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d food storage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25초

첨가물이 냉장 중 생강 다대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ves on Quality Attributes of Minced Ginger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최민식;김동호;이경혜;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48-1056
    • /
    • 2002
  • 생강다대기의 저장중 가스 발생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무처리구는 가스가 급격하게 증가 하였지만 단독처리구와 종합처리구는 가스발생량이 경미하였다. 고액분리의 정도는 xanthan gum을 첨가한 단독처리구와 종합처리구가 고액분리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Delta}E$값은 종합처리구가 저장 120일이 경과하여도 1.87에서 2.99사이로 저장 초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가장 안정적이었다. 다대기 제품의 저장중 pH 변화는 종합처리구만이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고, 모든 처리구들의 총 유기산 함량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것은 유기산 중 lactic acid의 현저한 증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종합처리구는 증가율이 억제되어 저장 60일까지 가장 안정적이었다. 저장기간 동안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종합처리구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처리구별 총 유리당 함량의 감소율은 무처리구 > 종합처리구 > L-cysteine 처리구 > sodium bisulfite 처리구 순으로 증가하였다. 다대기 제품의 저장기간에 따른 관능적 특성으로 색깔, 이취, 전체적인 선호도는 종합처리구가 가장 우수한 제품으로 평가되었고, 저장 중 무처리구와 종합처리구간의 지방산 조성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강 다대기를 $5^{\circ}C$에서 장기 저장하면서 발생하는 갈변, 가스발생, 고액분리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갈변억제제인 L-cysteine 0.2%, 가스발생억제제인 sodium benzoate 0.1%와 NaCl 2% 그리고 고액분리억제제인 xanthan gum 0.1%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이들 첨가물들을 혼합하여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우수한 품질의 생강 다대기를 제조, 유통하는데 필요하였다.

냉장저장 중 사과 슬라이스의 갈변에 미치는 갈변저해제의 효과 (Effects of Antibrowning agents on browning of apple slices during cold storage)

  • 안선정;이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4-32
    • /
    • 2005
  • 냉장 저장 시 사과슬라이스의 갈변정도 및 조직감과 같은 물리적인 변화와 PPO활성, 총페놀 함량등의 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관능검사를 행하여 비교하였으며 또한 이들 변화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갈변 정도는 fresh apple slice, 물에 침지한 시료군, CP 시료군, ascorbic acid 시료군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그 크기는 fresh apple slice>물에 침지한 시료군>ascorbic acid 시료군>CP 시료군 순이었으며, PPO활성은 시료군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그 크기는 fresh apple slice>물에 침지한 시료군>ascorbic acid 시료군>CP 시료군 순이었으며 CP 시료군의 증가가 가장 낮았다. 총페놀 함량은 fresh apple slice군은 60 mg/100 g에서 56.2 mg/100 g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물에 침지한 시료군은 59.6 mg/100 g에서 56.0 mg/100 g으로, CP 시료군, ascorbic acid 처리군은 51.9 mg/100 g에서 52.8mg/100 g로, 54.1 mg/100 g에서 54.4 mg/100 g로 나타났다. 조직감은 시료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크기는 fresh apple slice>물에 침지한 시료군>ascorbic acid 시료군>CP 시료군 순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관능 검사에서 CP 시료군이 다른 처리군들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갈변 정도와 PPO활성, 총페놀 함량 등이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사과 슬라이스의 냉장 저장중 효소적 갈변 변화에 대한 영향에서 카라멜 생성물에 침지한 CP 시료군이 효소적 갈변에 대한 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다른 요인에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sucrose의 카라멜 생성물을 채소 및 과일의 저장 과정에 갈변 억제물질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지방을 현미유와 올리브유로 대체한 우육 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Properties of Beef Patties Replaced Tallow with Rice Bran Oil and Olive Oil during Cold Storage)

  • 서현우;김갑돈;정은영;양한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3-771
    • /
    • 2011
  • The effects of replacing tallow with plant oil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eef patties were investigated. Beef patties were produced with seven different formulations: control (tallow, 100%), rice-bran oil replaced (TR) and olive oil replaced (TO) (each at 20%, 40%, and 60% substitution). Fat content of beef patties increased, whereas moisture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ed TR and TO. Beef patties had increased lightness and yellowness but decreased pH and rednes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p<0.05).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f all beef patties increased during cold storage. The TBARS values in the replaced TR or TO were similar to or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fter 3 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beef patties decreased as the level of TR and TO increased, whereas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crease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TO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TR. The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replaced TR or TO over 7 d of storage.

훈연처리에 의한 조피볼락의 저장성 및 기호도 (Storage and Acceptability of a Smoked Sebastes schlegeli Product)

  • 이인성;김인철;채명희;장해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58-1464
    • /
    • 2007
  • 생선 단백질이 묽은 염류에 녹으면 끈끈한 sol 상을 형성하고, 이를 가열조리하면 독특한 점탄성을 갖는 gel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피볼락을 가공하였다. 가공법으로는 염장법과 염장 후 냉훈, 염장 후 온훈 처리를 하는 3가지 가공법을 사용하였다. 염장, 염장 후 냉훈, 염장 후 온훈법에 의한 조피볼락의 가공품은 이러한 처리를 하지 않은 조피볼락에 비해 기호도가 높았다. 조리 시 동결된 생선이 나타내는 단단하고 푸석푸석한 식감은 훈연처리 시 나타나지 않았고 정도차가 있으나 냉훈법을 시행한 조피볼락은 쫄깃하고 특유의 생선질감을 가졌으며 이는 물성분석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관능검사 시 가공 조피볼락의 조직감은 냉훈법, 온훈법, 염장법 순으로 기호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가공조피볼락의 색도는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높아져 온훈, 냉훈, 염장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공 조피볼락에 대해 유지의 불포화도를 보여주는 요오드가, 유지 산화의 초기 단계에서 산패도의 지표가 되는 과산화물가, 유리 지방산가인 산가를 측정하였다. 가공 직후와 가공 후 $-20^{\circ}C$에서 1년간 보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염장 처리만 한 시료, 온훈법, 냉훈법 시료 모두 유사한 양을 나타냈으며 가공 후 $-20^{\circ}C$에서 1년간 보관하여도 조피볼락 가공품의 산화도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냉훈법 ($7.4{\times}10^5$ CFU/g)과 온훈법 ($6.2{\times}10^5$ CFU/g)으로 가공한 조피볼락의 생균수는 일반적으로 식품에서 검출되는 초기 균수인 $10^4{\sim}10^3$ CFU/g의 범주에 들었다. 1년간 $-20^{\circ}C$에서 보관한 조피볼락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유해 미생물 검사를 통하여 가공조피볼락 모든 시료에서 유해한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조피볼락을 염장(4% NaCl)하고 훈연, 냉동, 포장 등의 복합적 기술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원료생선의 상미기간을 1년 이상 연장할 수 있었다. 또한 관능적으로 우수한 기호성, 즉석에서 먹을 수 있는 간편성, 장기저장에 의한 식품 산패, 오염 및 변패 미생물의 생육 등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생선가공, 저장방법, 저가 생선류의 부가가치 상승 등 여러 유익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가공방법을 증명하였다.

화학발광 (Chemiluminescence)법을 이용한 식품 오염 미생물의 측정 (The Determination of Food-borne Microorganism using Chemiluminescence Method)

  • 김윤미;이혜련;정신교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4권
    • /
    • pp.9-16
    • /
    • 2006
  • Ultraweak photons could be emitted from the chemical reaction without any electromagnetic radient. These chemiluminescence could be detected by highly sensible photomultiplier recently. We will introduce the principal of chemiluminescence generation reaction, and the application studies in the determination of food-borne microorganisms in field. The counts of surface contaminated microorganism in mackeral and chicken for cold storage determined by ATP-chemiluminescence method had good correlation with the counts by standard agar plate method. However, there was little correlation between 2 methods in ginseng powder whose microbial counts were lower than 10,000 CFU.

  • PDF

마이크로프로쎄서를 이용한 과채류 자동 저장 제어장치의 제작과 온도 자동계측 관리 시스템 (Development of Microprocessor-based Automatic Storage Controller and Temperature Auto-measurement System for Horticultural Crops)

  • 박제균;전재근;이승구;김공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45-849
    • /
    • 1988
  • 저장실, 저장상자, 공기분배장치 등을 포함한 실험실 규모의 저장실을 설계, 제작하였다. 과실류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상자(1.7 l)는 투명아크릴을 재질로 일정 공기가 계속해서 순환되도록 하고 저장실은 $0{\sim}30^{\circ}C$ 범위내에서 ${\pm}0.5^{\circ}C$의 정확도로 온도제어가 가능하였다. 저장상자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분배 장치를 통하여 예냉과 공기압의 균일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Solenoid valve를 사용한 저장상자 선택장치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은 저장시설의 환경제어와 계측을 전담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셰서 시스템을 8 bit 마이크로프로쎄서와 기억장치, 그리고 입출력장치 등의 IC chip을 이용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동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저장환경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운영프로그램을 ROM화 할 수 있었다. 제작된 저장 자동제어장치 시스템을 이용 밀감류 저장에 적용하여 저장시설의 운영 및 온도의 자료수집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Cook-Chill System을 위한 생산품의 냉장저장 중 녹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일부 식중독균의 증식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partial Pathogen growth in virtue of Green Tea Extracts in Cold Storage Conditions of Products for Cook-Chill System)

  • 김혜영;정성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2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nhibitory effect of pathogen growth by adding green tea extracts to some cook-chill foods. For this study, chicken meat salad and pyeonyuk were blended with green tea extracts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0, 2 and $3\%$ and prepared in a cook-chill system. S. typhimurium in chickien meat salad; Better antibacterial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were observed at a $3\%$ concentration, compared with a $2\%$ concentration. Populations of S. aureus in chicken meat salad; antibacterial effects at a $3\%$ concentration became significant from 3days while that at a $2\%$ concentration remained steady throughout the five-day duration. All three testing samples exhibited a decrease in populations of S. aureus during storage. In pyeonyuk, S. aureus counts at a $3\%$ concentration were 7.26 CFU/g on day 3 and declined to 6.61 CFU/g and 6.48 CFU/g on the following days, showing a greater degree of decline than that of a $2\%$ concentration.

Effect of Quality Grade and Storage Time on the Palatability,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Quality of Hanwoo Striploin Beef

  • Yim, Dong-Gyun;Kim, Yu-Jin;Chung, Ku-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49-458
    • /
    • 2015
  • The effects of quality grade and storage time on physicochemical, sensory properties and microbial population of Hanwoo striploin beef were investigated. After a total of 30 Hanwoo beef were slaughtered, the cold carcasses were graded by official meat grader at 24 h postmortem. The carcass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quality grade 1++, 1+, 1, 2, and 3) and were vacuum-packaged and stored. The samples were kept for 1, 4, 6, 8, 11, 13, 15, 18, 20, 22 and 25 d for analyses. As the quality grade was increased, moisture, protein and ash contents decreased (p<0.05). Higher quality grade corresponded with higher fat contents. The shear force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quality grade and showed decreases sharply during the first 4 d (p<0.05). pH, water 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for grade 1++ groups were lower than for grade 3 (p<0.05). CIE L* and b* values increased as increased quality grade (p<0.05). Meat color decreased until 13 d and fluctuated after 15 d of storage (p<0.05). Regarding the sensory scores, higher quality grade corresponded with higher juiciness, tenderness, flavor, fatty and palatability scores (p<0.05). Generally, increased storage time for 15 d improved sensory scores attributes. Results indicate that a high quality grade could positively influenc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ssessment of the Inhibitory Activity of Peptide Extracts from Hanwoo Musculus Longissimus o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 Seol, Kuk-Hwan;Song, Ji-Hye;Prayad, Thirawong;Kim, Hyoun-Wook;Jang, Ae-Ra;Ham, Jun-Sang;Oh, Mi-Hwa;Kim, Dong-Hun;Lee, Moo-H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63-667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of peptide extracts derived from the enzymatic proteolysis of Hanwoo Musculus longissimus (M. longissimus) during cold storage. Thermolysin (80 ppm, w/w) and protease type XIII (100 ppm, w/w) were injec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for the enzymatic proteolysis of sarcoplasmic and myofibrillar proteins prior to storage at $5^{\circ}C$ (T1) or at $-1^{\circ}C$ (T2) in a chilling room for 9 days. Beef injected with thermolysin (E2) and thermolysin+protease type XIII (E3)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hydrolysis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p<0.05). During the storage period, T1E2 at day 6 and T1E3 at day 9 showed the strongest ACE inhibitory activity with sarcoplasmic and myofibrillar protein proteolysates. Macromolecules greater than 10,000 Da were removed by ultra filtration, and the filtrates were separated into fractions using gel filtration. Five and three major fractions were collected from S-T1E2-6 and M-T1E3-9 extracts, respectively, and the $4^{th}$ fraction of the S-T1E2-6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CE inhibitory rate of $61.96{\pm}7.41%$.

Effects of High Relative Humidity on Weight Loss, Color Change, and Microbial Activity of Tomato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Pai, Tongk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50-253
    • /
    • 2000
  • The effects of high relative humidity (RH)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y of mature green tomatoes ('Dombito') during refrigerated storage were determined at three temperatures (5, 10, and $15^{\circ}C$) and four different RH levels (91, 94, 97, and 99%). At each temperature, the weight loss rates of tomatoes at different levels of RH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the samples stored at $10^{\circ}C$, the weight losse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for the samples at $15^{\circ}C$ within the same RH level (i.e., greater vapor pressure deficit). The color change rates ('a' value) showed positive slopes, indicating that the tomato color was changing from green to red. Neither bacteria nor fungi caused visible damages to the samples, and the microbial counts were below 650 colony forming units/$cm^2$ during the test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