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ffee bean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4초

Restoring Ampicillin Sensitivity in Multidrug-Resistant Escherichia coli Following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Coffee Pulp Extracts

  • Anchalee Rawangkan;Atchariya Yosboonruang;Anong Kiddee;Achiraya Siriphap;Grissana Pook-In;Ratsada Praphasawat;Surasak Saokaew;Acharaporn Duangja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9호
    • /
    • pp.1179-1188
    • /
    • 2023
  • Escherichia coli, particularly multidrug-resistant (MDR) strains, is a serious caus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Development of novel antimicrobial agents or restoration of drug efficiency is required to treat MDR bacteria, and the use of natural products to solve this problem is promising.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dried green coffee (DGC) beans, coffee pulp (CP), and arabica leaf (AL) crude extracts against 28 isolated MDR E. coli strains and restoration of ampicillin (AMP) efficiency with a combination test. DGC, CP, and AL extracts were effective against all 28 strains, with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12.5-50 mg/ml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25-100 mg/ml. The CP-AMP combin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CP or AMP alone, with a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value of 0.01. In the combination, the MIC of CP was 0.2 mg/ml (compared to 25 mg/ml of CP alone) and that of AMP was 0.1 mg/ml (compared to 50 mg/ml of AMP alone), or a 125-fold and 500-fold reduction, respectively, against 13-drug resistant MDR E. coli strains. Time-kill kinetics showed that the bactericidal effect of the CP-AMP combination occurred within 3 h through disruption of membrane permeability and biofilm eradication, as verifi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is is the first report indicating that CP-AMP combination therapy could be employed to treat MDR E. coli by repurposing AMP.

저장 기간에 따른 스페셜티 등급 커피의 소비자 관능평가 (Consumer's Sensory Evaluation of Specialty Grade Coffee during Storage)

  • 권대중;이민준;박옥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33-1038
    • /
    • 2012
  •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specialty grade coffee of which the market will be expanded through customer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of specialty grade coffee by the SCAA classified method with consideration to defective beans and scent. The specialty grade coffee sample of this study was extracted on day 1, day 14, and day 28. The water content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n the 28th storage day and there was no pH change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Color degree was brightened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period before and after grind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anels for sensory evaluation considered of 24 university. The sensory evaluation consist of aroma, bitterness, and astringency, acidity, aftertaste, overall satisfaction, and items for strength estimation consist of aroma, acidity and bitterness. The sensory evaluation was expressed by applying a 5 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so too did the aroma and the strength of bitterness. Preference was the highest on day 1 in every items except aroma and astrigency. However on day 14 and day 28, most of the sensory evaluation became low and then became high, which was inconsistent. Male students were not consistent in their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period, but female students rated aroma and bitterness the lowest on preservation period day 1 and they prefer after a storage period of 1 day in regards to the entire degree of satisfaction including sour test. astrigency and aftertaste. The analysis of visiting frequency for coffee shops used demonstrated that the longer the preservation period, the lower the preference but wa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involving a little frequency group. The group that did not like Americano coffee evaluated that the longer the preservation period, the lower the preference based on Americano coffee preference analysis. There was no consistency between the storage period day 14 and day 28 in strength and preference, but preference for storage period day 1 was high in every group, which means that the quality of coffee is affected by the preservation period.

원산지에 따른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 생리활성 성분 및 산화방지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bioactiv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coffee beans dependent on the cultivation region)

  • 이경수;김자민;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74-479
    • /
    • 2017
  • 우리나라에서 많이 수입되어 음용되고 있는 커피원두를 일정한 조건하에서 배전 및 추출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성분 및 산화방지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콜럼비아산 커피 추출액의 pH가 가장 높았으며, 산도는 0.46-0.55%로 산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0.90-1.0^{\circ}Bx$로 나타났다. 갈색도는 인도네시아산 커피 추출액의 값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에티오피아산이 가장 낮았다. 인도네시아산 커피 추출액이 가장 많은 카페인과 클로로젠산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케냐산 커피 추출액의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산화방지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및 ABTS 소거능 모두 인도네시아산과 케냐산 커피 추출액이 다른 산지의 커피 추출액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5종류의 커피 중 인도네시아산과 케냐산이 높은 함량의 기능성 성분과 우수한 산화방지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리튬 이온 이차전지 음극 활물질용 탄화 커피 분말 제조 및 전기화학적인 특성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bonized Coffee Powder for Use as a Lithium-Ion Battery Anode)

  • 김태균;조진혁;팜꽁데;전인준;황진현;김경화;조채용
    • 새물리
    • /
    • 제68권12호
    • /
    • pp.1315-13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폐 커피분말을 열처리 조건에 따른 탄화과정을 거쳐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재료로 응용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 커피분말은 커피 껍질이 아닌 커피 알맹이로부터 얻은 것으로, 커피를 내리고 남은 커피분말을 공기 중에서 건조하고 $Ar/H_2$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기공(pore)이 있는 활성 탄소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었다.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약 0.2 V에서 Li의 삽입, 0.01 V에서 Li의 탈리가 관찰되었다. $700^{\circ}C$에서 열처리된 시료에 대해 1000 mA/g의 전류밀도로 1000 사이클 충방전 후 측정된 비용량은 303 mAh/g 이었으며 99.5% 이상의 쿨롱(Coulomb) 효율을 나타내었다. 폐 커피분말을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는 기공으로 인한 표면적 증가와 이온 및 전자전도 특성 개선으로 전기화학적인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또한 재활용을 통한 전지 제조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ietary Intake Differences among Korean Male Smokers, Ex-smokers and Non-smokers

  • Kim, Jean-Chinock -Rim;Kim, Seonwoo;Lee, Soon-Young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1권2호
    • /
    • pp.125-132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dietary intake, age, body mass index(BMI),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of 1,585 Korean healthy males among current smokers, ex-smokers and non-smokers. Dietary intake was determined by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in Seoul, Korea. A bioelectric impedance analyzer measured height, body weight and BMI. This study identified 50% of the study group as current smokers and 30% as ex-smokers and 20% as non-smokers. The mean body mass index was 23.7kg/㎡ an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groups. THe current smokers were younger(44.9 years old) and contained a lower percentage(58.5%) of college graduate than that of ex-smokers or non-smokers. The percentage of non-consumers of meat, eggs, beans and bean products was higher in non-smokers than that of ex-smokers or current smokers. Smoking was to a significant degree positively related to the amount of coffee and alcoholic beverages consumed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amount of milk and milk products and fruits consumed. The intake of eggs, milk and milk products, fruit, coffee, sweets, fats and oi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alcohol consumption. There wa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intensity and the intake of coffee and alcoholic beverages(p<0.0005), an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intensity and fruit, milk and milk product intake(p<0.005). The current smokers were characterized by a higher intake of total energy and cholesterol, and a lower intake of dietary fibers, ${\beta}$-carotine and folate than those of non-smokers or ex-smokers. The nutrient intake of ex-smokers was moderate and highest in ${\beta}$-carotine and folate, which suggested that ex-smokers were trying to change their life style.

  • PDF

분쇄도 및 로스팅 조건이 수프리모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remo Coffee according to Grinding and Brewing Conditions)

  • 강난기;민관식;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9-96
    • /
    • 2015
  •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하여 가공한 수프리모 커피 추출물의 일반성분, pH, 당도, 색도 및 미네랄 조성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 약배전보다 강배전 시 감소하였고, 탄수화물은 강배전 후 감소하였다.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강배전 후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는 약배전보다 강배전 시 높아졌고, 당도와 총 당 함량은 배전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L값은 생두는 강배전할수록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약배전에서 높고, 강배전에서 낮아졌다. 배전도가 클수록 L값, a값, b값은 낮아지고 분쇄도가 클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 b 값은 배전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프리모 커피의 Ca, Fe, K, Na, P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K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약배전 약분쇄 시 가장 높아 다른 배전 조건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강배전 약분쇄 4.25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는 약배전 약분쇄 63.49 g/100 g으로 가장 높아 배전 조건에 따라 식이섬유소 함량이 유의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수프리모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산 중에 특히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의 함량이 다른 지방산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배전도와 분쇄도에 따른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한 수프리모 커피의 유기산은 acetic acid, propion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가 검출되었다. 특히 수프리모 커피의 생두는 휘발성을 갖는 유기산인 acetic acid가 높았고, 배전강도와 분쇄도를 달리하여 가공 처리한 수프리모 커피는 fumaric acid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커피 품종에 따라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하면 다양한 이화학적인 특성을 지닌 커피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 중 곰팡이독소 안전기준 관리 (Administration of Mycotoxins in Food in Korea)

  • 강길진;김혜정;이연경;정경희;한상배;박선희;오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1-288
    • /
    • 2010
  • 식품 중 아플라톡신 ($B_1+B_2+G_1+G_2$)의 기준은 곡류, 두류, 땅콩, 견과류 및 그 단순가공품 (분쇄, 절단 등), 곡류 가공품 및 두류가공품, 과자류 (땅콩 또는 견과류 함유식품), 장류, 고춧가루, 팝콘용 옥수수가공품, 기타 식품류 (찐쌀)에 대하여 15 ($B_1$은 10)${\mu}g/kg$ 이하로, 원유 및 우유류 중 아플라톡신의 기준은 $M_1$으로서 0.5 ${\mu}g/kg$ 이하로 설정되었다. 사과주스, 사과주스 농축액 중 파튤린의 기준은 50 ${\mu}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오크라톡신 A의 기준은 밀, 호밀, 보리, 커피콩, 북은 커피에 5 ${\mu}g/kg$, 인스턴트커피, 건포도 중 10 ${\mu}g/kg$, 포도주스, 포도주스 농축액, 포도주 중 2 ${\mu}g/kg$ 이하로 설정되었고, 푸모니신($B_1+B_2$)은 옥수수 중 4 mg/kg, 옥수수 단순가공품 및 옥수수 가루 중 2 mg/kg, 옥수수 가공품 중 1 mg/kg 이하로 설정되었다. 현재 식품 중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노출량 조사와 위해평가를 통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설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초임계 추출을 통한 커피 디카페인 과정에서의 트리고넬린과 클로로겐산 손실 최소화를 위한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Study to Minimize Trigonelline and Chlorogenic acid Loss in the Coffee Decaffeination Process through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임지선;이승은;김성준;송봉근;박영권;이홍식
    • 청정기술
    • /
    • 제30권3호
    • /
    • pp.203-210
    • /
    • 2024
  • 본 연구는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커피 생두에서 카페인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주요 향미 성분인 트리고넬린과 클로로겐산을 보존하는 최적의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다양한 전처리 조건과 초임계 추출 조건을 통해 실험한 결과, 수분 함량이 35%인 생두를 열수 불림하였을 때 카페인 추출률이 90.6%로 가장 높았고, 트리고넬린과 클로로겐산의 보존율은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초임계 추출 시간에 따른 실험에서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감소하였고, 온도와 압력이 60 ℃와 40 MPa 일 때의 조건에서 추출한 생두가 카페인 제거와 향미 성분 보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물의 투입량이 높아짐에 따라 카페인 추출률이 높아졌으나, 향미 성분의 손실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용매-원료 비가 증가함에 따라 카페인 제거율은 상승하였고, 특히 용매-원료 비가 250인 조건에서 카페인 추출률 91.0%와 트리고넬린 및 클로로겐산 보존율이 각각 99.9% 및 85.9%로 최적의 결과를 보였다.

원두커피 향미 성분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포장재에서의 저장 차이 분석 (Analysis of Flavor Components of Coffee Beans in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ackaging Materials during Storage)

  • 유하경;이승욱;오재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95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커피 시장이 매년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커피 포장지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제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될 씰란트 층에 사용되는 PE 재질과 PP 재질이 커피 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Electronic nose)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PP와 PE 재질의 파우치에 커피를 담아 향기 패턴과 향 물질의 변화를 연구해 보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분 분석 결과, 커피의 향기 성분 분석에 적합한 지표 물질은 pyridine이었다. 추가적으로 온도($4^{\circ}C$, $25^{\circ}C$ and $40^{\circ}C$)와 탈산소제의 유무에 따른 향기 패턴 변화 역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미하게나마 PP계열 포장재가 PE계열 포장재보다 보향성이 좋았으나 재질에 의한 성능의 변화는 거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오히려 재질보다는 온도에 의한 향기 패턴 변화가 지배적이었다. 냉장 유통($4^{\circ}C$)이 가장 좋은 보관 온도였고 짧은 기간 내에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시판 기호식품 중 카페인 함량에 관한 조사 (A Evaluation of the Caffeine Contents in Commercial Foods)

  • 윤미혜;이명진;황선일;문수경;김재관;정일형;임준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5-299
    • /
    • 2001
  • 식생활의 여유와 더불어 생활패턴 변화로 커피, 차, 콜라 등 카페인 함유 기호식품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어 카페인 섭취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카페인 및 카페인 함유식품에 대한 정보제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중 유통되고 있는 커피 등 기호식품 13종 115품목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실제적으로 음용할 때 섭취되는 카페인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카페인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식품은 캔 커피로 1캔에서 78.3~141.4mg의 카페인이 검출되었고 커피믹스와 인스탄트커피는 53.3~70.4mg, 54.0~71.1mg이었으며, 원두커피의 경우 35.9~57.2mg으로 다른 커피보다는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홍차의 경우 티백에서 19.5~38.3mg, 캔 음료에서 9.0~29.2mg의 카페인 함량을 보였고 녹차는 잎차가 26.0~48.0mg, 티백 13.7~26.8mg, 캔 음료는 12.4~17.5mg이었다. 그 외 식품에서의 카페인 함량은 현미녹차 티백 7.1~16.5mg, 코코아차 22.8mg, 콜라 10.3~25.0mg, 커피맛빙과 10.0~48.2mg이었다. 또한 홍타, 원두커피, 녹차에 들어있는 카페인이 침출조건에 따라 용출되는 양은 물의 온도 10$0^{\circ}C$에서 침출시간 5분까지 급속히 증가를 보이다가 10분부터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침출온도의 변화에서는 10$0^{\circ}C$까지 계속적인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