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d-water extrac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6초

사백산 물 추출물과 30% EtOH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비교연구 (The Comparison between Sabaek-san Water and 30% EtOH Extracts for Anti-inflammatory Effects)

  • 이동성;최현규;김경수;김동철;민홍기;리빈;김종수;박준형;오현철;김윤철
    • 약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40-247
    • /
    • 2012
  • Sabaek-san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derived from the cold with high fever, cough, and lung dysfunction in Korea and China. There is no study for the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Sabaek-san. We made two samples, one is Sabaek-san water extract (SBSW) and the other is Sabaek-san 30% EtOH extract (SBSE). Both extracts inhibit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protein, reduced iNOS-deriv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Also, they reduc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1{\beta}$ (IL-$1{\beta}$) production. These anti-inflammatory effects caused by induction of heme oxygenase (HO)-1. HO-1 enzyme plays an important role of cellula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systems. The induction of HO-1 is primarily regulat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and its induction by various inducers is related to the nuclear transcription factor-E2-related factor 2 (Nrf2). However, it is worth taking note that SBSE has more powerful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SBSW.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different solvent extraction makes different therapeutic actions.

Phytochemical and Anti-Termite Efficiency Study of Guibourtia tessmanii (harms) J. Léonard (Kévazingo) Bark Extracts from Gabon

  • NKOGO, Ley-Fleury ELLA;BOPENGA, Christ Stone Arnaud BOPENGA;NGOHANG, Franck Estime;MENGOME, Line Edwige;ANGONE, Sophie ABOUGHE;ENGONGA, Prosper EDO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113-125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biodiversity of chemical compounds found in the bark of Guibourtia tessmannii from Gabon, commonly called Kévazingo, and evaluate their anti-termite activity to determine their potential values as a source of development of anti-termite products that can be valued in the fields of fine chemicals and wood preservation. Extraction of G. tessmannii bark powders was carried out using the cold maceration method with trichloroethylene, acetone, ethanol, and water. Phytochemical screening made it possible to highlight groups of chemical families present in the extracts. Anti-termite activity was tested on the wild termites "Cubitermes sp" of the genus Isoptera. The yield of the extracts were 17.11% for the buttress and 13.42% for the height at 6 m. Phytochemical tests revealed that alkaloids, polyphenols, sterols, tannins, reducing compounds, flavonoids, saponins, and anthraquinones were present in the extracts. Results of anti-termite activity indicated that anti-termite activity varied with the different parts of the bark studied, extraction solvent, and concentration (50/50) and (25/75) of the extracts used. The extracts at 50/50 concentration showed a slightly better anti-termite activity compared to the 25/75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buttress Kévazingo or buttress showed the strongest anti-termite activity for the aqueous extract with a survival rate of 0% after 2 days.

천연 염료에 의한 견 및 모시 염색(1) - 전통 방법에 의한 홍화 염색 - (Dyeing of Silk and Ramie Fabric with Natural Dye(1) - The traditional dyeing method of safflower -)

  • 정인모;우순옥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66
    • /
    • 1995
  • 홍화의 견, 모시 염색에 있어서 전통방법의 염색 조건을 구명하고자 황색소를 추출 제거하고 건조시킨 홍화에 잿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홍색소용액에 오미자추출액으로 pH를 조절한 후 소정 조건에서 정련 견직물, 생견직물 및 모시직물을 염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홍색색소 추출에 사용된 볏짚, 콩대 및 쪽대 등 태운 잿물의 종류에 따른 pH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홍색색소 추출에 사용된 홍화량은 10g/l 정도가 적당하였다. 3. 홍색색소 추출 및 염색온도는 4$0^{\circ}C$가 적당하였다. 4. pH조절을 위한 오미자추출액의 첨가는 10% 정도, 오미자추출에 사용된 오미자량은 10g/l가 적당하였다. 5. 염색견뢰도는 모시직물이 견직물보다 약간 높았다.

  • PDF

다양한 용매를 이용한 대두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Extracts by using Various Solvents)

  • 김지영;맹영선;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5-639
    • /
    • 1995
  • 본 연구는 대두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의 효과적인 추출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두로부터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을 사용하여 $30^{\circ}C$에서 상온 추출 및 $85^{\circ}C$에서 환류추출을 행하여 추출된 각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대두유 산화시 과산화물가와 난황레시틴 리포좀 산화시 형성된 TBARS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추출물을 대두유에 첨가시켜 항산화효과를 관찰한 경우 날대두 용매 추출물이 탈지대두 용매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 나며, 볶은 과정을 거친 대두군에서는 탈지대두군이 항산화효과가 높았다. 상온추출물보다는 환류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대두유 산화뿐만 아니라 난황레시틴 현탁액의 관산화 반응에서도 역시 동일하였다. 여러가지 용매에 의한 추출물중에서 가장 큰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것은 볶은 탈지대두의 메탄올 추출물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항산화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성분의 추출에 가장 좋은 용매로 생각되었으나, 추출물의 난황레시틴 리포좀의 과산화 억제 정도는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의 경우가 더 효과가 좋았다.

  • PDF

루이보스차(Asphalthus linearis)의 추출방법에 따른 페놀릭류 함량 변화연구 (Determination of Phenolic Contents in Rooibos (Asphalthus linearis) Tea Depending on the Steeping Temperature and Time)

  • 박신희;도영숙;김윤성;김난영;이진희;김종화;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9-395
    • /
    • 2017
  • 루이보스티에서 5종의 phenolic acid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trans-ferulic acid)와 9종의 flavonoid (procyanidin b1, aspalathin, rutin, vitexin, hyperoside, isoquercitrin, luteolin, quercetin, chrysoeriol)를 UP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14종 페놀릭류를 동시 분석하기 위하여 기기조건과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확립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시중에 유통중인 루이보스티 30건을 채취하여 페놀릭류를 분석하였다. 루이보스티 1 g 혹은 1티백에 뜨거운 물 100 mL을 가하여 3분, 6분, 30분이 경과 후 그리고 차가운 물 ($25-30^{\circ}C$)에 30분 우려낸 루이보스티의 페놀릭류 함량을 구하였다. 루이보스티에서 전체 실험대상 페놀릭류 중 rutin과 aspalathin이 가장 많이 추출되어 나왔으며 각각 물질의 함량은 제품별로 달랐다. 페놀릭류 성분의 추출효율은 14종 페놀릭류의 총합 기준으로 뜨거운 물 30분 > 6분 > 3분 > 차가운 물 30분 순으로 높았다.

다변량 환경 공간변수 주성분 분석을 통한 남·북 생태계 차이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Ecosystem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sing Multivariate Spatial Environmental Variables)

  • 유재심;김경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27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quantitative ecological principal components of Korean Peninsula using the multivariate spatial environmental datasets and to compare the ecological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Ecological maps with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re constructed by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seventeen raster(cell based) variables at 1km resolution. Ecological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using ecosystem maps masked from Korean ones. Spatial data include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Temperature, Precipitation, SWC(Soil Water Content), fPAR(Fraction of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representing for a productivity, and SR(Solar Radiation), which all cover Korean peninsula. When it performed PCA, the first three scores were assigned to red, green, and blue color. This color triplet indicates the relative mixture of the seventeen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each ecological region. The first red one represents for 'physiographic conditions' worked by high elevation and solar radiation and low temperature. The second green one stands for 'seasonality' caused by seasonal variations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productivity. The third blue one means 'wetness condition' worked by high value such as precipitation and soil water contents. FA extraction shows that South Korea has relatively warm and humid ecosystem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oil water contents whereas North Korea has relatively cold and dry ecosystem due to the high elevation, low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Results would be useful at environmental planning on inaccessible land of North Korea.

추출 및 저장 조건에 따른 더치커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utch Coffee Depending on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and Storage)

  • 소윤지;이민우;유경미;강희진;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71-676
    • /
    • 2014
  • 더치커피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산도를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대체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 총 페놀 함량, 카페인은 감소하였고 갈색도, 산도, DPPH 라디칼소거 활성능,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quin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8주간 $4^{\circ}C$$20^{\circ}C$에 저장하였을 때 일반세균 및 대장균은 거의 검출되지 않아 위생적인 환경에서 추출한다면 8주간 저장하며 음용하기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치커피를 저장하는 동안 다양한 지표들의 관찰을 통해 더치커피의 저장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후 더치커피의 저장에 따른 향기성분 등의 분석과 유통기한 등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녹변된 마늘의 색소 추출 조건과 Green Index (Extraction Conditions and Green Index of Green Pigments from Discolored Garlic)

  • 황진봉;하재호;신동빈;박완수;남궁배;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78-684
    • /
    • 2005
  • 녹변된 마늘의 색소연구 일환으로 녹변색소의 추출 조건과 특성을 조사하고, 녹변마늘의 분광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녹변도를 객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Green Index를 설정하였다. 녹변마늘의 색소는 비교적 methanol, ethanol 및 물 등의 용매에서 추출이 좋았으나 비극성 용매에는 거의 추출되지 않는 수용성 색소이었으며 1.0% HCl이 첨가된 methanol 용매가 녹변색소의 추출을 위한 최적용매이었다. 색소 추출을 위한 온도의 영향은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초기에는 색소 추출률이 높았으나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색소의 파괴로 추출률이 감소하였다. $4^{\circ}C$의 저온에서는 초기에 색소추출률이 낮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추출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녹변색소의 안정성과 추출속도를 고려하여 $20^{\circ}C$에서 30분간 추출하는 것이 녹변마늘의 색소추출 최적온도 및 최적시간으로 평가되었다. 녹변색소는 대단히 불안정하여 녹변마늘의 녹변정도를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확립되지 않아, 녹변마늘과 대조구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color chart를 고안하였다. 또한 이들의 L, a, b, ${\Delta}E,\;-a/b,\;\sqrt {a^2+b^2}$, 흡광도 및 관능검사 결과를 통해 녹변정도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녹변도(green index, GI)를 확립하였다. 녹변된 마늘의 녹변도 특성과 표면색도의 a값 사이에 고도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두 변수의 상관관계는 Y=-3.465X-11.675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이때 $R^2$는 0.093, F값은 1265.3이었다. 확인실험을 수행한 결과 관능검사에서 GI가 3이상일 때 녹변마늘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마늘의 color chart 및 GI는 마늘의 수확 후 저장, 유통과정에서 녹변의 발생유무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extract on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improvement of raw chicken breast during cold storage

  • Barido, Farouq Heidar;Lee, Sung K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2호
    • /
    • pp.380-395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RV) extract as a natural antioxidant to extend the shelf life of chicken breast meat during storage. Pre-heating at (35℃, 100℃, 120℃, and 140℃) was conducted on heartwood of RV prior to extraction to improve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remove the allergenic compound urushiol.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when RV pre-heated at 120℃ with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scavenging activity observed at 62.29 EC50 ㎍/mL and 12.11 IC50 mg/mL, respectively. Pre-heating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with the highest improvement was seen at 120℃, 100℃, and 140℃ respectively, wherein 35℃ shared no difference with the raw RV (RRV). Urushiol content was vanished following pre-heating at 120℃ and 140℃. With respect to these result, pre-heating treatment at 120℃ was applied before the extraction of the heartwood of RV. Prepared breast meat sample was dipped into distilled water as a negative control, 0.02%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s positive control, and a solution containing detoxified RV extract (0.10%, 0.25%, 0.50%, 1.00%) at 4℃ for 60 min. Treatment group with 0.50% and 1.00% addition increased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 on day 6 and day 3 of storage respectively (p < 0.05). The pH value of breast meat was also increased in treatment of 0.50% and 1.00% on day 0, but subsequently lower until end of storge day compared to control negative (p < 0.05). Furthermore, 0.50% treatment exhibited a higher antioxidant activity, stronger inhibition of the microbial growth evaluated by total viable count and maintaining a lower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among treatments (p < 0.05), unless for BHT and 1.00% treatment groups (p > 0.05). It indicates a similar efficacy of detoxified RV extract with that of positive control treated with BH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dipping chicken breast meat into a solution containing 0.50% of previously pre-heated RV heartwood at 120℃ could be a promising natural antioxidant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its quality during storage.

제주전통두부의 산업화를 위한 최적공정확립 (Optimization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Traditional Jeju Tofu)

  • 오영주;이삼빈;김찬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03-608
    • /
    • 2004
  • 제주 전통두부의 산업 를 위한 최적 공정을 확립하고 해수를 대용할 수 있는 응고제를 사용하여 맛과 영양성 및 저장성이 향상된 고품질의 전통두부를 생산할 수 있었다. 즉 대두원료의 침지는 동절기 및 하절기에 각각 12∼16시간, 8∼10시간이 적합하였다. 가수량은 원료 대두량의 8배가 적합하였으며, 이 때의 두유농도는 8$^{\circ}$Brix였다. 두유는 10$0^{\circ}C$에서 2분 정도 가열하는 것이 단백질의 유리 thiol잔기의 노출을 최대화하였다. 연속 가열솥 대신 진공솥으로 대치한 결과 압력과 온도조절이 용이하여 수율이 21% 증가하였으며, 제품의 품질관리가 용이하였다. 마른두부의 응고제로는 6% 죽염액과 다시마침출액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1차 응고제를 만들고, 키토산 1 L에 CaCl$_2$8g과 MgCl$_2$ 2g의 비율로 혼합하여 응고제를 얻었다. 최종 마른 두부의 소비자의 기호도는 60%이상이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으며, 고소한 맛과 견고성이 우수하면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시판두부에 비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