm models need to be developed to accommodate to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Korea through collecting big data including high-quality data on the environment, growth, and yield. Fourth, continuing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to narrow the gap in smart farming technology among strawberry farmers.

Germplasm Evaluation and Selection of Lettuces (Lactuca sativa L.), Edible Chrysanthemums (Chrysanthemum coronarium L.) and Mallows (Malva verticillata) for Organic Farmers

  • Jang, S.W.;Hur, Y.Y.;Choi, H.S.;Yang, E.Y.;Kim, K.D.;Yeoung, Y.R.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30-233
    • /
    • 2011
  • We collected and examined germplasm resources of lettuces, edible chrysanthemums and mallows for organic farmers. We found that 3 genotypes (OL-51, OL-52, and OL-63) are suitable for organic cultivation. The main use of treatment for grey mold among eco-friendly pest control methods is helpful to increase efficiency of seed-gathering after collecting and evaluating a total of 64 kinds of lettuces-collected 43 South Korea local varieties, 8 kinds cultivated by the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Center, 4 kinds of cultivated lettuces, and 9 kinds for sales- to choose appropriate kinds of lettuces for organic cultivation in South Korea. We chose those with more than 300 leaves (OC-18, OC-44, and OC-51) after evaluation of yield characteristics of a total of 62 edible chrysanthemums. We covered each genotype of seed of edible chrysanthemums when gathering the seeds by ourselves so as not to decrease the purity of each genotype. We chosed OM-38, OM-39, and OM-40 for their yield performance and germination rates among the total 41 genotypes of mallows. We selected 9 genotypes of lettuces, editable chrysanthemums and mallows with possibility of organic cultivation and found that they can be used permanently through self seed-gathering on organic farms.

표지시간 변화에 의한 $^{99m}Tc$과 적혈구 표지효율 (Labeling Efficiency of $^{99m}Tc$-Labeled RBC Due to Labeling Time Change)

  • 동경래;김호성;최성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3호
    • /
    • pp.259-263
    • /
    • 2007
  • 본 연구는 $^{99m}Tc$과 방사성 의약품인 적혈구(Erythrocyte)의 표지를 이용하여 신속한 핵의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표지효율 저하를 방지하여 영상의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변형 체외 표지법을 이용한 방법에서 Stannous chloride($SnCl_2$) 양, 표지시간,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Hb) 수치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간혈관종 검사와 위장관출혈 검사를 시행한 전체 55명의 환자 중 정상으로 판명된 15명은 정상군, 이상소견으로 판명된 40명은 환자군으로 분리한 후, 환자군 중 적혈구 농도가 정상보다 낮은 환자와 헤모글로빈이 낮은 환자들의 표지시간 변화에 따른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의 경우 Tin의 양이나 표지시간이 표지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자의 경우에는 표지시간(Incubation time)이 30분보다 60분이 표지효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수치, 헤마토크리트 수치가 낮은 환자를 검사할 때 표지시간을 30분보다는 60분에서 시행하여 표지효율을 높여 보다 정확하고 좋은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