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al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향신료 정유의 휘발성 성분 및 식중독 세균에 의해 형성된 biofilm 억제 효과 (Volatile Components of Essential Oils from Spices and It's Inhibitory Effects against Biofilm Formed by Food Poisoning Bacteria)

  • 김형은;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5-295
    • /
    • 2022
  • 식중독 세균에 의한 biofilm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cinnamon, clove 및 lemongrass 정유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유의 주요 항균활성 성분이 polyethylene과 stainless steel 표면에서 식중독 세균에 의한 biofilm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Cinnamon 정유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cinnamaldehyde (38.30%), linalool (9.61%), β-caryophyllene (8.90%) 및 1,3,4-eugenol (8.19%)로 동정되었다. Clove 정유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1,3,4-eugenol (61.84%)로 분석되었다. Lemongrass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citral의 이성질체인 geranial (19.11%)과 neral (19.23%)로 검출되었으며, citral은 isomeric acyclic monoterpene aldehydes로서 geranial (trans-citral, 19.11%)과 neral (cis-citral, 19.23%)의 혼합물로 분석되었다. Cinnamon, clove 및 lemongrass의 주요 성분 중 cinnamaldehyde, linalool, eugenol 및 citral이 disc diffusion assay에 의해 시험한 6종의 식중독 세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Eugenol (0.1%)과 citral은 polyethylene 및 stainless steel coupon 표면에서 식중독 세균에 의해 형성된 biofilm에 대하여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났다. Cinnamaldehyde (0.1%)는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2와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812에 의해 형성된 biofilm에 대해 장한 억제 작용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 cinnamaldehyde, eugenol 및 citral 처리에 의해 식중독 세균에 의한 biofilm 형성을 억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nti-Salmonella Activity of Lemongrass Oil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ntibiotics

  • Shin, Se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160-164
    • /
    • 2005
  • The effects of Cymbopogon citratus essential oil (Lemongrass oil) and its main component, citral (84.30%), on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almonella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were assessed. C. citratus oil and citral significantly inhibited all strains of the two Salmonella species examined, with minimum inhibiting concentrations (MICs) ranging from 0.5 mg/ml to 8.0 mg/ml. The combined effects of C. citratus oil and citral (84.30%) were evaluated using a checkerboard microtiter assay. Essential oil fractions of C. citratus and citral exhibited strong synergistic or additive effects with streptomycin or kanamycin against S. typhimurium strains with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FIC) indices in the range of 0.28 to 1.00. In conclusion, a combination of streptomycin and lemongrass oil or its main component, citral, may be useful for reducing the minimum effective dose of antibiotic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resistant S. typhimurium infections.

살모넬라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시트랄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Citral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 김정지;인예원;오세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91-794
    • /
    • 2011
  • 본 연구는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인 S. aureus와 S. Typhimurium를 대상으로 시트랄의 농도와 pH에 따른 항균활성 특성 및 식품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농도별 항균활성은 TSB에 시트랄을 0-1,000 ppm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pH는 buffer를 이용하여 pH 4.0에서 pH 7.0로 조정하여 측정하였다. 시트랄 농도 별 항균활성 실험에서는 두 균주 모두 시트랄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균활성이 증가하였다. S. Typhimurium는 250 ppm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S. aureus는 약 3 log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pH에 따른 항균활성은 10분이 경과 후 S. aureus는 약 1-2 log의 감소효과를, S. Typhimurium는 약 2-5 log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TSB와는 다르게 buffer 조건에서 그람 양성 균주인 S. aureus는 S. Typhimurium와 비교하여 pH 조건에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녹즙에 적용한 시트랄은 그람 음성균인 S.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은 미미하였으나 양성균인 S. aureus 에 대하여 농도가 증가할수록 효과적으로 항균활성이 증가하였다.

Ethacrynic Acid and Citral Suppressed the All Trans Retinoid-Induce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Produc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Kim, Kwang-Mi;Noh, Min-Soo;Kim, Soo-Hyun;Park, Mi-Kyung;Lee, Hye-Ja;Kim, Soo-Youl;Lee, Chang-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1호
    • /
    • pp.71-76
    • /
    • 2010
  • Skin irritation caused by retinol and retinoic acid results in mild erythema called as retinoid dermatitis. To develop compounds modulating the retinoid dermatitis, we tried to establish the screening method for retinoid dermatitis. At first we examined the inflammatory cytokine profile in neonatal human dermal fibroblasts which are known to be one of main site of retinoid action. As a result, interleukin-8 (IL-8) and monocytes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were significantly produced by all trans retinoic acid (ATRA) and all trans retinol (ATROL) in dermal fibroblasts. Especially the production of MCP-1 was more than that of IL-8. The production of MCP-1 by retinoid was dose-dependently increased, continuing up to 24 hrs. After then using ethacrynic acid (ECA) known to reduce mouse ear edema induced by ATRA, we checked whether ECA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MCP-1. As a result, ECA effectively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MCP-1 in the ATRA- or ATROL-treated-fibroblas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creening method effectively reflects the in viv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CA. It was reported that citral inhibited the enzyme involved in the conversion of ATROL to ATRA. We showed that citral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MCP-1 in ATROL-treated fibroblasts. We expect these finding might be helpful to find useful compounds modulating the side effects of retinoid or retinoid dermatitis.

저분자량 polyethylen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한 microencapsulation에 의한 곤충 페로몬의 model 화합물들의 slow release (Slow release of microencapsulated model compounds of insect pheromone using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nd urea-formaldehyde resin)

  • 김정한;오원택;김용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10-116
    • /
    • 1991
  • Wall 물질로 저분자량 polyethylene(LMP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인 저분자 페로몬과 유사한 특성과 구조를 갖는 모델 화합물로서 citral, n-octanol, 그리고 쌀바구미, 옥수수바구미의 집합 페로몬 활성을 갖는 $({\pm})-5-hydroxy-4-methyl-heptan-3-one$을 microencapsulation하였다. Microencapsulation된 형태는 작은 입자형태의 분말상이었으며, LMPE를 wall물질로 사용한 것 보다는 urea-formaldehyde수지를 사용한 경우가 더 우수한 형태의 polymer를 얻었다. 또한 core 물질의 slow release 효과를 용매 추출법과 headspace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n-octanol과 citral은 40일 이상 그리고 5-hydroxy-4-methyl-heptan-3-one은 15일 이상 지속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slow release되는 방식은 LMPE보다 urea-formal-dehyde 수지가 상대적으로 초기 감소 경향이 완만하며 core 물질을 일정양씩 더 지속적으로 휘발시켰다.

  • PDF

Evaluation of Herbicidal Potential of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under In vitro and Greenhouse Experiments

  • Choi, Hae-Jin;Sowndhararajan, Kandhasamy;Cho, Nam-Gyu;Hwang, Ki-Hwan;Koo, Suk-Jin;Kim, Songmu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321-329
    • /
    • 2015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ytotoxic potential of essential oils. For this purpose, 18 essential oil samples extracted from Korean plants and 64 commercial essential oils were screened for their phytotoxic potential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rassica napus L. (rapeseed). Among the 82 samples, 11 commercial oils (cinnamon, citronella, clove, cumin seed, geranium, jasmine, lemongrass, palmarosa, pimento, rose otto and spearmint) strongly inhibited the seedling growth with $GR_{50}$ value < $150{\mu}g\;mL^{-1}$. Major components from these effective essential oils were identified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GC-MS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samples mainly consist of benzyl benzoate, carvone, citral, citronellol, eugenol, geraniol, D-limonene and terpinene. Subsequently, bioactivity of these individual components was evaluated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 napus, Echinochloa crus-galli and Aeschynomene indica. The components from different chemical groups exhibited different potency in inhibiting the seedling growth with varied $GR_{50}$ values ranged from $29{\mu}g\;mL^{-1}$ to > $1000{\mu}g\;mL^{-1}$. In the greenhouse experiment, citral and geraniol completely suppressed the growth of all the tested 10 plants at $100kg\;ha^{-1}$. In conclusion, the individual essential oil components geraniol and citral could be used as natural herbicides for weed management.

팔마로사 정유의 살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almarosa (Cymbopogon martini))

  • 홍수영;최정섭;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6-102
    • /
    • 2011
  • 식물 정유로부터 신규 제초제 개발을 위한 살초활성물질을 탐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10종의 식물정유는[basil(Ocimum basilicum), blackpepper(Piper nigrum), clary sage(Salvia sclarea), ginger(Zingiber pfficinale), hyssop(Hyssopus officinalis), nutmag (Myristica fragrance), palmarosa(Cymbopogon martini), fennel(Foeniculum vulgare), sage(Salvia leucantha), spearmint(Mentha spicta)] 등이었으며, 이중 palmarosa 정유가 유채에 대한 살초력이 가장 높았다($GR_{50}$값, $201{\mu}g\;mL^{-1}$). Palmarosa 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로는 alpha-humulene, betacaryophyllen, cis-ocimene, citral, dipentene, geraniol, geranyl acetate, myrcene, nerol, terpinolene, transocimene이었다. Palmarosa 정유에는 geraniol(40.23%), geraniol acetate(15.57%), cis-ocimene(10.79%), beta-caryophyllene(8.72%)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geraniol과 citral의 $GR_{50}$값은 각각 151과 $224{\mu}g\;mL^{-1}$로 매우 낮았으며 이들 2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palmarosa 정유의 살초력에 크게 기여했다고 추론된다. 온실조건에서 palmarosa 정유 $80kg\;ha^{-1}$ 경엽처리는 수수, 돌피, 개밀, 바랭이, 자귀풀, 어저귀, 도꼬마리, 메꽃을 완전 방제하였다. 포장조건에서 민들레, 망초, 쇠비름은 $40kg\;ha^{-1}$ 경엽처리에도 모두 100% 방제가 이루어졌으나 질경이의 방제가는 50% 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palmarosa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geraniol과 citral이 살초활성에 크게 기여했다는 것을 시사하여 준다.

Angelica속 생약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IV) -강활의 정유성분-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V) -Essential Oils of Angelicae koreanae Radix-)

  • 지형준;김현수
    • 생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15
    • /
    • 1993
  • Essential oil of the root of Angelica koreana Max. (Umbelliferae) was investigated. Essential oil was obtained from the dried roots by steam distillation and fraction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Each isolate or fraction was identified by GC, GC-MS and spectral analysis. It was found to contain nine monoterpenes such as ${\alpha}-pinene$(7.0%), camphene, ${\beta}-pinene$, myrcene, ${\alpha}-phellandrene$, ${\Delta}-3-carene$, p-cymene, limonene(2.8%), terpinolene and also found to contain m-cresol(11.6%), citronellol, citral b, methylcinnamate, eudesmol and osthol. 2-Hydroxy-5-methylacetophenone and twelve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 PDF

수경재배시 배양액 내 이온농도에 따른 두 종의 백리향 생육 및 정유 성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 in Two Hydroponically Grown Species of Thymes at Different Nutrient Solution Strength)

  • 김예희;이문정;박권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9-84
    • /
    • 2000
  • Thymus속의 common thyme과 thyme의 담액수경 재배시 배양액의 이온농도를 달리하여 두 종의 생육과 품질을 비교하였다. 배양액의 이온농도는 1.2, 2.4, 4.8 그리고 $7.2mS.cm^{-1}$로 하였다. 두 종 모두 $0.5(EC=1.2\;mS.cm^{-1})$배와 1배의 낮은 이온농도 처리에서 생육이 좋았다. Common thyme과 lemon thyme의 생육은 배양액내 이온농도가 높아질수록 건물율은 증가했으나 초장, 근장과 생체중은 감소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lemon thyme에서 더 높았으나 비타민 C의 함량과 정유함량은 common thyme에서 더 높았다. 두 종간의 주요 정유 성분 차이를 보면, common thyme의 주성분은 thymo과 carvacrol이고, lemon thyme은 geranio과 ${\alpha}-citral$로 각각 정유 성분의 50~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각 주성분의 함량은 생육이 좋았던 0.5배에서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수경재배시 common thyme과 lemon thyme 모두 허브 배양액 0.5배액으로 재배시 우수한 품질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생강 저장 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nstituents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Rhizomes During Storage)

  • 김명곤;이병은;윤세억;김영회;김용규;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1-8
    • /
    • 1994
  • 우리나라 생강의 대표적인 산지인 전북 봉동 지역에서 음저장(평균온도 $15^{\circ}C$, RH 95%) 한 생생강의 저장 기간 및 저장 중 발생한 생강의 싹과 근경 중의 항기성분 SDE장치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분리하고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생생강 및 저장 생강에 함유되어 있는 essential oil의 조성은 zingiberene, $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 ${\beta}-phellandrene$, camphene, geranial, ${\gamma}-bisabol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alpha}-pinene$, ${\beta}-gurjunene$, limonene, neral 등이 주요 향기 성분 이었고, 생강 근경은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sesquiterpene hydrocarbons 및 oxygenated sesquiterpene과 같은 고분자 물질의 조성비는 감소하는 반면 monoterpene hydrocarbons 저분자 성분들의 조성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Zingiberene, $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과 같은 sesquiterpene류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 추세를 보였던 반면 camphene, ${\beta}-phellandrene$, citral(neral과 geranial) 등과 같은 monoterpene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후 약 6개월 후 발생한 생강 싹의 향기 성분 조성은 근경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생강 싹의 향기 성분들은 생강 근경에 비하여 terpene hydrocarbon류보다 oxygenated terpene류가 많았다. 성분 조성에서는 생강 향기의 발현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citral성분(neral과 geranial)를 근경에 비해 적었으나 bornyl acetate, ${\beta}-gurjun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등의 함량비가 높아 생강의 부위에 따른 항기 성분 조성 pattern 또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