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ffee drinking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19초

여대생의 건강체력과 비만에 대한 물과 커피 섭취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coffee intake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obesity of women's university student)

  • 이루리;고유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49-658
    • /
    • 2020
  • 본 연구는 여대생 900명을 대상으로 물 섭취량과 커피 섭취량에 따른 건강체력 및 비만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정은 건강체력요인 체력에 근력(악력, 배근력),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유연성(앉아앞으로굽히기) 심폐지구력(하버드스텝)을 측정하였고, 체성분 측정기기 Inbody를 이용하여 신체조성(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 체지방량)과 비만(BMI,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비만도)의 각 항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를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체력과 비만에 대한 물과 커피 섭취량 집단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각 독립변인 별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체력요인 중 체력요인은 물과 커피 섭취량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조성(세포내액, 단백질, 무기질,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에서 물7잔 이상 섭취 집단이 1~4잔 섭취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커피는 3~4잔 섭취 집단이 미섭취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비만요인의 경우 물 섭취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커피의 경우 비만도에서 3~4잔 섭취 집단이 미섭취 집단에 비하여 비만도가 높게 나타나, 커피는 물과 달리 비만과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차후 물과 커피와 같은 다양한 음료 섭취에 대한 성별, 연령대별 차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진다면 보다 나은 건강을 위한 개인별 특성에 따른 수분 섭취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프스타일과 커피소비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style and Coffee Consumption Motivation)

  • 정자영;김광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3호
    • /
    • pp.53-65
    • /
    • 2013
  • 우리나라 사람들의 커피에 대한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해왔고 지금은 20대 이후의 모든 연령대에서 커피가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에서 가장 많이 마시는 생활의 필수 소비품의 하나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커피소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커피 산업계는 물론이거니와 학계에서도 커피소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커피는 종류가 다양하고 커피를 소비하는 동기와 커피소비 태도도 연령이나 라이프스타일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연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커피 소비동기의 차이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80부가 회수되었고, 이들 중 설문의 응답이 불성실한 10부를 제외한 47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Ver 18.0 버전을 사용하여 타당성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성,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을 요인분석한 결과 웰빙추, 맛추구, 분위기추구, 외식추구, 인스턴트추구, 경제성추구 등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커피소비동기를 요인분석한 결과 웰빙소비동기, 기분전환 소비동기, 사회적 소비동기, 습관적 소비동기, 정서적 소비동기 등 5가지 유형으로 소비동기가 분류되었다. 주요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 스타일은 커피소비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커피 소비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에서 라이프스타일은 커피소비동기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커피 소비동기의 차이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습관적 소비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항목을 제외하고는 다른 4가지 세부 가설이 모두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커피소비동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성인의 커피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offee Intake in Korean Adults)

  • 김명관;김승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29-536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성인들이 커피 섭취 시 어떠한 상황에 가장 많이 마시게 되는지를 살펴보고, 커피 섭취와 건강증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인 2017년 원시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성인에 대해 결측값을 제외한 3,325명이었다. 이는 최근 1년간 커피의 평균 섭취량이 1잔 이상인 경우만을 추출한 수이다. 커피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가구소득, 교육수준, 직업, 건강행태로는 흡연여부, 음주여부, 일 및 여가로서 고강도, 중강도, 걷기 신체활동 실천 여부, 수면시간, 스트레스, 우울여부 등에 영항을 받는지를 모형에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남자보다 여자의 커피 섭취량이 낮았고, 20-39세보다 40-64세, 무직보다는 육체적 직업, 비흡연자보다는 흡연자, 낮은 스트레스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커피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요인을 가진 대상자들은 커피 섭취에 의한 카페인 과다 섭취의 위험 군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의 위험 군을 대상자로 커피의 과다 섭취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생들의 음료 소비실태 및 이미지 조사 연구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nd Image of College Students)

  • 박모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01-513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consumption pattern and image of beverage, this study was performed by using questionnaire based on stratified random sampling about 200 students from September 6, 1999 to September 18, 1999. The result was as followings: 1. For the reasons of each beverage consumption, coke, soda pop and sport drinks were for quenching thirst. And coffee and juices were for dessert and milk.yoghurts, dietary beverages, green tea and ginseng tea were for health. 2. For the priority in selecting each beverage, trademark was dominant factor for choosing coke. And the dominant factor of choosing milk.yoghurts and ginseng tea was nutrition and in case of other beverages taste was the first factor. 3. For the place of taking beverages, coffee, coke and sport drinks were mainly consumed in school and milk.yoghurt and juices in home. 4. The college students loved or liked milk.yoghurt and juices, and they liked or enjoyed coke, soda pop, sport drinks and green tea moderately, and enjoyed ginseng tea and black tea moderately or disliked them. 5. For the frequency of each beverage, many of them consumed coffee and milk.yoghurt once or twice a day. and consumed coke. soda pop. sport drinks and juices once or twice a week. And they answered that they did not consume dietary beverages, green tea, ginseng tea and black tea so often. 6.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requency of drinking and preference score of beverage. 7. For the consum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more than 50% of the subjects had no experience in taking sangwha tea, omiza tea, and Kugiza tea. Among them, many answered that they would try the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if they had an opportunity, and that their price was moderate. 8.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image of those beverages were as followings; \circled1 Coffee, coke, sport drinks and dietary beverages had a modern image and green tea, ginseng tea and black tea had a traditional image. \circled2 Coke, sport drinks and ginseng tea had a manly image and juices, dietary beverages, green tea and black tea had a womanlike image. \circled3 The students recognized coffee, coke, milkㆍyoghurt, sport drinks, juices, dietary beverages and green tea to be daily and catholic. \circled4 Milkㆍyoghurt, juices, dietary beverages, green tea, ginseng tea and black tea were recognized to be good for health and coffee and coke bad for health. \circled5 Coffee, coke, soda pop, sport drinks, juices and green tea were slightly concerned with a change. \circled6 Coke, soda pop and sport drinks had a dynamic image and coffee, juices. green tea, ginseng tea and black tea had a little static image.

  • PDF

한국 폐경 후 여성 커피소비자에서 우유섭취여부에 따른 골밀도와 영양상태 비교 :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Bone mineral density and nutritional state according to milk consumption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ho drink coffee: Using the 2008~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유선형;서윤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347-357
    • /
    • 2016
  • 한국인의 최근 커피소비의 급격한 증가는 카페인의 과다 섭취로 이어지고 이는 칼슘흡수를 낮춰 골밀도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폐경 후 여성 커피소비자에서 우유섭취 여부가 골밀도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 3차년도(2008년, 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갑상선장애, 만성질환, 암을 진단받거나 치료받는 자, 골다공증 치료를 받는자와 여성호르몬제 복용자를 제외한 1,37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커피와 우유 섭취 여부에 따라 커피는 섭취하나 우유를 섭취하지 않는군 (커피군), 커피와 우유를 모두 섭취하는군 (커피 우유군), 커피를 섭취하지 않으면서 우유를 섭취하는군 (우유군), 커피와 우유를 모두 섭취하지 않는군 (비섭취군)의 네 군으로 분류하고 부위별 골밀도와 영양상태를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해당 년도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였고, 골밀도 비교시에는 연령, 체질량지수, 신체활동, 음주, 흡연, 칼슘섭취량을 보정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성은 ${\alpha}=0.05$ 수준에서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커피 우유군은 65세미만의 젊은 층이 많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고, 도시 거주자가 많았다. 반면에 비섭취군과 커피군은 65세 이상이 많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으며 읍 면 거주자가 많았다. 커피 우유군에서 음주자의 비율이 높았으나, 신체적 활동 정도나 흡연에서는 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총대퇴골과 요추부위의 골밀도 및 T-score값은 커피 우유군에서 세 군에 비해 가장 높았고 우유군, 커피군의 순으로 높았으며, 비섭취군에서 가장 낮았다. T-score값으로 골 건강상태를 판정하였을 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커피 우유군에 골밀도 정상 해당자가 많고 우유군, 커피군이 그 뒤를 이었고, 비섭취군에 골다공증 해당자가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3) 허리둘레를 제외하고는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제지방조직량이 커피 우유군에서 모두 높았다. 반면에 커피군은 커피 우유군에 비해 이들 체위계측치가 모두 낮았고, 또한 우유군에 비해 신장은 낮고 체중은 높아 체질량지수가 높고 허리둘레도 높은 대신 제지방량은 낮았다. 우유군은 네군 중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가장 낮고 제지방량은 커피 우유군 다음으로 높았다. 비섭취군은 네군 중 체중, 신장, 제지방량이 가장 낮았고 허리둘레는 가장 높았다. 혈청부갑상선호르몬 농도는 비섭취군에서 높았고 우유군에서 가장 낮았다. 4) 커피 우유군은 대다수 식품군의 섭취 빈도가 다른 세군에 비해 높았다. 우유군은 총곡류와 우유류를 제외하고 대다수 식품군의 섭취빈도가 커피 우유군에 비해 낮았으나, 육 난류, 어류, 버섯류와 과일류는 커피 우유군에 필적하는 수준이었고 커피군에 비해서는 대다수 식품군에서 더 높은 섭취빈도를 나타내었다. 영양소섭취상태는 조사대상 영양소 중 나트륨과 칼륨에서만 유의성이 없었을 뿐, 칼슘을 포함하여 에너지, 단백질과 인, 철분, 비타민 C와 지방에너지비가 두 우유군 (커피 우유군과 우유군)에서 비슷하게 높았고, 5개 영양소의 평균 영양소적정섭취비 (MAR) 역시 두 우유군에서 높았다. 반면에 커피군과 비섭취군은 다수 식품군의 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났고 미량 영양소의 섭취 수준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한국 폐경 여성 커피 섭취자에서 커피 비섭취자에 비하여 골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커피와 우유를 함께 섭취한 군이 커피 단독군에 비해, 또 커피를 안 마시고 우유만 섭취하는 군에 비해 골밀도도 높고 체위와 체조성과 무기질 및 전반적인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피 단독군에 비해, 우유만 섭취하는 군이 골밀도와 체조성 및 영양섭취상태가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폐경여성에서 우유를 포함한 다양한 식품군과 균형잡힌 영양섭취를 하는 경우, 단순히 커피 섭취가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광주지역 대학생의 체질량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Body Mass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 김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4-26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body mass index of 618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Gwangju area, from Nov. 20th to 30th, 2002. The subjects included 301 males(48.7%) and 317 females(51.3%).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were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BMI) was 3.7, 88.0 and 8.3 for the males, and 29, 71 and 0 for the females, respectively. Most students (73.8%) skipped breakfast. This was because of lack of time(65.1%) of the cases. Self-reported eating habit problems were eating irregular meal(52.4%), overeating(21%), prejudiced meal(12.4%) and skipping meal(7.4%). The type of favorite snack was biscuit(31.9%) and cup Ramyon(31.9%). The type of favorite beverage was juice(23.3%). The coffee intake was higher in males compared to females. The rates of alcohol drinking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88.0% and 85.8% respectively, and the rates of smoking were 35.9% and 2.8% respectively. Percentages of weight control experience were 30.2 and 51.4 in the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The BMI of students living in home and eating breakfas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tudents. The BMI of students eating cup Ramyon and water increased. The BMI of students taking regular exercise and weight control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subjects not doing so. When the amount of pocket money available and the rates of coffee intake, alchol drinking and smoking increased, the BMI was increased.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needed so as to improve their health and to modify life habits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se students.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life style variables, and pregnancy outcomes by the depression degree of pregnant women

  • Bae, Hyun-Sook;Kim, Sun-Young;Ahn, Hong-Seok;Cho, Yeon-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4호
    • /
    • pp.323-331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effects that the degree of depression have on the life style variables, nutrient intake, iron indices and pregnancy outcome. Subjects were 114 pregnant women who were receiving prenatal care at a hospital in Seoul. We collected data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variables from general survey instrument and for depression score from the questionnaire on depression. Dietary intakes of subjects were estimated by 24 hour dietary recall method. Also we analysed iron indices and pregnancy outcomes. We classified subjects by 10 point, which was the average depression score, into two groups [Low depression score group (LS) : High depression score group (HS)]. As to the intakes of total calcium, plant-calcium, plant-iron, potassium, total folate and dietary folate, LS group was far higher than HS group (P < 0.05, P < 0.05, P < 0.01, P < 0.001, P < 0.05, and P < 0.01, respectively). As to pre-pregnancy alcohol drinking, LS group had 41.9% in non-drinker, which was far higher than 28% in HS group in non-drinker (P < 0.05). As for drinking coffee during pre-pregnancy, pregnant women who don’ drink coffee in LS group took 43.6%, which was higher than 38% in HS group (P < 0.01). Regarding delivery type, the cesarean section in LS group (18%)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HS group (45%) (P < 0.01). B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birth weigh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estational age (P < 0.01). The pregnant women with higher depression score tended to have undesirable life habit, which might affect negative pregnancy outcom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depression and intake of nutrients work together to modulate behavior will be benefit nutritional research.

Lifestyle, dietary habits and consumption pattern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mmercial beverage consumptions

  • Kim, Hye-Min;Han, Sung-Nim;Song, Kyung-Hee;Lee, Hong-Mi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2호
    • /
    • pp.124-131
    • /
    • 2011
  • Because excessive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s may reduce the quality of nutritional intake, this study examine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mmercial beverages, lifestyle, dietary habits, and perception of sweet taste. Participants were 407 male university students in Kyeooggido, Korea, and information was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mong them, 58 nonsmoker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taste test.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mmercial beverage consumptions: 120 rare (< 1 serving/week), 227 moderate (1-3 servings/week) and 133 frequent (> 3 servings/week) consumption groups. More subjects from the rare consumption group chose water, tea, and soy milk, and more from the frequent consumption group chose carbonated soft drinks and coffee (P=0.031) as their favorite drinks. Frequent consumption group consumed fruit juice, coffee, and sports and carbonated soft drinks significantly more often (P=0.002, P=0.000, P=0.000, respectively), but not milk and tea. Frequent consumption group consumed beverages casually without a specific occasion (P=0.000) than rare consumption group. Frequent drinking of commercial beverages was associated with frequent snacking (P=0.002), meal skipping (P=0.006), eating out (P=0.003), eating delivered foods (P=0.000), processed foods (P=0.001), and sweets (P=0.002), and drinking alcoholic beverages (P=0.029). Frequent consumption group tended to have a higher threshold of sweet taste without reaching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for developing strategies for evidence-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reducing consumption of unnecessary sugar-sweetened commercial beverages.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대학가 음식문화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Culture Practi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at Campus Town in Pusan)

  • 신애숙;김경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39-35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dietary life style of university student at campus town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F&B(Food and Beverage) shop. This survey about the dietary was carried out with a variety of questionares about the life style. The subjects are 364 males and 278 females university students in Pusan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most of the subjects have a meal in-cam-pus restaurant with rice during daytime. In out-campus popular restaurant is a flouryfood restaurant and the most of subject used to go the restaurant to take a meal more than once for 2~3 days. Although a half of the subjects are satisfied with the restaurant in out-campus. Some of the subjects are unsatisfied with a price of food. A taste is the most popular criteria for selecting food in the restaurant and almost of the subjects take a meal in price 2000~2500won. Cchachangmyun is the most popular with the subject in the flouryfood restaurant, coffee is popular with the subject in the coffee shop. A half of the subjects used to go a hof house to drink, and beer is the most popular liquor with them. More than a half of the subject have a drinking at least more than once for a week in the drinking shop. A half of male subjects are able to drink more than 2,ooocc beer and more than a half of female subjects are able to drink more than 500cc beer. More than a half of the subjects want to new F&B shop to got a new exper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