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room environment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8초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성취 실태 -국내 중등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ituations of Enha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case of secondary school in Korea)

  • 최승현;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35-253
    • /
    • 2014
  • 우리나라의 경우,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 요인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의 성취 실태 및 사례를 파악하여 이의 실천적 함양 방안을 모색해 봄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수학 교과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실태를 진단하여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및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함양을 위한 실태와 대안은 교육과정, 교수 학습 및 평가 부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정의적 특성 함양을 위한 지원 방안은 학교 환경을 중심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 연구 -경남 산청과 충남 서산의 지역학습을 사례로- (Localization of Text-development on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 손일;전종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66-478
    • /
    • 2004
  • 사회과 지역학습은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부응하고 사회과의 축소판이자 영역 통합의 실험장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사회과 지역학습은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나, 현재 보급된 지역교과서는 전국적으로 획일적인 목차구성을 보이는 소극적 의미의 지역화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의 지역학습이 초등사회과의 지역학습과 연계된다는 측면에서, 특히 교사-학생이 주도하는 보다 적극적 의미의 지역화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지역적 적합화를 위한 이론적 과정을 검토한 후, 서로 다른 지역적 성격을 가진 두 지역을 사례로 하여 지역적 적합화 과정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각 지역의 경관과 지역관련 담론, 생태 환경 특성이 스트랜드의 지역별 비중 조절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것을 바탕으로 주제 추출의 지역적 적합화 및 내용조직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주제 및 내용조직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 PDF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한 석면 및 비석면의 분류 및 확인 (Classifying and Identifying Asbestos and Non-Asbestos Fibers by a Rule Building Expert System)

  • 최영아;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6-356
    • /
    • 2008
  • Asbestos is the name of a group of minerals with long and thin fibers that originate naturally in the environment. Asbestos mainly affects lungs and the membrane that surrounds the lungs. In general, PCM (phase contrast microscopy) and PLM (polarized light microscopy) have been used to analyze asbestos fibers. However, these methods have often problems to over-estimate number concentration when counting real asbestos fibers. Moreo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when separating and identifying various asbestos and non-asbestos fibers. In order to determin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fibrous particles, source profiles for asbestos and non-asbestos fibers must be initially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cal parameters. In our study, a SEM/EDX was used to develop source profiles from known asbestos samples as reference samples. We could make the source profile matrix consisting of 6 types of asbestos fibers and 2 types of non-asbestos fibers by analyzing 380 fibers. Based on these profiles, a rule building expert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the visual basic application (VBA). Various fibers were successfully classified by 2 simple rules in the EXCEL environment based on several visual steps such as inserting data, viewing results, and saving results. For a case study to test the expert system, samples from a construction materials and from various indoor environments such as a residental area, a preschool classroom, and an underground stor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 total of 76 individual test fiber particles was well classified into 5 different types of particle classes; 9.3% of chrysotile, 15.4% of amosite, 0.8 of crocidolite, 4.2% of tremolite, 5.8% glass fiber, 21.1% of other fibers, and 43.5% of unknown fibers in terms of number concentration. Even though unknown portion was high, it will be decreased markedly when expanding fiber source profiles.

한국과 일본의 수도권 소재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기술-사회적 접근의 적용 실태 (The Status of Science-Technology-Society Approach at the Junior High School Science Class in the Capital Area of Korea and Japan)

  • 박종윤;김숙현;나미오나가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9-610
    • /
    • 2000
  •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STS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나라 수도권 지역 교사들의 의견을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한국 교사 69명과 일본 교사 33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두 나라 과학 교사들은 대부분 STS 교육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며, STS 교육의 현장 실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행할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STS 주제와 이에 적합한 수업 활동 및 평가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있는 교사는 절반 정도였으며, 일본이 한국보다 더 많았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STS 교육 관련 내용은 두 나라 모두 많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다른 교육 자료의 활용 빈도도 낮았다. 그러므로 STS 교육의 현장 정착을 위해서는 교과서 내용에 STS 교육에 적합한 주제를 더 많이 도입하거나 다양한 STS 교육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고, STS 교육에 적합한 교육 활동과 평가 방법의 개발도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교육 현장의 여러 가지 제도적 문제점들의 해결과 함께 교사 연구모임의 활성화를 통한 현장 정보 교환과 교육 자료의 공유 등이 요청되었다.

  • PDF

숲을 활용한 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Forests on Maladjusted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 박경이;심우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7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능력과 지적수준이 떨어지는 정신지체학생의 교과에 '숲을 활용한 교육'을 적용하였을 때 부적응 행동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고, 부적응 행동의 하위영역인 위축행동, 공격성, 불안/우울, 주의집중, 정서불안정 등 각각의 부적응 행동의 개선에도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문제행동개선이 내면화되어 지속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밝히는 것이 목표이다. 이 연구는 숲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를 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2009년 3월 1일~10월 30일이다. 연구 도구로는 부적응행동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숲 활용 프로그램'과 '숲 활용 방법을 적용한 교과별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평가도구는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 Child Behavior Check List: K-CBCL), 코너스 단축형 평정척도(Conners' Abbreviated Symptom Questionnaire: CASQ), 자기 통제력 평정척도이며, 특수학교의 중학교과정 총7학급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숲 활용 방법을 학교교육과정에 주당 21시간 이상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숲 활용 방법을 적용하지 않고 일반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분산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위축'의 경우 공 변량의 p값이 p=0.032이고 '불안/우울', '주의집중', '정서 불안정'의 공 변량의 p값은 p=0.000, '공격성'및 '총 문제행동'의 p값은 p=0.001이었다. 이는 숲 활용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의 부적응행동보다 개선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종결 후 자기 통제력 평정척도와 코너스 단축형 평정척도의 공변량이 모두 p=0.000이고,자기 통제력(r=0.665, p=0.000)과 코너스 단축형 평정척도(r=0.724, p=0.000)의 사전-사후 상관관계도 유의적이었으므로 문제행동개선이 내면화 되어 지속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교과교육과정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숲을 활용한 교육방법을 특수학교의 독특한 교수 학습 방법 중 하나로써 제안함과 동시에, 특수학교의 바람직한 교육 환경은 식물을 비롯한 자연소재를 얻을 수 있는 숲과 같은 자연환경으로 이뤄져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템플릿 기반의 상호대화형 전공강의시간표 작성지원시스템 (A Template-based Interactive University Timetabling Support System)

  • 장용식;정예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121-145
    • /
    • 2010
  • 매 학기마다 반복되는 대학의 강의시간표 작성 방법은 대학 상황에 따라 다르며,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복잡도와 문제의 크기가 증가되는 NP-hard 문제로 알려져 있다. 그 동안, 효과적인 강의자원 배분을 위한 강의시간표 자동생성의 필요성으로 대학 강의시간표 작성에 관한 여러 방법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교양과목 강의시간표는 대학행정부서에서, 전공과목은 학과에서 작성하는데 각 학과 단위의 전공강의시간표작성지원시스템은 학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수업의 효과와 전공강의자원의 효과적인 배분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신대학교의 새로운 강의시간표 작성체계에 따라, 사례 기반의 템플릿을 생성하고, 이로부터 규칙 기반의 상호대화형으로 효과적인 강의자원 배분이 가능한 전공강의시간표를 작성하는 두 단계 지원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사례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토타입으로 그 효과를 검정하였다. 과거 사례와의 유사도는 학과 평균 41.72%로 템플릿의 유용성을 볼 수 있으며, 민감도 분석 결과에서 동일 시간 개설과목 허용 임계치를 90% 이상 설정한다면 강의시간표가 더 고른 분포를 갖게 됨을 검정하였다.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실험연구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American and Korean Experimental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in a Multi-Tiered System of Supports)

  • 장은진;이미영;정재우;조광순;이동형;송원영;한미령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5권3호
    • /
    • pp.399-431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일반학교에서 실행한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에 관한 실험연구 논문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형 학교차원 PBS 모형 및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한국에서의 PBS 실행에 관한 연구 방향의 제시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학술 검색엔진을 통해 2005년부터 2018년까지의 PBS 실행 논문 중, 보편적 1차 지원, 또는 1차 지원을 실행하면서 2차 혹은 3차 지원을 실행한 한국의 연구 논문 11편과 미국의 연구 논문 24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연구특성(대상, 설계, 기간, 종속 변인 등)과 PBS의 주요특성 및 결과(대상자 선별과정, 중재 과정과 내용, 사회적 타당도 등)를 지원 차원 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의 모든 연구에서 PBS는 지원 차원을 막론하고 학생 행동과 기타 영역에서 긍정적 성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었다. 1차 지원의 경우 한국은 학교 또는 학급의 교육환경 수정과 사회적 기술교수에 초점을 둔 반면, 미국은 이 외에도 표준화된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교사훈련과 체계적인 교사지원에 초점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지원의 경우 미국은 한국에 비해 학교차원의 PBS 내에서 1차 지원과 함께 실행하고 있는 학교가 많았고, 주로 Check/In Check/Out(CICO)를 중재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대상 선별방법에서 보다 체계적인 선별도구나 절차를 사용하였고,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정에서도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이를 보였다. 3차 지원의 경우, 미국은 종합적 행동기능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중재계획을 수립한 점과 선별방식이 체계화되었다는 점이 한국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학교차원 PBS 실행을 위한 각 차원별 PBS 실행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 및 맥락적 적합성(contextual fit)에 대한 타당화된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 등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