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iform groups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6초

전해수 수세, 열풍건조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미역의 미생물 감소 효과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Hot-Air-Drying with UV for the Reduction of Microbial Populations of Undaria pinnatifida)

  • 박시우;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원민;김보람;안나경;최연욱;조영제;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8-44
    • /
    • 2015
  • 15% 전해수로 10분간 세척 후 증류수로 10분씩 5회 수세하여 48°C의 열풍 건조기에 UV 등을 설치하여 미생물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전해수 수세 후 생균수, 대장균군, 곰팡이수에서 모두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수세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48°C에서 48시간 동안 열풍건조 시 미생물이 다시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이에 열풍건조기 내에 UV 등을 설치하여, UV 조사 최적 시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UV 조사를 12시간 이상 처리 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전해수 수세 및 열풍건조 미역의 색도 결과, 전해수 수세구는 무처리구와 비교 시 황색도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수세 후 열풍건조 시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및 전체적 호감도 항목에서 무처리구와 전해수 수세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해수 처리시 미역의 비린 맛 및 비린 향이 감소한다고 하였다. 또한 48°C, 48시간 열풍건조 동안 UV 0-48시간 조사 구간에서도 색, 향, 맛 및 전체적 호감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5% 전해수 수세 시 생미역의 미생물 증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역의 비린 맛 및 비린 냄새를 줄여 관능적으로 나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전해수 수세 후 열풍건조 하는 동안 UV 조사를 12시간 실시할 경우 열풍건조기를 통한 미생물 오염을 억제할 수 있어 전해수-열풍건조-UV 병행 처리 시 미생물 제어효과가 우수한 건미역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덴탈유니트의 핸드피스 및 초음파 치석 제거기의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DENTAL UNIT AND ULTRASONIC SCALER)

  • 이병문;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4-80
    • /
    • 1998
  • The risk of cross-contamination in dental clinic is very high. Those who are engaged in dental clinic are exposed to various microorganisms in saliva and blood of patient. Potential possibility of cross-contamination of patient to patient, patient to dentist, dentist to laboratory technician always exist, which is important in the view of public health. It is well known that microorganisms may cause cross-contamination by suck-back of microorganisms into the water supply line or air supply line of dental unit and sprayed back into the next patient's oral cavity. The majority of microorganisms coming from dental unit are water microorganisms from the main water supply which have colonized the tube within the units and multiplied in the relatively warm and stagnant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xt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dental unit and ultrasonic scaler, to evaluate that dental unit water supply is suitable for drinking water, and to assess the effect of flushing on reduc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dental unit and ultrasonic scaler. In the first experiment, water samples(50ml) from 20 dental units and 10 ultrasonic scalers in Seoul National Univ. Hosp. were tested for the presence of coliform. The samples were filtered by membrane filtration technique.(Microfil system, Millipore Co. U. S. A.) The filter was then placed onto MacConkey agar plate and the plates with filter on it were incubated aerobically at $37^{\circ}C$ for 5 days. The colors and shapes of colonies were examined if those were coliform. To verify the presence of coliform, the colonies were inoculated into phenol red lactose broth and incubated aerobically at $37^{\circ}C$ for 2 days. The fomation of gas was observed. In the second experiment, water samples from 20 handpieces, 10 ultrasonic scalers and 30 A/W syringes after 0, 2, 4, 6 min. flushing respectively were taken. $200{\mu}l$ water samples were spreaded on Brain Heart Infusion agar plate and the plates were incubated aerobically at $37^{\circ}C$ for 5 days. The number of colony was coun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ater from dental unit and ultrasonic scaler was not suitable for drinking water. 2. No coliform was founded in dental unit and ultrasonic scaler water supply. 3. The number of colony of dental unit and ultrasonic scaler was highest in the group of o min. flushing(p<0.05).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among handpiece, ultrasonic scaler and A/W syringe (p>0.05). 5. The number of colony was lowest in the group of 4 min. flushing,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2, 4, 6 min. flushing groups.(p>0.05) 6. It is recommended to flush dental unit water line for 4 min. after use on each patient.

  • PDF

여수 연안 및 동중국해의 세균상 2. 분리균의 수평분포 (Bacterial Flora of East China Sea and Yosu Coastal Sea Areas 2. Horizontal Distributions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Sea Area)

  • 신석우;정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25
    • /
    • 1996
  • 1992년 8월 6일 부터 8월 14일 까지에 걸쳐 조사한 동중국해와 여수 연안에서 분리한 세균상은 174균주, vibrio spp. 132균주, 대장균군 183균주에 대한 분리 동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중국해 세균상은 분리균 74균주중 40균주가 Pseudomonas spp. $(54\%)$였고, 여수 연안에서는 분리균 100균주중 60균주가 Enterobacteriaceae $(60\%)$였다. 2. Vibrio spp.는 동중국해에서 분리된 5균주중 V. alginolyticus가 4균주, V. parahaemolyticus가 1균주 밖에 분리되지 않았고, 여수 연안에서는 127균주중 V. alinolyticus가 54균주로 $42.5\%$를 차지 하였으며, V. parahaemolyticus는 21균주로 $16.5\%$를 차지하여 이들 두 균종이 Vibrio의 우점종이였다. 3. 대장균군은 동중국해에서 분리한 27균주중 E. coli I이 3균주, C. freundii I이 1균주였고 여수 연안에서는 분리균 156균주중 E. coli I이 79균주 $(50.6\%)$였고 C. freundii I, II가 각각 1균주였다. 4. 대장균군의 IMViC system, $44^{\circ}C$의 발육, gelatin 액화 실험에 의해 16균형으로 분별 되었고 비동정균은 $8\~16$균형으로 분리 균 183균주중 99균주로 $54\%$를 차지하였으며 5. $5^{\circ}C$ 가능한 저온성 대장균군은 15균주였다.

  • PDF

오존가스 처리가 저장기간 중 포장 돈육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Microbial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Cuts Treated with Ozone Gas During Storage)

  • 정진형;김창렬;김광현;문승주;국길;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0-86
    • /
    • 2007
  • 본 실험은 식육의 미생물 억제 및 저장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기존의 침수나 살포방법이 아닌, 오존 가스에 노출하는 방식으로 돈육을 5, 10, 15분간 오존 가스에 노출시켜 진공포장이후 $4^{\circ}C$에서 0, 5, 10 그리고 20일간 저장하였으며, 이때 식육의 이화학적인 특성 변화 및 미생물변화를 관찰하였다. 오존 처리 후 저장 0 및 5일차에 처리군의 pH 값이 대조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p<0.01). 지방산패도(TBARS)의 경우 오존에 15분간 노출시킨 처리구의 경우 15 및 20일차에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하지만 0, 5, 그리고 10일차에는 TBARS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색의 백색도 및 황색도는 시험구간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적색도의 경우 15분간 오존 가스에 노출한 돈육이 0, 5 그리고 15일에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다(p<0.01). 저장 0일차에 처리구 전체의 총균수 및 대장균군 수(각각 0.45-1.04와 $0.26-0.30\;log_{10}CFU/g$)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오존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0, 5, 10일차에 총균수 및 대장균군 수가 증가하였으나, 저장 20일차에는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분육의 포장시, 포화 오존가스에 5분 및 10분간 노출시킨 후 포장하는 것이 식육의 산화, 육색의 변화, 그리고 항미생물 효과를 감안했을 때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충무김밥의 영양적 및 미생물적 품질 평가 (Nutritional and Microbiol Quality Assessment of Chungmukimbab)

  • 최종덕;황영숙;정인권;이다정;박필숙;박미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9-195
    • /
    • 2006
  • 이 연구는 통영지방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충무김밥의 영양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평가를 시도하였다. 일반김밥 중에서는 열량, Ca, Fe, 비타민$B_l$ 및 비타민$B_2$등이 한국 성인 남성의 권장량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양권장량을 맞추기 위해서는 부식과 과일 및 음료 등을 함께 섭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시장에서 구입한 일밥김밥과 충무김밥의 총 호기성균 및 대장균군 수는 일반 김밥에서 $5.50{\pm}0.38 log_{10}CFU/g,\;2.10{\pm}0.47 log_{10}$ MPN/100g, 충무김밥에서 $5.61{\pm}0.42 log_{10}CFU/g,\;1.75{\pm}0.34log_{10}$ MPN/100 g로 각각 나타났다. 충무김밥의 원재료에 대한 총호기성 균수는 김밥, 주꾸미무침, 무김치에서 $3{\sim}4 log_{10}CFU/g$, 어묵에서 $4{\sim}5log_{10}$ CFU/g를, 대장균군은 김밥, 주꾸미무침, 무김치에서 $1{\sim}2log_{10}CFU/g$, 어묵에서 $2{\sim}3log_{10}CFU/g$으로 분석되었다. 충무김밥의 재료별 대장균과 포도상 구균의 검출율은 김밥에서 각각 10.0%,주꾸미무침에서 15.0, 10.0%, 무김치에서는 0, 10.0%가 각각 검출되었다. 일반김밥과 충무김밥을 $15^{\circ}C$에 저장하여 하룻밤 방치한 후에 측정한 균수는 일반김밥과 충무김밥에서 생균수가 1.04 및 $0.60 log_{10}CFU/g$, 대장균군이 0.97 및 $0.72 log_{10}MPN/100g$이 각각 증가하였다. 충무김밥 재료의 24시간 후에 총호기성 균수의 증가는 $0.83{\sim}1.33 log_{10}CFU/g$증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복숭아의 세척시스템 개발 및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Peach Washing System)

  • 이현석;권기현;정진웅;김병삼;차환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4권6호
    • /
    • pp.446-453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condi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peach by using surfacing washing system. The rate of weight loss of A,B groups were showed slower decreasing trend than CT group and the value of soluble solid degre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all groups from the results of stored peach treat with surface washing system of peach in the first experiment. The colory value of surfac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in all treatments. Browning pace of A,B groups were slower than control. Emission of carbon dioxide was increased from the results of respiration rate, 6-10 mL/kg/hr $(10^{\circ}C)$ and 32-41 mL/kg/hr $(25^{\circ}C)$. In second experiment with surface washing system of peach, the value of soluble solid was showed with similar value from 10 $Brix^{\circ}$ to 13 $Brix^{\circ}$. The pace of soft rot of EW groups were lower than CT groups from the results of hardness during storage period. The results of colory value was not show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15^{\circ}C$ and $20^{\circ}C$ storage temperature but changed to browning in EW groups. The moisture contents was from 85% to 90% in all groups. And the count of total microorganism of EW groups were lower than control. Also total coliform of EW groups were negative. In sensory evaluation, washing peach was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cceptability.

지렁이 분변토 발효사료가 고품질 닭고기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earthworm cast feed o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chicken meat)

  • 고용균;김진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07-817
    • /
    • 2017
  • 본 연구는 Bacillus subtilis를 포함하는 3개의 균주를 지렁이 분변토에 접종하여 제조한 생균제인 분변토 발효사료가 육계의 사양성적 및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육계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대조구,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 제조된 상업용 생균제 (CP) 0.2%, 분변토 발효사료 0.3% (FECF3), 분변토 발효사료 0.5% (FECF5)로 구분하였다. 평균 체중 증가량, 흉선, 비장, F낭의 무게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혈액 IgG 함량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증가하였다. 맹장 Lactobacillus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으나 Escherichia, Salmonella, Coliform bacteria 및 total aerobic bacteria는 FECF 처리구가 낮았다. 닭고기의 보수력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닭고기 n-6/n-3 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간장 효모에 대하여

  • 이한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8-50
    • /
    • 1963
  • 청량음료 제조적 외부로 부터 얼마나 오염이 되며 또 가장 큰 오염원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제조공정중의 각 단계별로 또 생업에 쓰이는 박과와 원과별로 윤도가 되는 총생균수를 검토하였으며 이들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생업에 쓰이는 박과와 원과중 가장 큰 제조과는 연평적 ml당 4개이었으며 동계에서는 ml당 1개정과이던 것이 하계에서는 ml당 8개과정가 검출되었다. 3)제품에서는 일년문 coliform group이 검출된 적이 거의 없었다. 4)물의 이온문환지를 통과하여도 총생균자의 약화는 거의 측정할 수 없었다. 5)제품에서 HIST를 사용한 후 사용 안할 때보다 1/8의 오염과감소를 나타냈다

  • PDF

생식용 굴(Crassostrea gigas) 작업장의 위생안전성에 대한 모니터링 (Safety Monitoring of a Processing Plant for Preparing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for Consumption)

  • 강경태;박선영;최종덕;김민주;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0-129
    • /
    • 2017
  • This study assessed the safety of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for consumption during processing in a processing plant. Bacterial contamination (e.g., viable cell counts, coliform groups, Escheri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and chemical contamination (e.g., heavy metals and shellfish toxins) were measured on raw oysters, a processing equipment, employees and work areas. No total mercury, lead, paralytic shellfish poison, diarrheic shellfish poison or norovirus was detected in any post-harvested oyster samples. However, the cadmium level ranged from 0.1-0.2 mg/kg. The viable cell count, E. coli and coliform group levels in post-harvested oysters ranged from 4.00-4.54 log CFU/g, ND-210 MPN/100 g and 110-410 MPN/100 g, respectively. The viable contaminating cell counts on employees, equipment and work areas were in the range of $0.90-3.46log\;CFU/100cm^2$. Airborne bacteria in the work areas ranged from 0.60 to 1.81 log CFU/plate/15 min. Thus, no significant health risks were detected in the processing plant.

Impact of Seasonal Conditions on Quality and Pathogens Content of Milk in Friesian Cows

  • Zeinhom, Mohamed M.A.;Abdel Aziz, Rabie L.;Mohammed, Asmaa N.;Bernabucci, Umbert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8호
    • /
    • pp.1207-1213
    • /
    • 2016
  • Heat stress negatively affects milk quality altering its nutritive value and cheese making properties. This study aimed at assessing the impact of seasonal microclimatic conditions on milk quality of Friesian cow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a dairy farm from June 2013 to May 2014 at Beni-Suef province, Egypt. Inside the barn daily ambi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recorded and used to calculate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humidity index (mxTHI), which was used as indicator of the degree of heat stres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humidity index (THI) recorded: from June 2013 to September 2013 (mxTHI>78), from October 2013 to November 2013 (mxTHI 72-78) and from December 2013 to April 2014 (mxTHI<72). Eighty Friesian lactating dairy cows were monitored in each period. The three groups of cows were balanced for days in milk and parity. Milk quality data referred to somatic cell count, total coliform count (TCC), faecal coliform count (FCC), Escherichia coli count, percentage of E.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percentage of fat, protein, lactose, total solid and solid non-fat. Increasing THI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milk main components. An increase of TCC, FCC, and E. coli count from mxTHI<72 to mxTHI>78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isolation rate of both S. aureus and E. coli increased when the mxTHI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seriousness of the negative effects of hot conditions on milk composition and mammary gland pathogens. These facts warrant the importance of adopting mitigation strategies to alleviate negative consequences of heat stress in dairy cows and for limiting related economic lo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