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onut water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6초

식물계활성탄과 석탄계활성탄에서의 세균재생장 비교 (Comparison of Bacterial Regrowth on Plant- and Coal-based Granular Activated Carbon)

  • 이동근;박성주;하배진;하종명;이상현;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04-109
    • /
    • 2004
  • 정수용 입상활성탄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으로 사용되는 식물계와 석탄계 활성탄의 미생물 재생장 현상을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해 활성탄 칼럼을 대상으로, 유입수와 유출수 비교와 함께 활성탄 상의 종속영양세균의 분포와 활성을 분석하였다. 활성탄 칼럼은 총유기탄소와 잔류염소를 잘 제거하였으며 이온은 잘 제거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칼럼 유출수의 세균수는 10일째 파과 (breakthrough)가 발생한 후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석탄계와 식물계 활성탄에서 각각 1.1 ${\times}$ $10^3$, 6.2 ${\times}$ $10^2$ CFU/mL로 나타났다. 칼럼 내부 활성탄 상의 미생물 활성은 GAC-C가 15.35~29.06$\mu\textrm{g}$ INT-formazan/g-GAC/h이었고, 세균수와 세균활성 모두 석탄계가 조금 높았다. 입상활성탄 상의 미생물 재생장 현상이 확인되었고, 석탄계 활성탄이 야자계 활성탄보다 미생물 재생장 유발 효과가 큰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활성탄 상의 세균에 의한 유기물 제거능력이 확인되었다.

Morphogenetic Behavior of Tropical Marine Yeast Yarrowia lipolytica in Response to Hydrophobic Substrates

  • Zinjarde, Smita S.;Kale, Bhagyashree V.;Vishwasrao, Paresh V.;Kumar, Ameeta 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9호
    • /
    • pp.1522-1528
    • /
    • 2008
  • The morphogenetic behavior of a tropical marine Yarrowia lipolytica strain on hydrophobic substrates was studied. Media containing coconut oil or palm kernel oil (rich in lauric and myristic acids) prepared in distilled water or seawater at a neutral pH supported 95% of the cells to undergo a transition from the yeast form to the mycelium form. With potassium laurate, 51 % of the cells were in the mycelium form, whereas with myristate, 32% were in the mycelium form. However, combinations of these two fatty acids in proportions that are present in coconut oil or palm kernel oil enhanced the mycelium formation to 65%. The culture also produced extracellular lipases during the morphogenetic change. The yeast cells were found to attach to the large droplets of the hydrophobic substrates during the transition, while the mycelia were associated with the aqueous phase. The alkane-grown yeast partitioned more efficiently in the hydrophobic phases when compared with the coconut oil-grown mycelia. A fatty acid analysis of the mycelial form revealed the presence of lauric acid in addition to the long-chain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observed in the yeast form. The mycelia underwent a rapid transition to the yeast form with n-dodecane, a medium-chain aliphatic hydrocarbon. Thus, the fungus displayed a differential behavior towards the two types of saturated hydrophobic substrates.

활성탄 재질 및 사용연수에 따른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흡착특성 (Effects of Activated Carbon Types and Service Life on Adsorp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 Compounds in GAC Process)

  • 손희종;정종문;황영도;노재순;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925-932
    • /
    • 2008
  • 입상활성탄 재질별 신탄 및 사용탄에서의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4종에 대한 파과특성의 경우 석탄계 활성탄이 가장 늦게 파과에 도달하였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목탄계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물질별 활성탄에서의 파과특성을 살펴보면 tetracycline(TC)의 파과시점이 가장 늦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oxytetracycline(OTC), chlortetracycline(CTC), minocycline(MNC)으로 나타났다. 활성탄 g당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4종에 대한 최대 흡착량(X/M)은 석탄계 활성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야자계와 목탄계 순으로 나타났다.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4종에 대한 석탄계 활성탄의 최대 흡착량(X/M)은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에 비해 각각 1.27$\sim$1.36배 및 1.69$\sim$1.84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활성탄 사용율(carbon usage rate, CUR)은 tetracycline의 경우 석탄계 재질의 활성탄이 2.96 g/일, 야자계나 목탄계 활성탄은 각각 3.40 g/day 및 4.53 g/day의 활성탄을 사용하여야만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어 석탄계 활성탄이 다른 재질의 활성탄들에 비해 적은 양으로도 tetracycline계 항생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3종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석탄계 활성탄 신탄과 사용탄에 대한 CUR을 비교해보면 tetracycline의 경우 신탄을 사용하였을 경우 보다 1.3년 사용탄 및 3.1년 사용탄을 사용하였을 경우가 CUR이 1.96배 및 2.5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정수처리용 Filter/Adsorber Granular Activated Carbon 특성 평가: 마모지수, floater, water-soluble ash 및 흡착특성 평가 (Evaluation on Filter/Adsorber Granular Activated Carbon using in Advanced Drinking Water Treatment: Abrasion number, Floater, Water-soluble ash,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 박병주;도시현;김태양;홍성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7-85
    • /
    • 2016
  • The characteristics of filter/adsorber granular activated carbon (F/A GAC)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various parameters, which include surface area, pore volume, abrasion number, floater, and water-soluble ash. The correlation between parameters was also evaluated. Moreover, rapid small-scale column test (RSSCT) was conducted for adsorption characteristics. Thirteen F/A GAC were tested, and the average values of abrasion number and water-soluble ash were 88.9 and 0.15%, respectively. F/A GAC with the larger external surface area and greater mesopore volume had the lower abrasion number, which indicated that it was worn out relatively easily. Water-soluble ash of coconut-based GAC (about 2.6%) was greater than that of coal-based GAC (less than 1%), and the pH of solution was increased with GAC, which had the higher water-soluble ash. On the other hand, floater of thirteen F/A GAC was divided as two groups, which one group had relatively higher floater (2.7~3.5%) and the other group had lower floater (approximately 0.5%). The results of RSSCT indicated that coconut-based GAC (i.e. relatively higher water-soluble ash) had less adsorption capacity. Moreover, adsorption capacity of coal-based GAC with larger surface area and greater mesopore volume was superior to others.

낙동강 수계에서의 Perchlorate 검출 및 활성탄 공정에 의한 제거특성 (Detection of Perchlorate in Nakdong River and Removal Characteristics of Perchlorate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Process)

  • 손희종;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8-443
    • /
    • 2007
  • 2006년 6월부터 12월까지 낙동강 본류 및 주요 지천들에서의 perchlorate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2006년 6월에 구미 하류인 왜관에서 82.1 ${\mu}g/L$가 검출되었으며, 고령에서 34.1 ${\mu}g/L$, 대암 18.3 ${\mu}g/L$, 적포 12.6 ${\mu}g/L$, 남지 13.6 ${\mu}g/L$ 및 부산시 상수 취수원인 물금에서 7.6 ${\mu}g/L$가 검출되었다. 이런 결과는 구미와 왜관 사이에 perchlorate 오염원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하류로 갈수록 perchlorate 검출농도가 낮아졌다. 또한, 2006년 7월부터 12월까지 채수한 낙동강 본류 및 지천 시료에서는 perchlorate가 전혀 검출되지 않아 2006년 6월에 일시적으로 perchlorate가 구미와 왜관 사이의 본류에서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 공정에서의 perchlorate 제거 특성을 조사한 결과, 3.1년 사용탄에서는 활성탄 재질별로 거의 흡착능이 없었으며, 석탄계 및 야자계 재질의 활정탄 신탄에서는 운전초기에는 흡착 제거되어지나, 목탄계 활성탄에서는 신탄에서도 제거능이 낮았으며, 석탄계 신탄은 BV 2,300 정도에서 파과에 도달하였고, 야자계와 목탄계 신탄의 파과시점은 BV 719와 288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활성탄 g당 perchlorate에 대한 최대 흡착량(X/M)은 석탄계 활성탄이 $768.2{\mu}g/L$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299{\mu}g/L$, 목탄계 $99.2{\mu}g/L$로 나타났다. CUR의 경우 석탄계 활성탄은 0.71 g/일,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은 2.16 g/일과 3.45 g/일로 나타났다. 석탄계, 야자계 및 목탄계 활성탄의 k값은 각각 307.2, 102.5 및 94.2로 나타났다.

GAC 공정에서의 Sulfonamide계 항생물질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ulfonamide Antibiotic Compounds in GAC Process)

  • 손희종;정종문;노재순;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1-408
    • /
    • 2008
  • 입상활성탄 재질별 신탄에서의 sulfonamide계 항생물질 5종에 대한 파과특성의 경우 석탄계 활성탄이 가장 늦게 파과에 도달하였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목탄계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물질별 활성탄에서의 파과특성을 살펴보면 sulfachloropyridazine(SCP)의 파과시점이 가장 늦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sulfathiazole(STZ), sulfadimethoxine(SDM), sulfamethazine(SMT), sulfamethoxazole(SMX)로 나타났다. 활성탄 g당 sulfonamide계 항생물질 5종에 대한 최대 흡착량(X/M)은 석탄계 활성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야자계와 목탄계 순으로 나타났다. sulfonamide계 항생물질 5종에 대한 석탄계 활성탄의 최대 흡착량(X/M)은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에 비해 각각 1.3$\sim$1.5배 및 1.8$\sim$2.1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활성탄에서의 흡착용량을 나타내는 k값의 경우 활성탄 재질별로는 석탄계 활성탄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목탄계 활성탄 순으로 조사되어 석탄계 활성탄이 각각의 sulfonamide계 항생물질들에 대해 가장 큰 흡착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5종의 sulfonamide계 항생물질별로는 SCP가 전반적으로 다른 sulfonamide계 항생물질 4종에 비해 활성탄 재질별로 가장 큰 k값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STZ, SDM, SMT, SMX 순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활성탄 사용율(carbon usage rate, CUR)은 SCP의 경우 석탄계 재질의 활성탄이 3.55 g/일, 야자계나 목탄계 활성탄은 각각 4.29 g/day 및 6.47 g/day의 활성탄을 사용하여야만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어 석탄계 활성탄이 다른 재질의 활성탄들에 비해 적은 양으로도 sulfonamide계 항생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sulfonamide계 항생물질 4종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파로호에 설치된 인공식물섬 식생기반재의 공극수에서 세균 분포와 체외효소활성도 (Bacterial Abundances and Enzymatic Activities in the Pore Water of Media of Artificial Floating Island in Lake Paro)

  • 김용전;허재규;남종현;김인선;최경숙;최승익;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0-46
    • /
    • 2007
  • 생태계가 파괴된 파로호에 수초대를 복원하는 방법으로 rubberized coconut fiber를 식생기반재로 사용한 인공식물섬을 2003년 8월에 설치하였다. 인공식물섬 식생기반재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 있을 정도로 영양염이 농축되어 꽂창포(Iris ensata), 노랑 꽃창포(Iris pseudoacorus), 갈대(Phragmites communis)등 식재된 식물이 잘 자랐다. 이 과정에서 세균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세균수, 활성세균수, ${\beta}-glucosidase$, phosphatase를 조사한 결과 인공식물성 식생기반재의 공극수에서 각각 평균 $28.6{\times}10^{6}\;cells/ml,\;22.7{\times}10^{6}\;cells/ml,\;452.9nM/L/hr,\;16381.9nM/L/hr$로 조사되어 파로호 호수물보다 각각 10배, 15배, 22배, 38배 높았다. 그리고 영양염류농도는 총인과 충질소가 식생기반재 공극수에서 각각평균 1.06 mg/L, 12.5 mg/L으로 조사되어 호수물보다 12배, 3배 높았다. 이 결과 인공식물섬 식생기반재에서 새로운 생태계가 만들어졌으며, 이 생태계에서 세균이 중요한 역할을 하여 빈-중영양상태의 호수물에서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었다.

이.취미물질(IBMP, IPMP)의 흡착제거 (Adsorption Removal of Odor Compounds (IBMP, IPMP))

  • 김은호;손희정;김영웅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2호
    • /
    • pp.18-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removal possibility of IBMP and IPMP causing odor in raw water. As a result of Freundlich isotherm. IBMP was superior to IPMP in adsorptive capacity. Adsorptive capacities of activated carbon were found to be in order of Lignite, Coconut shell, and Charcoal. These were well fitted with Freundlich isotherm. According to adsorption breakthrough tests for Lignite GAC, breakthrough time of IPMP and IBMP were 5.7hr and 5.5hr, respectively. Because adsorptive capacities of target material were very different with pore size distribution, it seemed that Lignite and Coconut shell based activated carbons were recommended in order to remove door compounds.

  • PDF

활성탄과 생물여과 공정에서의 Chloral hydrate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Chloral Hydrate by Activated Carbons and Biofiltration)

  • 배상대;손희종;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8-2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석탄계, 야자계, 목탄계 활성탄과 흡착능이 없는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하여 클로랄하이드레이트에 대한 흡착 및 생물분해 특성을 평가하였다. 활성탄 공정에서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기작은 운전초기에는 흡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부착미생물의 활성이 증진되면서 부착미생물에 의한 생분해와 흡착에 의해 제거되었으며, 클로랄하이드레이트는 생분해능이 큰 물질들로 조사되었다. 입상활성탄 재질별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 특성은 석탄계와 야자계 활성탄에서 제거율이 높았고, 목탄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거능을 보였으며, 안트라사이트 biofilter에서 가장 낮은 제거능을 보였다. 활성탄 재질별 부착 미생물의 생체량과 활성도는 석탄계가 가장 높았고, 야자계, 목탄계, 안트라사이트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 변화에 따른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 특성은 수온이 10$^{\circ}C$ 이하로 저하될 경우 부착 bacteria의 생체량과 활성도 감소로 제거율이 감소하였다.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한 생물여과 공정은 수온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부착 bacteria에 의한 직접적인 생물분해가 주 제거 메카니즘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시 유입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온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며, 흡착능이 소진된 활성탄이나 흡착능이 없는 여재를 사용한 생물여과 공정에서는 수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유출 가능성이 있었다.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GUINEA GRASS (Panicum maximum, Jacq.) AS AFFECTED BY GROWTH STAGE

  • Ibrahim, M.N.M.;Premaratne, S.;Perera, H.G.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23-128
    • /
    • 1989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frequency of defoliation on the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Guineaecotype 'A' (Panicum maximum Jacq) grass. Guinea grass harvested at 2, 3, 4, 5, 6, 7, 8, 9, 10 and 12-week cutting intervals was chopped (2 cm) and ensiled alone or with the addition of coconut (Cocos nucifera L.) meal (w/w-fresh weight basis), for periods of 6, 7 or 8 weeks in 2-litre laboratory silos. Dry matter, water soluble carbohydrates, lactic acid, pH, ash, nitrogen and digestibility in vitro were measured in representative samples of preensiled and ensiled material. Dry matter content of silages prepared from herbage harvested at 2 and 3 weeks intervals was lower (P<0.05) compared to longer defoliation intervals. The pH of silage prepared from herbage over 8 weeks old were higher (P<0.05) than those harvested below 8 weeks. The water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of silage prepared from 3-weekly defoliated herbage was higher (P<0.05) than those prepared from longer periods. Lengthened growth period decreased (P<0.001)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ensiled material, whereas the addition of coconut meal resulted in marginal increases. In vitro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of the silages decreased (P<0.05) with the increase in forage mat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