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roved Collecting Method of the Infective Juveniles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감염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효과적 회수법

  • 이성섭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부) ;
  • 김용균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부) ;
  • 한상찬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부)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We report here an improved collecting method of the infective juveniles multiplied in the host insect with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is method involved the opening of the host insect hemocoel after the population of their infective juveniles reached at the maximum (6 days at 25$\^{C}$ after nematode treatment to nonimmunized host insects) to facilitate the escape of the multiplied nematodes. It also used 'Baermann funnel'method to select the infective juveniles effectively. This improved 'Baermann funnel'method was compared with a traditional collecting method, which was characterized with a combination of untreated host insects and 'White trap'collecting method, in both yield and pathogenicity of the collected infective juveniles to the fifth instar larvae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 bner). More than 95% of the nematode populations collected by the two methods represented the morphological infective juveniles. To prove the nematodes to be infective juveniles functionally, pathogenicity and infective activity were compared in the nematodes collected by the two methods. They were not different in both pathogenicities and infective activities which were measured by the numbers of nematodes penetrated into the hemocoel of the insect hosts after exposure for the specific times to the same dote of infective juvenile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collecting methods was found in the total yields of the infective juveniles per host insect About 50,000 infective juveniles per infected fifth instar larva of S. exigua after 6 day incubation at 25$\^{C}$ were collected only for 2 days by the improved 'Baermann funnel'method, while about 20,000 infective juveniles per host were collected for 10 days by the classical 'White trap'method.

본 연구는 곤충기 주에서 증식된 감염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ae weiser)을 회수하는데 새로이 개량된 방법을 소개한다. 이 수거방법은 기주곤충에 감염태 선충을 접종 후 $25^{\circ}C$에서 증식시켰을 경우 최대의 감염태 밀도를 보이는 시기(6일후)에 기주곤충의 혈강을 노출시켜 수거함으로 빠른 속도로 감염태 유충을 회수하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 이렇게 해서 빠져나오는 선충들중 가능하면 감염태 유충만 선별하여 걸러지도록 수거하게 했다(개량된 'Baermann'깔대기법).기존의 방법은 증식된 기주를 처리없이 'White trap'에 설치하여 놓고 스스로 표피를 뚫고 나오는 감염태 유충을 수거하여 왔다. 개량된 수거방법과 기존의 수거방법을 통해 나오는 감염태 유충의 총수거율과 병원력을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 bner)) 5령 유충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두 방법 모두에서 회수된 선충은 95% 이상이 형태적으로 감염태 유충이었다. 이들 감염태 선충의 기능적 분석을 위해 두 방법에서 회수된 감염태 유충을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 5령충에 동일한 밀도로 처리했다. 이때 두 방법 모두 기주 살충력이나 일정시간 동안 기주 혈강속으로 침입하는 선충활동력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감염태 유충의 총 수거밀도와 소요기간에 있어서는 타이를 보였다 기존의 'White trap'수거방법은 $25^{\circ}C$에서 6일동안 증식된 기주 파밤나방 1마리 당 10일 동안의 수거기간을 통해 약 20,000마리의 감염태 유충을 수거한 반면, 개량된 'Baer-mann'갈대기법을 이용한 수거방법은 불과 2일의 수거기간 동안 약 50,000마리의 총 수거 감염태 선충밀도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