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nnamomum cassia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4초

점박이응애와 포식성 천적인 칠레이리응애의 식물추출물 단독 및 혼합 처리에 대한 감수성 비교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 Tetranychidae, Phytoseiidae) against Individual and Combined Treatments of Plant Extracts)

  • 이찬주;국용인;김상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7-339
    • /
    • 2019
  • 점박이응애와 포식성 천적인 칠레이리응애의 주엽, 차나무, 계피, 란타나 등의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액들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은 모두 점박이응애보다 칠레이리응애에 대해 저독성을 나타냈으며, 칠레이리응애 암컷 성충의 산란수와 산란된 난들의 부화에 큰 영향이 없었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처리에서 칠레이리응애 난들은 84~100%의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반면에 점박이응애에 대한 혼합액 3, 1 등의 처리는 7일 후에 각각 76.0%와 72.7%의 살성충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액 2의 처리에서는 63.3%의 살성충 효과를 보였으나 단독 처리에서는 혼합 처리보다 낮은 살성충 효과를 보였다. 혼합액 3, 1 등의 처리에서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의 산란수는 무처리 대비 29.5~31.3%에 그쳤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은 점박이응애 난에 대한 주목할 만한 살란 효과가 없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들로 보아 혼합액 3, 1 등은 점박이응애의 방제제로 사용 가능성이 있으며,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칠레이리응애와 함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계피추출물의 항균 작용과 항돌연변이원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mutagenesis of Cinnamon (Cinnamomum cassia Blume) Bark Extract)

  • 정은탁;박미연;이종갑;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7-343
    • /
    • 1998
  • 계피로부터 항균성 물질은 ethanol로 추출하고 다시 여러 가지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항균물질의 분획별 항균성과 안정성을 조사하고 균종별 항균효과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계피의 ethanol 추출물을 n-ha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등으로 분획한 결과 n-hxane 분획물의 항균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2. 계피의 n-hexane 분획물은 균종별로 차이는 다소 있으나 최저증식억제농도는 세균과 효모의 경우 각각 약 $320~640\;\mu\textrm{g}과\;160~320\;\mu\textrm{g}$, 그리고 곰팡이의 경우 $40~80\;\mu\textrm{g}$으로 나타나 세균보다는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항균성 물질은 pH4.0~10.0 범위에서 항균력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4. 항균성 물질을 $100^{\circ}C$에서 60분 또는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에도 항균력은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 5. 계피추출물에 대하여 Ames test를 실시하여 돌연변이원성을 조사한 결과 plate당 $320\;\mu\textrm{g}$까지 첨가하여도 돌연변이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benzo(\alpha)pyrene$의 변이원능을 억제하는 항돌연변이원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온고압증기멸균이 우황청심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Steam Sterilization on Woohwangchungsimwon)

  • 조창영;이인희;이재웅;김은지;이진호;김민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2
    • /
    • 2015
  • Objectives To check marker content for appropriate quality control of Woohwangchungsimwon sterilized to ensure microbiological safety and to observe antioxidant activity for any changes in efficacy. Methods To measure any effects of sterilization on the effective compounds, 8 ingredients of Woohwangchungsimwon were screened for any changes in marker content using HPLC-DAD. Using the colorimetric method on the microplate reader any changes in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levels were observed.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DPPH, ABTS, and FRAP. Results Of the ingredients of Woohwangchungsimwon, 8 were subject to quantit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21.6 mg and 1.93 mg of Glycyrrhizin was found in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pre and post sterilization, respectively. Decursin found in Angelica gigas Nakai increased from 0.16 mg to 0.29 mg after sterilization. Bilirubin found in Gallstone of Bostaurusvar. domesticus increased from 0.24 mg to 0.33 mg. Cinnamic acid found in Cinnamomum cassia Blume increased from 0.02 mg to 0.05 mg. Ginsenoside Rb1 found in Panax ginseng C. A. Meyer decreased from 0.02 mg to 0.14 mg. Paeoniflorin found in Paeonia lactiflora Pallas increased from 1.05 mg to 1.13 mg. Amygdalin found in Armeniacae Amarum Semen increased from 2.68 mg to 2.83 mg. L-muscone found in Musk increased from 0.63 mg to 0.76 mg. As for total phenolic compound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here was a 1.22 and 4.15-fold increase. DPPH and ABTS increased by 20.45% and 20.69%, respectively. FRAP activity was 2.78 times more active post stabiliz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steam sterilization, a method used to ensure microbiological safety of Woohwangchungsimwon, does not affect marker content; in other words, does not affect quality of the Woohwangchungsimwon. It could also be seen that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 increased after sterilization. An antioxidant activity tes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y of antioxidants.

생약재의 항균, 항고혈압 및 항암 활성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dicinal Herbs)

  • 도정룡;김기주;조진호;김영명;김병삼;김현구;임상동;이수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6-21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32종 생약재로부터 70% 에탄올과 물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균, 항곰팡이, 항암, 항고혈압활성을 조사하였다. 생약재외 추출물 제조는 32종의 생약재를 100에서 2시간동안 추출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항균활성은 6종의 병원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32종 생약재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추출물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중 가자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을 $125{\mu}g$ 첨가했을 때 14mm 이상의 항균 억제환을 나타내어 가장 좋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곰팡이 활성은 5종의 곰팡이를 사용하여 32종 생약재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추출물에 대해 paper disc확산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계피의 70% 에탄올추출물을 $1000{\mu}g$ 첨가했을 때 10mm이상의 항균 억제환을 보여 가장 좋은 항곰팡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32종의 생약재 물 추출물과 70% 에탄을 추출물에 대한 ACE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파고지의 물 추출물이 10mf/mL의 농도에서 65.2%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파고지의 물 추출물로부터 sephacryl S-300 컬럼으로 분획한 Fr I의 분획물이 5mg/mL의 농도에서 81.1%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생약재의 물 추출물과 70%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선정된 6종의 생약재중 정향의 에탄올 침전분획이 암세포에 대해 가장 우수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항비만소재의 lipoprotein lipase 억제 작용 연구 (Study of Lipoprotein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Anti-obesity Herb Extracts)

  • 이성미;강윤환;김경곤;김태우;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46-253
    • /
    • 2015
  • 본 연구에는 항비만소재로 연구되어진 11종의 소재를 대상으로 lipoprotein lipase (LPL)의 억제효능을 확인하고자 배양배지내 LPL의 함량과 LPL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T3-L1 adipocyte에서 LPL의 분비를 억제하는 소재로 능이추출물(NE)을 선택할 수 있었다. 선택된 NE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16.61{\pm}0.44mg/g$$6.58{\pm}0.01mg/g$이 각각 확인되었다. NE의 LPL 분비억제기작을 확인하기위해 먼저 세포내 LPL단백질의 함량과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함량이 감소했던 배양배지와는 다르게 NE를 처리한 3T3-L1 adipocyte의 세포내 LPL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RNA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LPL 단백질의 exocytosis에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유추하고 다양한 단백질 이동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L의 이동과 분해에 관여하여 세포내 LPL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orL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과 nuclear로의 이동에 NE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NE를 처리함으로써 SorLA promoter에 작용하는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이 nuclear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NE가 SorLA 유전자의 transcription factor인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을 nuclear에서 증가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LPL의 분비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NE의 항비만 효과기전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간접변이원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Indirect Mutagens)

  • 송근섭;안병용;이갑상;맹일경;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88-1294
    • /
    • 1997
  • 항돌연변이원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AFB_1$, B(a)P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95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효과를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AFB_1$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억제시킨 생약재는 익모초와 지실이었으며, B(a)P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억제시킨 생약재는 건부자 외 7종이었다. 두 종류의 변이원 모두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나타낸 생약재는 시호, 현호색, 천마, 강활, 반하, 지실, 행인 및 숙지황이었다. $AFB_1$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상승시킨 생약재는 계피 외 45종이었으며, B(a)P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상승시킨 생약재는 연자육과 감국이었다. 생약재의 열수 추출물은 $AFB_1$으로 유도된 변이원성을 대부분 증가시켰으나 B(a)P의 변이원성은 증가시키지 않았다. 두 종류의 변이원성을 모두 뚜렷하게 증가시킨 생약재(감국, 계피, 향부자, 삼백피, 패장, 관동화, 적하수오, 측백옆)의 열수 추출물 그 자체는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변이원성 유발을 도와주는 보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다. Ames test에서도 강활, 정향, 황금을 제외한 생약제에서 SOS Chromotest와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 PDF

차나무를 가해하는 차응애에 대한 식물추출물 단독 및 혼합처리의 살비 효과 (Acaricidal Activity of Individual and Combined treatments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 : Tetranychidae), a Pest of Tea Plant)

  • 강충수;국용인;김상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07-717
    • /
    • 2018
  • 주엽, 차나무, 계피, 란타나 등의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물들을 대상으로 차응애에 대한 살비효과를 검정하였다. 차응애에 대한 혼합액 3, 1 등의 처리 7일 후에 각각 82.0과 77.3%의 살성충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액 2의 처리에서는 68.0%의 살성충 효과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식물추출물들의 단독처리에서는 혼합처리보다 낮은 살비 효과를 보였다. 혼합액 3, 1 등의 처리에서 차응애 암컷성충의 산란수는 무처리 대비 24.0~29.6%에 그쳤다. 식물추출물들의 잔효성분은 전반적으로 저조한 살성충 효과를 나타내었다(처리 7일 후 16.7~31.3%).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차응애 난에 대한 살란효과는 거의 없었다. 혼합액 3, 1 등은 차응애 약충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여 각각 16.7%와 22.0%의 낮은 성충 우화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들로 보아 혼합액 3, 1 등은 차나무 재배지에서 차응애의 방제제로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방법이 육계피 추출물의 향기 성분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Flavoring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nnamon (Cinnamomum cassia Blume))

  • 차재윤;김종태;조용진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304-308
    • /
    • 2018
  • 건강 지향적인 사회 추세의 영향으로 건강 기능 식품의 관심과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계피는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한약뿐만 아니라 식품 성분으로도 사용되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와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육계피 추출액의 향기 성분과 항산화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육계피 추출물의 향기 성분인 coumarin, cinnamic acid, cinnamaldehyde, cinnamyl alcohol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70%의 추출물에서 courmarin, cinnamic acid 그리고 cinnamylaldehyde의 함량은 증류수를 이용한 열수추출물과 아임계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증류수를 이용한 아임계추출물의 courmarin, cinnamic acid, 그리고 cinnamaldehyde 함량은 열수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cinnamyl alcohol은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 DPPH 분석을 통한 항산화활성도 측정에서 DPPH scavenging activity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FRAP 분석을 통한 항산화활성도 측정에서 70% 에탄올 추출물의 ascorbic acid 함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열수추출물과 아임계추출물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오령산 정제 개발 및 항염증 효과 (Effect of Anti-inflammation on Oryeong-san Formulation for Mix Extract Tablet)

  • 김세진;임현희;남원희;손수미;최혜민;김명진;김정옥;이화동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48-354
    • /
    • 2020
  • Oryeong-san (ORS) is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widely used for renal associated diseases, composed of five medicine herbs;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Cinnamomum cassia Presl, Polyporus umbellatus Fries, Poria cocos Wolf and Alisma orientale Juzepzuk. We studi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intake and portability by developing modernized dosage forms, and examined the effect on anti-inflammation of ORS. In order to develop the tablet formulation of ORS (ORS-F), the tablet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include diameter, thickness, weight variation, hardness, friability and disintegration. To analyze the marker components of ORS-F, eight index markers from five herbal medicines were chosen. And the metho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diode-array detector method was established for the simultaneous analysis. The biolog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the effect of ORS-F on pro-inflammation mediated by LPS-stimulati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cytokines were determined by reacting cultured medium with griess reagen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and RT-PC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OJS-F increased markedl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s contents of OJS-F were 10.20±0.09 ㎍/㎎ and 12.86±0.86 ㎍/㎎. OJS-F which is LPS has diminished in the LPS-induced release of inflammatory mediators (NO, iNOS, COX2 and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6 and IL-1β) from the RAW264.7 macrophages. Therefore, the developed formulation for tablet of ORS-F provide efficiency and usability, and indicated effect of anti-inflammation.

창출·지모·육계 복합추출물의 고지방식이 유도 당뇨병 마우스에서의 항당뇨 효능 및 C2C12 골격근세포에서의 조절기전 연구 (Anti-diabetic effects of the extract from Atractylodes lancea,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Cinnamomum Cassia mixture in high fat diet-induced diabetic mice and regulation of the function in C2C12 mouse skeletal muscle cells)

  • 박기호;강석용;강안나;정효원;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9-89
    • /
    • 2019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DM1, a herbal mixture with Atractylodis Rhizoma, Anemarrhenae Rhizoma, and Cinnamomi Cortex in high fat diet (HFD)-induced diabetic mice and the mechanism in C2C12 mouse skeletal muscle cells. Methods : The C57B/6 mice were fed high fat for 12 weeks, and then administrated DM1 extract (500 mg/kg, p.o.) for 4 weeks. The changes of body weight, calorie and water intakes,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and the serum levels of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ST and ALT were measured in mice. The histological changes of liver and pancreas tissues were also observed by H&E stain. C2C12 myoblasts were differentiated into myotubes and then treated with DM1 extract (0.5, 1, and 2 mg/㎖) for 24 hr. The expression of myosin heavy chain (MHC), PGC1α, Sirt1 and NRF1, and the AMPK phosphorylation were determined in the myotubes by western blot, respectively. Results : The DM1 extract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alorie and water intakes, glucose, triglyceride, AST and ALT levels and increased insulin and HDL-cholesterol in HFD-induced diabetic mice. DM1 extract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liver tissue and improved glucose tolerance. In C2C12 myotubes, DM1 treatmen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HC, PGC1α, Sirt-1, NRF-1 and the AMPK phosphorylation. Conclusion : In our results indicate that DM1 can improve diabetic symptoms by decreasing the obesity, glucose tolerance and fatty liver in HFD-induced diabetic mice, and responsible mechanism is might be related with energy enhan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