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ymotrypsin 저해활성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3초

경합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한 대두 및 대두가공제품 중의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s의 함량 분석 (Quantification of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s in Soybeans and Soybean Products by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김성란;손동화;김수일;홍희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10-316
    • /
    • 1999
  • 대두가공제품 중에 존재하는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BBPI) 함량을 protease 저해활성 측정 및 경합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로 살펴보았다. 항체제조를 위한 BBPI는 i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전기영동 후 gel slicing 방법으로 시판 soybean trypsin-chymotrypsin inhibitor로부터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분리한 BBPI를 면역원으로 rabbit anti-BBPI antibody를 조제하였으며 단백질 농도별 titration방법으로 BBP에 비교적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한 경합 ELISA 방법으로 BBPI를 정량하기 위한 표준 정량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시료용액중의 BBPI 함량이 $0.03{\sim}30\;{\mu}g/ml$ 범위일 경우에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대두품종별 chymotrypsin 저해활성은 $8,462{\sim}12,428\;U/g$이었으며 BBPI 함량은 $482{\sim}692\;mg%$ 이었다. 시판 대두 가공제품 중에서 5종의 콩나물은 건물량 기준으로 $10,695{\sim}13,249\;U/g$의 chymotrypsin 저해활성과 $529{\sim}803\;mg%$의 BBPI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일부 두부제품에서도 68.9 mg%정도의 BBPI가 검출되었다. 그 밖의 두유, 된장, 고추장 및 간장 등의 대두발효식품, 탈지대두박 등에서는 chymotrypsin 저해활성 및 BBPI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 PDF

대두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품종간 비교 (Variation in Bowman-Birk type Protease Inhibitors of Soybeans)

  • 노범섭;이홍석;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2호
    • /
    • pp.116-125
    • /
    • 1989
  • 대두로부터 추출, 정제한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 들의 함량과 전기영동양상을 비교하고 정제된 inhibitor내에 존재하는 각 isoinhibitor들의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종실내 총 chymotrypsin 저해활성도와 cysteine 함량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8품종의 대두로부터 Sephadex G-75를 이용하여 얻은 정제된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함량은 단백질 100g당 $6.67{\sim}9.36g$으로 품종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정제된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전기영동 양상은 품종간에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각 band의 함량에도 차이가 있었다. 8품종의 정제된 inhibitor에서 나타나는 총 14개의 전기영동 band 중 10개의 band가 protease 저해활성도를 보유하였고 그중 chymotrypsin 저해활성도가 높은 것은 band 7이었으며 그 함량은 단백질 100g당 $0.768{\sim}1.271g$으로 품종간에 차이를 보여 종실내 chymotrypsin 저해활성도가 높은 품종에서 함량이 많았다. 대두품종별 chymotrypsin 및 trypsin저해활성도는 각각 종실 g당 $52,200{\sim}15,225$$164,700{\sim}37,500$으로 품종간에 3배 및 4배의 차이를 보였고 단백질 g당으로 환산한 값은 $158,662{\sim}40,033$ 및 500, $608{\sim}120,347$로서 종실 g당 저해활성도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품종별 cysteine 함량은 단백질 g당 $0.1258{\sim}0.0763-mmoles$로서 품종간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실내 총 chymotrypsin 저해활성도와 정의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GBⅠ-Ⅱ 와 관련된 Cyclic Peptide 들의 합성과 단백질 분해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연구 (Synthesis of Cyclic Peticdes Related to GBⅠ-Ⅱand Study of Their Inhibitory Activity for Proteinases)

  • 강신원;허남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88-296
    • /
    • 1990
  • GBⅠ-Ⅱ의 antielastic 고리과 LBI의 antitryptic 고리는 $P_1$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모든 아미노산 잔기는 동일하다. Inhibitor의 $P_1$을 키모트립신에 효과적인 특이성이 있다고 알려진 Tyr 잔기로 치환시킨 cyclic nonapeptide와 저해작용에 필수적으로 생각되는 5개의 아미노산 잔기만으로 선정된 cyclic pentapeptide 유도체를 액상법으로 합성하였다. 이들 펩티드 유도체를 3종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작용시켜 그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cyclic nonapeptide는 키모트립신에는 저해작용이 없었고 의외로 에라스타제와 트립신에 저해활성이 있었다. 또한 cyclic pentapeptide는 키모트립신에만 저해활성이 있었다.

  • PDF

율무, 홍화, 아욱종자의 혈전용해 효소활성 및 감마선 조사의 영향 (Fibrinolytic Activities and Effects of Gamma-Irradiated on Seeds from Coix lacryma-jobi L. Carthamus tinctorius L. and Malva verticillata L.)

  • 권수정;임채영;김재성;박민희;이숙영
    • KSBB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20-27
    • /
    • 2006
  • 미생물 및 동물에 비해 식물에서는 혈전용해효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기존의 혈전용해효소가 가지는 혈전에 대한 비특이적, 부작용, 고가 등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혈전용해효소의 개발을 위하여 율무, 홍화, 아욱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단백질의 혈전용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식물들로부터 추출된 조효소 용액은 기존 혈전 용해효소인 plasmin과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여 fibrin 평판법으로 확인한 결과 피브린 응집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였다. 그 중 율무종자의 수용성 추출물의 혈전용해 활성은 양성 대조군인 plasmin과 비교하여 1.3배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 수용성 단백질은 50-75% 에탄올을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율무의 혈전용해효소는 fibrin zymography를 수행하여 확인하고 직접 추출하였다. SDS-PAGE에 의하여 추출효소의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7.8 kDa으로 단일 polypeptide임을 확인하였으며,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는 $50^{\circ}C$ 이상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더 낮은 온도에서는 급격히 효소활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각종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에 의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APMSF, PMSF, pepstatin A 그리고 TPCK에 강력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추출효소는 chymotrypsin과 유사한 serine protease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EGTA와 EDTA 처리에 의해서는 효소활성의 저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더욱이, 종자저장 중에 미생물에 의한 부패, 활력저하, 생리활성물질의 감소와 장기저장에 따른 에너지소비 증가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저선량의 감마선 조사를 통해 율무, 홍화, 아욱의 종자로부터 혈전용해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 및 선량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는데 비조사 종자인 대조구와 비교하여 1 Gy, 4 Gy, 16 Gy, 32 Gy선량에서는 낮은 활성을 보였으면 반면에 8 Gy와 64 Gy의 선량에서는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Y선 조사가 종자의 혈전용해 활성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모든 결과로 볼 때 율무의 추출 효소는 chymotrypsin-like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혈전용해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두 Bowman-Birk형 proteinase inhibitor들의 분리 및 성질 (Bowman-Birk type proteinase inhibitors from soybean :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 최기봉;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287-292
    • /
    • 1990
  • 황금종 대두로 부터 8종의 Bowman-Birk형 proteinase inhibitor들을 DEAE-Sephadex A-50으로 전기영동상 단일 band로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이중 inhibitor VII cysteine함량이 17%로 높고 trypsin 및 chymotrypsin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결합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두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도의 비(TIA/CIA)가 1.0으로 전형적인 Bowman-Birk trypsin inhibitor(BBTI)로 확인되었다. 본 inhibitor와 trypsin 및 chymotrypsin complex의 dissociation constant는 각각 $9.17{\times}10^{-9}M$$5.14{\times}10^{-8}M$로 매우 안정하였다. 또한 inhibitor Vll은 열에 매우 안정한 단백질로 $100^{\circ}C$, 6시간 처리에도 저해활성도 감소가 50%밖에 안되었다. 순수분리된 7종의 다른 isoinhibitor중 inhibitor III만이 TIA/CIA값이 1.2로 BBTI와 비슷하였으나 그외 inhibitor I, II, IV, V,및 VIII은 그 값이 $3{\sim}29$로 BBTI와는 성질이 다른 isoinhibitnr로 추정되었다.

  • PDF

천연색소 소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Natural Color Resources)

  • 황초롱;탁현민;강민정;서화진;권오운;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33-641
    • /
    • 2014
  • 천연색소로 사용되는 식물류 11종(쪽, 아카시아, 코치닐, 아선약, 포도과피, 태수, 헤나, 국화, 붉은백단향, 대황, 서양꼭두서니)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해 열수 추출 분말을 제조하여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아선약 추출물이 348.23 mg/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환원력도 아선약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 linole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소화효소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93.93%로 가장 높았고, ${\alpha}$-amylase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64.53%로 가장 높았다. Trypsin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alpha}$-chymotrypsin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4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ip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52.73%로 가장 높았다. 3T3-L1 세포에 대한 지방 축적률은 아선약 추출물이 55.8%로 가장 낮아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물류 색소원료의 중 아선약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분해효소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페놀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아선약 추출물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이 되며 그와 관련된 메커니즘 연구는 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treptomyces fradiae에서 분리한 단백질 분해효소저해물질의 특성 (Characters of proteinase inhibitor isolated from streptomyces fradiae)

  • 정영화;이병규;이계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5-70
    • /
    • 1990
  • 방선균의 세포분화와 관련된 연구의 일환으로 Streptomyces fradiae NRRL2702가 생성하는 단백질분해효소 저해물질을 분리정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즉 S. fradiaesm s일반 환경 조건하에서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성하나 특정 조건하에서는 그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는 저해제를 생성함을 알았다. 이 저해제의 분자량은 16,800이며 serine proteinasem이 일부만을 저해하는 특징이 있었다. Pronase E의 활성의 저해양상은 competitive inhibition 이었고 열에 대하여 매우 안정함을 알았다.

  • PDF

메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polyfermenticus CJ6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polyfermenticus CJ6 Isolated from Meju)

  • 정지혜;장해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09-516
    • /
    • 2009
  • 메주로부터 곰팡이 및 세균 등에 생육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B. polyfermenticus CJ6을 분리 동정하였다. 분리 균주 B. polyfermenticus CJ6는 2단 대수기를 나타내는 생육 곡선상 특이점을 나타내었으며 배양 30시간 이후부터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고 사멸기 이후 활성이 다소 감소되었으나 120시간까지 활성을 유지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6의 항진균 활성 물질은 $70^{\circ}C$ 이상에서 활성이 감소되었으나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 시 역가가 완전히 소실되지 않았다. pH 안정성 실험에서는 pH $3.0{\sim}9.0$ 구간에서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각종 효소에 대한 영향에서 항진균 활성물질은 proteinase K, protease, ${\alpha}$-chymotrypsin 등의 단백분해효소 처리로 역가를 상실하거나 일부 감소되어 단백질성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균주의 항진균 활성 물질을 $C_{18}$ Sep-Pak column으로 부분 정제한 후 Tricine-SDS-PAGE 및 direct detection 실험을 통하여 분자량이 약 1.4 kDa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6가 생산하는 항진균 활성 물질은 기존에 거의 보고되지 않은 B. polyfermenticus 유래의 단백질성 항진균 활성 물질로서 천연보존제 및 천연항균제재로 사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항진균 활성 물질들의 정제 및 구조분석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Aspergillus 속 균주가 생성되는 사독 Proteinase에 대한 저해물질 - 균의 분리 및 저해물질의 생물학적 작용상 - (Inhibitory Substance Produced by Aspergillus sp. on the Snake Venom Proteinase - Isolation of Microorganism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Inhibitor -)

  • Hyun, Nam-Joo;Seu, Jung-Hw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9-134
    • /
    • 1987
  • Snake venom proteinase에 대한 저해물질을 생성하는 Aspergillus 속 균주 MK-24를 토양으로부터 얻어 그 배양액에서 저해물질을 분리하여 Venom proteinase에 대한 작용양상과 안정성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Glucose 2%, NaNO$_3$ 0.3%, $K_2$HPO$_4$ 0.02%, MgSO$_4$ㆍ7$H_2O$ 0.02%, KCl 0.02% 조성의 배지(pH 5.0)를 사용하여 3$0^{\circ}C$에서 7일간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을 acetone 심전 활성탄, methanol 침전으로 무정형의 유효분말을 얻었다. 이 물질은 A. b.b. venom proteinase에 대하여 1/2 배양에서 약 70% 저해율을 나타냈으며, A.b.b. venom proteinase에 대한 저해양상을 혼합형이었으며 enzyme-inhibitor complex를 형성하는데 20분 정도가 걸렸다. 반응액중에 Co$^{++}$, $Zn^{++}$, Cu$^{++}$ 등이 존재하면 저해작용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저해율은 사용한 기지리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났다. 즉 casein을 사용했을 때는 hemoglobin이나 albumin보다 저해율이 높았다. 그리고 본 저해물질은 snake venom proteinase 이외에 trypsin에 고농도에서 약간 저해작용을 나타냈으나 pepsin, $\alpha$-chymotrypsin, papain 등과 탄수화물 가수분해효소 등에는 저해능이 없었고, 혈액응고에 대하여는 1.6 $\mu\textrm{g}$/2$m\ell$ 농도 이상에서는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본 저해물질은 열이나 pH에 대한 안정성이 컸다. 즉, pH처리에 대해서는 37$^{\circ}C$에서 60분 처리로 산이나 alkali에 대해서 대단히 넓은 범위에 걸쳐서 안정하였으며 $65^{\circ}C$에서는 중성까지는 안정하였으나, pH 8 이상에서는 불안정하였고 열처리에 대해서는 10$0^{\circ}C$에서 2시간 처리했을 때에도 잔존활성도가 약 90%로 매우 안정하였다.

  • PDF

식품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작용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Food Proteins)

  • 염동민;노승배;이태기;김선봉;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6-233
    • /
    • 1993
  •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로 식품단백질로부터 생리활성 peptide의 생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효소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작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수분해에 따른 ACE 저해능은 가수분해 8시간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후로는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복합효소, bromelain 및 pepsin등에 의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trypsin 및 $\alpha$-chymotrypsin에 의한 egg albumin 및 casein 가수분해시에는 가수분해 8시간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은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lutamic acid의 함량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gg albumin 가수분해물의 경우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적은 반면 alanine 및 cysteine의 함량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Gel 여과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획분별 ACE 저해작용은 서로 비슷한 획 분에서 나타났으며 이 때의 분자량은 1,400부근으로 나타났다. 5. Gel 여과에 의한 ACE 저해작용 획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