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s-11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9초

Metabolit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letilla striata (Thunb.) Reichb. f. Endophyte Penicillium oxalicum

  • Ran Liu;Xuehua Han;Jing Gao;Min Luo;Dale Guo;Guangzhi Wang
    • Mycobiology
    • /
    • 제51권3호
    • /
    • pp.148-156
    • /
    • 2023
  • Penicillium oxalicum strain can be isolated from the Bletilla striata (Thunb.) Reichb. f. tubers. Its solid-state fermentation products are concentrated by percolation extractio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have been conducted to the ethyl acetate extracts by preparative HPLC. Based on the use of spectrometry, we have determined 17 known compounds, 12,13-dihydroxy-fumitremorgin C (1), pseurotin A (2), tyrosol (3), cyclo-(L-Pro-L-Val) (4), cis-4-hydroxy-8-O-methylmellein (5), uracil (6), cyclo-(L-Pro-L-Ala) (7), 1,2,3,4-tetrahydro-4-hydroxy-4-quinolin carboxylic acid (8), cyclo-(Gly-L-Pro) (9), 2'-deoxyuridine (10), 1-(b-D-ribofuranosyl)thymine (11), cyclo-(L-Val-Gly) (12), 2'-deoxythymidine (13), cyclo-(Gly-D-Phe) (14), cyclo-L-(4-hydroxyprolinyl)-D-leucine (15), cyclo-(L)-4-hydroxy-Pro-(L)-Phe (16), uridine (17). Here, we report compounds 1-3, 5, 7-8, 11-12, 14-17 are first found and isolated from this endophyte.

연소형 골수단구성 백혈병에서의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 유건희;유동길;이수현;성기웅;조은주;구홍회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78-185
    • /
    • 2005
  • 목 적 : JMML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종류의 백혈병으로서 통상적인 항암화학요법만으로는 완치가 어려워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여야 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본 질환의 조혈 모세포 이식 성적에 대한 보고가 없어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JMML 환자의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성적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 법 : 8개월에서 39개월 된 11명의 JMML 환자를 대상으로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였다. 조혈 모세포의 공급원으로 비혈연 골수 혹은 제대혈 7례, HLA 일치 형제 공여자 3례, HLA 1 항원 불일치 가족 공여자 1례 등을 이용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이식 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고 일부 환자에게는 13-cis-retinoic acid(CRA)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총 11례 중 3례만이 이식 전 치료로 혈액학적 및 임상적 완전관해에 도달하였다. 이식 후 1개월째 첫 키메리즘 평가 결과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 5례, 혼합 키메리즘 5례, 자가회복 1례였다. 혼합 키메리즘 상태에서 비장종대가 해소되지 않았던 1례에서 면역억제제의 급속 감량과 함께 CRA를 지속적으로 투여한 결과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으로의 전환과 함께 완전관해가 유도되었다. 자가회복 되었던 1례는 이식 후 조기 재발하였으나 복합 항암화학요법과 CRA의 투여로 이차 완전관해가 유도되었다. 결과적으로 11례 중 6례가 이식 후 정중 추적기간 15.5개월간 무사건 생존 중이다. 사망한 3례는 모두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에 실패하였던 경우들로서 질병의 재발 혹은 진행이 사망의 원인이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JMML의 근치에는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후 이식편대 백혈병 효과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CRA도 긍정적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식 후에도 완전관해에 도달하지 못하고 혼합 키메리즘 양상을 보이는 경우, 면역 억제제를 조기 감량하는 정책과 함께 CRA를 도입함으로써 완치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Cassava Hay and Rice Bran Oil Supplementation on Rumen Fermentation,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in Lactating Dairy Cows

  • Lunsin, R.;Wanapat, Metha;Rowlinson,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0호
    • /
    • pp.1364-1373
    • /
    • 2012
  • Four crossbred (75% Holstein Friesian) lactating dairy cows, with an average live weight of $418{\pm}5$ kg and $36{\pm}10$ d in milk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ssava hay (CH) and rice bran oil (RBO)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Factor A was non-supplementation or supplementation with CH in the concentrate. Factor B was supplementation with RBO at 0% or 4% in the concentrate mixture. The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T1) control (Concentrate with non-CH plus 0% RBO; C), (T2) Concentrate with CH plus 0% RBO (CH), (T3) Concentrate with non-CH plus 4% RBO (RBO), and (T4) Concentrate with CH plus 4% RBO (CHRBO). The cows were offered concentrate, at a ratio of concentrate to milk production of 1:2, and urea-lime treated rice straw was fed ad libitum. Urea-lime treated rice straw involved 2.5 g urea and 2.5 g $Ca(OH)_2$ (purchased as hydrated lime) in 100 ml water, the relevant volume of solution was sprayed onto a 100 g air-dry (91% DM) straw, and then covering the stack with a plastic sheet for a minimum of 10 d before feeding directly to animals. The CH based concentrate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roughage intake and total DM intak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BW (p<0.05). Ruminal pH, $NH_3$-N, BUN and total VFA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while RBO supplementation increased propionate, but decreased acetate concentration (p<0.05). Furthermore, the population of total ruminal bacteria was significantly lower on the RBO diet (p<0.05). In contrast, the total ruminal bacteria and cellulolytic bacteria on the CH diet were higher than on the other treatments. Supplementation with CH increased (p<0.05) F. succinogens and R. flavefaciens populations, whereas the populations of B. fibrisolvens and M. elsdenii were increased on the RBO diet. In addition, supplementation with CH and RBO had no effect on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in dairy cows, while fatty acid composition of milk was influenced by RBO supplementation, and resulted in significantly lower (p<0.05) concentrations of both short-chain and medium-chain FA, and increased (p<0.05) the proportion of long-chain FA in milk fat, as well as significantly increased cis-9, trans-11 CLA and total CLA. In conclusion, RBO or CH exhibited specific effects on DMI, rumen fermentation, microbial populati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in lactating dairy cows, which were not interactions between CH and RBO in the diets. Feeding lactating dairy cows with RBO could improve fatty acid in milk fat by increasing cis-9, trans-11 CLA.

The In vitro Effects of Nano-encapsulated Conjugated Linoleic Acid on Stability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Fermentation Profiles in the Rumen

  • Heo, Wan;Kim, Eun Tae;Cho, Sung Do;Kim, Jun Ho;Kwon, Seong Min;Jeong, Ha Yeon;Ki, Kwang Seok;Yoon, Ho Baek;Ahn, Young Dae;Lee, Sung Sill;Kim, Young J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365-371
    • /
    • 2016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conjugated linoleic acids (CLAs) by nano-encapsulation against in vitro ruminal biohydrogenation by microbial enzymatic conversion. CLAs (free fatty acid form of CLA [CLA-FFA], nano-encapsulated CLA-FFA, triglyceride form of CLA [CLA-TG], and nano-encapsulated CLA-TG) were used in the in vitro fermentation experiments. When Butyrivibrio fibrisolvens (B. fibrisolvens) was incubated with CLA-FFAs, the concentrations of cis-9, trans-11 CLA and vaccenic acid (VA) slightly was decreased and increased by nano-encapsulation, respectively. When B. fibrisolvens was incubated with CLA-TG, the concentrations of cis-9, trans-11 CLA and VA decreased, but these were increased when B. fibrisolvens was incubated with nano-encapsulated CLA-TG. The nano-encapsulation was more effective against the in vitro biohydrogenation activity of B.fibrisolvens incubated with CLA-FFA than with CLA-TG. In the in vitro ruminal incubation test, the total gas production and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incubated with nano-encapsulated CLA-FFA and CLA-TG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24 h incubation (p<0.05). Nano-encapsulated CLA-FFA might, thus, improve the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ithout adverse effects on the incubation process. In addition, nano-encapsulated CLA-FFA increased the population of Fibrobacter succinogenes and decreased the population of B. fibrisolvens popu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ano-encapsulation could be applied to enhance CLA levels in ruminants 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CLA without causing adverse effects on ruminal fermentation.

브로콜리 싹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Broccoli Sprouts)

  • 이재준;이유미;김아라;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2-197
    • /
    • 2009
  • 브로콜리 싹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브로콜리 싹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2.04%, 조단백질 22.04%, 조지방 12.80%, 조회분 6.25% 및 탄수화물 56.87%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rib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fructose, gluc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 되었다. 아미노산은 lysine 함량이 691.09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leuc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phenylalanine, valine 순으로 검출 되었다. 브로콜리 싹의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palmit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arachidic acid, lignoceric acid, behe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은 cis-11,14-eicosatrieno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lac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mal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0.06 mg%와 0.82 mg%이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Mg, Na, Fe 순이었고 Zn, Mn, Cu의 함량은 미량이 었다. 이상의 결과 브로콜리 싹은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을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브로콜리 싹의 식품 재료로의 이용화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지며, 브로콜리 싹 분말을 이용한 다양한 조리법의 개발과 더불어 가공식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새덕이 잎 정유의 성분분석 및 항산화활성 평가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Neolitsea aciculata (Blume) Koidz Leaves)

  • 정민지;양지윤;최원실;김재우;김석주;박미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96-106
    • /
    • 2017
  • 본 연구는 hydrodistillation 방법으로 추출한 새덕이 잎 정유의 화학적 조성과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새덕이 잎 정유의 화학적 조성은 GC/MS로 분석하였다. 새덕이 잎 정유의 주요 구성성분은 cis-ocimene (11.00%), trans-ocimene (9.65%), elemol (9.15%), ${\beta}$-elemene (8.75%), germacrene-D (7.55%), trans-caryophyllene (5.90%), ${\gamma}$-elemene (5.40%), ${\tau}$-muurolol (4.95%)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덕이 잎 정유의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함량 분석, 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정유의 총 페놀 함량은 $136.7{\pm}0.13\;mg\;GAE/g$으로 분석되었으며, 50% DPPH radical을 소거하는데 필요한 정유의 효과 농도($EC_{50}$ value)는 $639.33\;{\mu}g/m{\ell}$로 나타났다. 또한,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FRAP value는 $31.21{\pm}0.12{\mu}M$ $FeSO_4{\cdot}7H_2O/g$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새덕이 잎 정유가 건강에 대해 중요한 이점과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가시오갈피와 좀가시오갈피 접목시 정유성분 변화 (Changes in Essential Oil Conten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Grafted on Acanthopanax senticosus var. subinermis Harms)

  • 신국현;조선행;임순성;이상현;류나마;주화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4-120
    • /
    • 1998
  • 가시 오갈피의 지상부 수확량과 유용성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생육이 양호한 품종을 대목으로 접목재배를 하였다. 접목재배한 가시오갈피의 유용성분의 변화를 규명하는 일환으로 정유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갈피 잎의 고유 성분 중에서 접목재배로 인하여 함량이 증가한 것은 calarene, ${\alpha}-beramotene$, spathulenol 등이고, 감소한 것은 cis-caryophyllene, epizomarene, M204 $(t_R=2.07)$이었으며, ${\beta}-pinene$, ${\beta}-myrcene$, 2,5,5,-trimethyl- 1,3,6-heptatriene, ${\beta}-elemene$ 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2. 줄기의 고유 성분은 접목재배와 일반재배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접목 1년생보다 3년생에서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가장 많이 함유한 성분은 ${\alpha}-bergamotene$으로 27% 정도이었다. 3. 뿌리에서는 좀가시오갈피 고유 성분인 ethylbenzene, 2-furancarboxaldehyde, M134 $(t_R=2.11)$, M205 $(t_R=3.16)$ 등이 측정되지 않았고, 가시오갈피 고유 성분인 6,6-dimethyl-3-methylenbicycloheptane, M166 $(t_R=1.82)$, (+) -aromadendrene, ${\beta}-bisabolene$, M204 $(t_R=3.01)$ 등이 대목에 새롭게 생성 축적되었다.

  • PDF

한국 유아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에 의한 발효유의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증가 (Increas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s in Milk by Fermentation with Bifido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Infants)

  • 이효구;권영태;강혜순;윤칠석;정재홍;김인환;정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48-1352
    • /
    • 2004
  • 인체의 장관에서 유래한 200여 Bifidobacteria 균주를 대상으로 CLA 생산능을 조사한 결과, 공시균주 1종과 국내의 유아로부터 분리한 12개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A를 CLA로 전환하였으며, 각 CLA 생산 균주들에 의한 CLA 이성체는 90% 이상이 cis-9, trans-11 CLA이었다. CLA 생산능과 전환율이 가장 높은 Bifidobacterium sp. KHU 141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을 때, 발효유의 CLA 함량은 대조구보다 39.6 mg/100 g 증가하여 CLA의 생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효유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균주로 나타났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fermenter에서의 발효유 제조 시 lauric acid, myrist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LA 함량은 감소하고 CLA 함량은 증가하여 배양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각각 소비된 LA의 86.0%및 84.8%가 CLA로 전환되었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CLA 생산은 배양 24시간과 48시간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fermenter에서의 CLA 생산능도 bottle이나 시험관을 이용하여 발효한 경우와 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시판 요구르트 제품 중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분석 및 상업용 Dairy Starter에 의한 CLA 생산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s in Commercial Yoghurts and Production of CLA by Commercial Dairy Starter Cultures)

  • 이효구;권영태;강혜순;윤칠석;정재홍;김형국;김인환;정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43-1347
    • /
    • 2004
  • 국내에서 시판 중인 요구르트의 CLA 함량과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의 CLA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시판 요구르트 중의 CLA 함량은 4.1∼14.8 mg/100 g이었으며, 원료 우유사용비율이 낮아질수록 제품에 함유된 CLA 함량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A 함량과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함량, CLA 함량과 지방함량간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 67균주 중 L. acidophilus 1종, L. casei 1종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3종 등 모두 5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inoleic acid로부터 CLA를 생성하였다 또한 생성된 CLA는 cis-9, trans-11 이성체가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들을 이용한 발효유는 대조구에 비해서 1.7∼2.6 mg/100 g의 CLA 함량의 증가를 보였으며, CLA 전환율은 6.1∼8.6%였다.

CLA (Conjugated linoleic acid) 급이수준에 따른 역돔의 CLA 축적량 (Accumulation of the Conjugated Linoleic Aacid (CLA) in Tilapia ( Tilapia nilotica) Fed Diets on Various Levels of CLA)

  • 최병대;강석중;하영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09-514
    • /
    • 2001
  • 기능성물질인 CLA를 양어사료에 첨가하여 기존의 어류와는 다른 기능성 역돔 생산을 시도하였다. 사육 8주간 매 2주마다 어체내의 CLA축적도를 측정한 결과 8주 후 $1\%$ CLA 첨가구에서는 41.3 mg/g of fat였으며, $10\%$ CLA 첨가구에서는 180.9mg/g of fat으로 역돔의 정상적인 성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10\%$의 사료내 첨가도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정상적인 성장을 고려하면 CLA의 적정 첨가량은 $1\%$로 나타났으며, 그 이상의 첨가시에는 성장 저하 현상을 나타내었다. 합성된 CLA는 총 6 종류의 이성체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중 c9, t11 및 t10, c12 이성체가 $85\sim90\%$를 이루고 있었으며, 첨가된 CLA 함량에 따라 축적되는 양도 달라졌다. 사육 8주 후, 육 및 간 중의 지방산 조성은 n-9, 3 계열은 거의 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n-6계열은 첨가된 CLA의 함량에 따라 육 및 간에 축적되는 양은 $5\sim27\%$로, $1\%$ CLA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10\%$ CLA 첨가구가 가장 낮은 함량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