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astal waters

검색결과 1,513건 처리시간 0.026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개체수, 생체량, chlorophyll $a$의 상관성; 인천, 통영, 울산 해역을 중심으로 (Correlations between Cell Abundance, Bio-volume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Coastal Waters of Incheon, Tongyeong and Ulsan of Korea)

  • 주형민;이진환;정승원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12-320
    • /
    • 2011
  • 본 연구는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및 생체량과 chlorophyll $a$ 농도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인천, 통영, 울산 해역의 34개 정점에서 1160개 시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체수와 chlorophyll $a$ 농도가 생체량과 chlorophyll $a$ 농도보다 높은 상관성을 보여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는 1차 생산의 분석에 있어서 개체수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생체량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좀 더 자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시기별로 보다 많고, 정확한 생체량 데이터를 확보하고, 시기별 chlorophyll 함량 자료의 축적과 함께 국내 연안에서 적용 가능한 모델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韓國) 남해(南海) 연안(沿岸)의 멸치 난(卵) 자어(仔魚) 분포(分布)와 사망율(死亡率)의 변동(變動) (Distribution and Mortality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김진영;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7-225
    • /
    • 1993
  • 1990년 6월(月)부터 8월(月)까지 한국남해(韓國南海) 연안해역(沿岸海域)의 14개 정점(定點)에서 난자어(卵仔魚)를 수직채집(垂直採集)하여 멸치 난자어(卵仔魚)의 분포역(分布域)과 순간사망계수(瞬間死亡係數)를 분석(分析)하였다. 난(卵)과 자어(仔魚)의 분포역(分布域) 변동(變動)을 보면 6월(月)에는 발생(發生)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점차 남해도(南海島) 주변으로 부터 거제도(巨濟島) 동부 해역으로 분포역이 변동(變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7월(月)과 8월(月)에는 난(卵)과 자어(仔魚)의 발생(發生)이 진행(進行)되는 동안 거제도(巨濟島) 동부해역(東部海域)에서만 분포(分布)의 중심(中心)을 이루었다. 한편 난자어의 분포와 동물성 부유생물의 분포가 일치하지 않았던 6월에는 낮은 난사망율과 높은 자어사망율을 보였으나 분포가 서로 일치하였던 7월에는 높은 난사망율과 낮은 자어 사망율을 보이므로서 동물성 부유생물의 분포가 난과 자어의 사망율에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남부 연안해역의 탄소동위원소연대 보정 (Marine Reservoir Corrections $({\Delta}R)$ for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공기수;이치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2호
    • /
    • pp.124-128
    • /
    • 2005
  • 한국 주변해역의 해양시료에서 측정된 탄소동위원소 연대 값을 실제 역년(calendar age)값에 가깝게 변환하기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NFRDI)에서 제공한 핵실험 이전인 1942년에 한국 연안에서 채취한 2종의 연체동물 패각 시료를 이용하여 marine reservoir correction$({\Delta}R)$ 값을 측정하였다. 남서해안에서의 측정된 ${\Delta}R$ 값은 $-117\pm45\;^{14}C\;yr$, 남동해안에서 측정된 값은 $-160\pm35\;^{14}C\;yr$로 계산되었다. 이 값들은 황해의 중국연안에서 측정된 값들의 범위에 속하는데 이는 중국과 한국 연안해역에서 reservoir $^{14}C$ age가 지구규모의 해양 평균 reservoir $^{14}C$ age보다 적은 값을 갖고 있음을 말한다. 이들 지역의 낮은 ${\Delta}R$ 값은 아마도 담수유입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Delta}R$값은 한국 주변해역에서 측정된 탄소동위원소 연대 값을 실제 역년 값에 가깝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남해 연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문성용;오현주;서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411-426
    • /
    • 2010
  •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와 주요 분류군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5월부터 2006월 2월까지 사계절 동안 실시하였다. 사계절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전체 7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평균 출현 개체수는 2,426~23,793 indiv./$m^3$ 범위였으며, 이 중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 A. omorii, A. erythraea, P. parvus s. l, 십각류 유생, Aidanosagitta crassa, 따개비 유생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의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지수는 내만 해역에서 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철에 외만에 위치하는 조사해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해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 변동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과 엽록소-a 농도, N. scintillans의 대량 증식에 따라서 변동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에 따른 대마난류의 세력확장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강원 연안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물의 종조성 및 분포특성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rammel Net Catches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won Province, Korea)

  • 손명호;윤병선;박정호;최영민;양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45-95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optimal fisheries management through the accurate understanding the catches, fishing level,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fisheries status of trammel net in Gangwon Province. As the results of trammel net survey, Pisces were collected 77 species, 1,983.0 kg, Crustacea 9 species, 569.0 kg, Cephalopoda 5 species, 75.3 kg, Gastropoda 12 species, 16.5 kg in the coastal waters of Sokcho and Pisces 55 species, 3,681.5 kg, Crustacea 6 species, 2,229.8 kg, Gastropoda 10 species, 72.8 kg, Cephalopoda 4 species, 10.1 kg in the coastal waters of Donghae, respectively. The catches of important species with season and depths showed that the main target species is Pleuronectidae spp. at all depth and Aptocyclus ventricosus at <100 m in Sokcho, Liparis spp. and Dasycottus setiger at 200-500 m in Donghae, respectively. The mean total length (cm) of Gadus macrocephalus and Aptocyclus ventricosus didn't appear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mean total length of Pleuronectidae spp., Liparis spp. and D. setiger in Donghae is bigger than in Sokcho. From the cluster and MDS analysi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matrix of fourth root transformed, catches data of dominant species in the coastal waters of Sokcho and Donghae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of the demersal organisms community in 12 survey of Donghae (Group A) and Jul., Oct.-Dec. survey of Sokcho (Group B) and Jan.-Jun. and Aug.-Sep. survey of Sokcho (Group C).

서해연안 해역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West coastal waters of Korea)

  • 윤병일;이승종;손명호;한송헌;이형빈;김맹진;한경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3호
    • /
    • pp.243-251
    • /
    • 2019
  • The ichthyoplanktons were sampled by Bongo net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the eggs and larvae in the West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February, May, August and October of 2017). Collected fish eggs were divided into Engraulis japonicus and unidentified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Engraulis japonicus accounted for 79.52% of the total fish egg, which was followed by unidentified species (20.48%). The total of 36 taxa in fish larvae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Fish larvae were dominant by Gobiidae species. 48.30% of the total catch in abundance, which was followed by Engraulis japonicus (31.86%). These two taxa composed 80.16% of the total collected fish larvae. The seasonal diversity index of species from the collected fish larvae in the West coastal waters in 2017 was 0.625-1.883 and the evenness index was 0.380-0.865. In addition, dominance index was 0.618-0.920 and richness was 0.573-3.189.

Modification of Sea Water Temperature by Wind Driven Current in the Mountainous Coastal Sea

  • Choi, Hyo;Kim, Jin-Yun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ean Environment
    • /
    • pp.177-184
    • /
    • 2003
  • Numerical simulation on marine wind and sea surface elevation was carried out using both three-dimensional hydrostatic and non-hydrostatic models and a simple oceanic model from 0900 LST, August 13 to 0900 LST, August 15, 1995. As daytime easterly meso-scale sea-breeze from the eastern sea penetrates Kangnung city in the center part as basin and goes up along the slope of Mt. Taegullyang in the west, it confronts synoptic-scale westerly wind blowing over the top of the mountain at the mid of the eastern slope and then the resultant wind produces an upper level westerly return flow toward the East Sea. In a narrow band of weak surface wind within 10km of the coastal sea, wind stress is generally small, less than l${\times}$10E-2 Pa and it reaches 2 ${\times}$ 10E-2 Pa to the 35 km. Positive wind stress curl of 15 $\times$ 10E-5Pa $m^{-1}$ still exists in the same band and corresponds to the ascent of 70 em from the sea level. This is due to the generation of northerly wind driven current with a speed of 11 m $S^{-1}$ along the coast under the influence of south-easterly wind and makes an intrusion of warm waters from the southern sea into the northern coast, such as the East Korea Warm Current. On the other hand, even if nighttime downslope windstorm of 14m/s associated with both mountain wind and land-breeze produces the development of internal gravity waves with a hydraulic jump motion of air near the coastal inland surface, the surface wind in the coastal sea is relatively moderate south-westerly wind, resulting in moderate wind stress. Negative wind stress curl in the coast causes the subsidence of the sea surface of 15 em along the coast and south-westerly coastal surface wind drives alongshore south-easterly wind driven current, opposite to the daytime one. Then, it causes the intrusion of cold waters like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in the northern coastal sea into the narrow band of the southern coastal sea. However, the band of positive wind stress curl at the distance of 30km away from the coast toward further offshore area can also cause the uprising of sea waters and the intrusion of warm waters from the southern sea toward the northern sea (northerly wind driven current), resulting in a counter-clockwise wind driven current. Thes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currents much induce the formation of low clouds containing fog and drizzle in the coastal region.

  • PDF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ir Relation to the Character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8-214
    • /
    • 1990
  • 한국 남해에 있어서 식물플랑크촌의 현존양은 4월이 가장 많으며 그 지리적 분포상태는 주로 연주도와 대마도간의 수온전선형성해역에 가장 풍부하고 그 전선에서 연안측이 외양측보다 더욱 풍부한 경향이므로 전선형석 위치에 따라 그 농도가 달라지게 된다. 현존양이 2월과 4월에는 최고양으로 출현한 205선의 01점에 8월에는 반대로 최소양으로 출현한 이유는 이 해역의 환경요인이 다른 연도의 것보다 뛰어나게 고온, 고염, 빈산소 및 빈영양상태이므로 이들의 특성을 지닌 Tsushima 난류수괴가 연안까지 침투한 까닭인 것으로 사료된다. 출현종류는 33속 72종 중 규조류가 27속 61종이고 경모조류가 6속 11종이며 시기별 출현종류수는 출현량이 4월에 가장 많은데 비해 8월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의 조성은 2월은 Eucampia zodiacus, 4월은 Skeletonema costatum과 Chaetoceros curvisetus 및 8월은Chaetoceros affinis 등으로서 시기별로 대차가 있었다. Eucampia zodiacus는 2월과 4월에 있어서 남해연안수역과 제주도 서방의 혼합수역을 지표하는 지표종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 PDF

위성 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주변해역의 중국대륙연안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China Coastal Waters nearby Jeju Island Using Satellite Data)

  • 조한근;윤흥주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4
    • /
    • 2006
  • 중국 대륙연안수(CCW;China Coastal Waters)는 해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보통 하계인 6월$\sim$10월 사이에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5월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10월로 접어들면서 그 세력이 점차 소멸해간다. 해수면편차와 해수면온도의 경험직교함수 분석 결과 해수면편차는 $1{\sim}3$모드가 총 분산의 95.05%를 차지하였고, 해수면온도는 1모드가 총 분산의 98.70%를 차지하였다. 해수면편차 경험직교함수분석의 첫 번째 결과에 대한 파워스펙트럼분석에서는 중국대륙연안수에 의한 영향으로 동쪽해역보다 서쪽해역이 43일 주기의 세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해수면온도에 대해서는 양자강 하구를 비롯한 제주도 동쪽 서쪽해역의 주기가 모두 260일 주기가 나타남으로서 중국대륙연안수는 43일, 120일 등의 짧은 주기 보다는 비교적 장주기라 할 수 있는 260일 주기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