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room teaching

검색결과 975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a GAISE-based teaching method on students' learning in introductory statistics

  • Erhardt, Erik Barry;Lim, Woo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7권3호
    • /
    • pp.269-284
    • /
    • 2020
  • This study compares two teaching methods in an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 at a large state university. The first method is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approach. The second method implements a flipped classroom that incorporates the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s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College Report. We compare these two methods, based on student performance, illustrate the procedures of the flipped pedagogy, and discuss the impact of aligning our course to current guidelines for teaching statistics at the college level. Results show that students in the flipped class performed better than students in traditional delivery. Student questionnaire responses also indicate that students in flipped delivery aligned with the GAISE recommendations have built a productive mindset in statistics.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현장적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방향 (Difficulties and Issues in Apply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4호
    • /
    • pp.657-675
    • /
    • 2002
  • This paper is to make strides toward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and issues raised by apply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 general overview of the curriculum is presented in line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Four classroom episodes are presented in brief in order to diagnose the problems in situating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These episodes deal with lessons emphasizing activity rather than its associated concepts or principles, overusing multimedia data, pursuing play rather than its associated thinking, and distributing various individual worksheets in the nam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methods. In addition to the episodes, interview data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are presented as needed. This paper discusses two aspects of activating the curriculum into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One deals with the issue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mselves, and the other covers those of research trends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teaching practices. This paper finally emphasizes a collaborative working relation among classroom teachers, mathematics educators, and policy makers with their own places and roles.

  • PDF

Network-base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 The Internet and Classroom -

  • 홍성룡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75-182
    • /
    • 2006
  • The Internet is now of the fastest growing areas of telecommunications and of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It is rapidly becoming more integrated into society and accessible to people form around the world. A number of educators believe there is potential for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the Internet, and have already developed uses and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e range of what is available is growing contin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MC via the Internet and other long-distance networks, to investigate the analyse best and worst things about studying English on the internet and to suggest some finding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internet and classroom learning by means of questionnaire.

  • PDF

수학의 교수-학습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학교사의 믿음 (To Make Sens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1호
    • /
    • pp.19-29
    • /
    • 2000
  • This paper is trying to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How does it likely to happen that the same content of mathematics is quite differently taught by classroom teachers\ulcorner" and "What would cause these differenc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ulcorner" According to scholars,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should be first considered when the educational phenomena taking place in classroom are analyzed and interpreted. In this paper, through discussing the directions of reform movem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beliefs, and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on teachers' beliefs, suggestions for the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re presented.liefs are presented.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실행과 반성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Questions and Practice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Reflection)

  • 김상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251-27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what questions posed, and for arranging the matters, what decisions made, what practices put into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his or her enacting and reflecting mathematics teaching. Analysis of the study focused on the mathematics instructions practiced by four participants in practicum for senior students. Their own questions raised by each one in the instructional designs, performances, and reflections were picked out and categorized by five dimens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the nature of classroom tasks, the role of the teacher, the social culture of the classroom, mathematical tools as learning supports, and equity and accessibility. Their instructional decision-makings and action-takings for answering to these questions were analised.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바라보는 한국의 수학교실수업: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What Do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See from Korean Mathematics Classroom?: International Classroom Lexicon Project)

  • 조형미;김희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07-126
    • /
    • 2021
  • 본 연구는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미 조사된 한국의 교수학적 어휘를 바탕으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어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는 호주를 중심으로 독일, 미국, 일본, 중국, 체코, 칠레, 프랑스, 핀란드, 한국의 총 10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이다.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수학교실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용어를 확인하고 정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수학 교실 수업과 관련한 연구를 확장하거나 10개국 내에서의 국제 비교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교수학적 용어로 정리된 103개의 용어에 대하여 현직교사 136명의 응답과 예비교사 127명의 응답을 비교하여 해당 용어에 대한 친숙도와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 현직교사들과 예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 범주에 있는 용어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현직교사의 응답과 비교하였을 때, 국가 주도로 제안된 용어의 친숙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분석 결과,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교수학적 노력이 학습자의 관점에서는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어휘와 그에 대한 차이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실 관행에 대해 성찰하고 그와 관련하여 논의 및 제언하였다.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aching Math Underachievers Using Flipped Classroom)

  • 김환철;강순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21-536
    • /
    • 2017
  • 교사가 수업에서 느끼는 큰 어려운 점 중의 하나는 배우고자 하는 의욕과 동기를 상실한 학습부진아를 수업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수학학습부진아는 평균 혹은 평균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교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느낀 학생들이다. 이 학생들에 대한 수학학습지도 전략은 수학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수학에서의 학업 성취도의 향상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학학습 부진아들의 기초수학 학습지도 전략방안으로 거꾸로 교실 수업을 선택하고 이를 수학학습부진아 수업에 적용한 후 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서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수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거꾸로 교실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기초수학 학습 지도 후 수학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기초수학 학습 지도 후 수학에 대한 자신감, 융통성, 의지력, 호기심, 반성, 수학적 가치의식 등 수학적 성향에서도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특히, 수학의 가치에 대한 생각과 수학문제 풀이에 대한 의지 부분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다.

  • PDF

교수학습활동에서 교사들의 앱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 Use of Applications i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 장세지;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습활동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마트폰 앱의 활용에 관해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교수학습활동에서의 앱의 활용실태, 교사들의 교수학습활동에서의 앱에 대한 이해와 교실에서의 각 교과에서의 앱의 활용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에서 스마트 교육에 관심 있는 100명의 초등학교 교사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교사들은 모두 스마트 연구학교에 근무한 적이 있거나 컴퓨터관련 석사학위를 취득한 교사들로 구성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래의 교사들이 앱을 활용한 수업을 설계함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모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Examin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during Peer Teaching Practice)

  • 윤혜경;정용재;김미정;박영신;김병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34-346
    • /
    • 2012
  • For teachers' conceptions and understandings are critical to their decision making and classroom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and practices of science inquiry during peer teaching practice. Fifteen 4th year university student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peer teaching practice. Their teaching and reflective discussion were video and audio recorded and written lesson plan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Five science teacher educators individually looked into the data and shared their comments and interpretations on pre-service teachers' views and practice.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udents with motivating resources in the beginning of lesson, employing certain inquiry teaching models,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dis/proving via experiment, and teachers' minimal intervention as the important features of inquiry teaching. Science teacher educators emphasized that it is critical to help children understand inquiry questions in the beginning of inquiry process, to be mindful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following instruction models or simply going through prediction and test process. They also commented that teachers' guidance could lead a good inquiry process in classroom practice, not always interfering students' inquiry.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science teacher educators need to understand what and how pre-service teachers view and practice science inquiry teaching and consider these as useful resources where they can start effective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at the university level.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ant daycare center teacher practicing infant's rights respect in care giving daycare center's daily work)

  • 윤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07-41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 속에서 영아권리존중보육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J도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하루일과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의 실행 수준을 보육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전공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등원시간과 화장실 다녀오는 시간에는 4년제졸업이상 학력교사보다 전문대졸 학력교사가, 등원시간과 낮잠 재우는 시간에는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영아의 권리를 보다 존중하는 보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연령과 전공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아도, 교사의 연령에 따라서는 의사 존중, 개별성 존중, 정보 제공에서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교사의 전공에 따라서는 자율성 존중, 개별성 존중에서 유아교육 계열 전공교사보다 보육복지 계열 교사가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라 영아의 권리존중보육을 보다 우수하게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관련변인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 따라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을 많이 할수록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도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적 질적으로 우수하고 균형 있는 영아의 권리존중 내실화를 다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