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ungkookjang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6초

된장, 청국장 및 미소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활성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Doenjang, Chungkookjang and Miso)

  • 안선경;홍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19-1123
    • /
    • 2005
  • 최근 여러 생리활성이 알려지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온 발효식품의 우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 청국장 그리고 미소의 hyaluronid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저해활성 측정을 위하여 각 시료는 물과 MeOH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은 감압 건조하여 50 mg/mL의 농도로 0.1 M acetate buffer에 녹여 시료 액으로 사용하였다. 된장, 청국장 및 미소의 물 추출물은 hyaluronidase의 활성을 각각 62$\%$, 70$\%$, 56$\%$저해하였으며 원료성분인 대두의 물 추출물은 24$\%$ 저해하였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양성대조구로 항알레르기 약물인 disodiumcromoglycate(0.35 mg/mL)는 46$\%$의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된장, 청국장 및 미소의 MeOH추출물은 hyaluronidase의 활성을 각각 48$\%$, 52$\%$, 70$\%$ 저해 함으로서, 46$\%$를 저해한 대두의 MeOH 추출물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물과 MeOH 추출물 중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난 각 시료에 대하여 100$^{\circ}C$에서 10분간의 가열 후 잔여저해활성을 측정하여 열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평균적으로 각 시료의 물 추출물은 50$\%$ 정도, MeOH추출물은 90$\%$ 정도의 저해활성을 유지하여 MeOH 추출물이 열에 대해 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국장 발효균주 Bacillus licheniformis B1의 ${\beta}$-1,4-glucanase 특성 (Characterization of ${\beta}$-1,4-Glucanase Activity of Bacillus licheniformis B1 in Chungkookjang)

  • 황재성;유형재;김성조;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9-73
    • /
    • 2008
  • 대두가 발효된 청국장에는 미생물, 다양한 효소와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한다. 청국장의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cellulase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Oligosaccharide는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다. Congo red test 및 활성염색을 통해, 효소액이 cellulase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했다. 청국장 발효 균주 Bacillus licheniformis B1이 분비하는 cellulase활성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10과 $40^{\circ}C$이었다. TLC분석을 통해 효소액은 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분해하여 2탄당 이상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본 균주를 이용해서 제조한 보리 청국장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본 균주의 cellulase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분석한 결과, 본 효소는 ${\beta}$-1,4-glucanase였으며, 전체 coding 영역 $10{\sim}460$번째 아미노산 영역 중, 32군데서 polymorphism을 보였다.

GABA 함량이 높은 청국장을 발효하는 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ABA-producing Microorganism from Chungkookjang)

  • 맹소연;김은아;이가영;김로의;황대연;손홍주;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2-109
    • /
    • 2013
  •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으로부터 우수한 발효 균주들을 분리하여 재래식으로 청국장을 제조하고, 제조된 청국장의 생리활성 물질인 GABA를 유지 및 보강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청국장 발효능이 뛰어난 종균을 찾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 가운데 GABA의 함량이 높은 청국장을 생산하는 MC 31을 실험균주로 선택하였고 API Kit와 16S rDNA sequence를 통하여 Bacillus subtilis MC 31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MC 31의 최적배지와 온도, 시간을 찾아본 결과 LB 배지에서 $37^{\circ}C$, 24시간이 가장 높은 생육을 나타내었다. GABA 생산에 적합한 발효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 조건을 찾아본 결과 B. subtilis MC 31는 $40^{\circ}C$에서 72시간에 가장 많은 GABA를 생산하였다.

한국 전통발효식품인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methylotrophicus에 의한 항산화물질의 생산 (Antioxidant Production by Bacillus methylotrophicus Isola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 이나리;우가영;장준혁;이상미;고태훈;이희섭;황대연;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55-862
    • /
    • 2013
  • Although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ere reported by many researchers,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microorganism origin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as little. Therefore, we improved condition for antioxidant production by a bacterium isolated from home-made Chungkookjang. We selected a bacterial strain, which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from Chungkookjang and then named GJ. The selected GJ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methylotrophicus by alignment data of 16S rRNA gene nucleotide sequences. Improved medium compositions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0.25% sucrose, 1% peptone, 0.01% $MgSO_4{\cdot}7H_2O$ and initial pH 6.5, respectively.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30^{\circ}C$, 200 rpm and 4% inoculum volume, respectively. In improved condition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J reached to 91% in a short time. The strain GJ also possessed ACE inhibition and other antioxidative activities; ACE inhibition activity (49.4%),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9.8%), metal chelating activity (67.9%), SOD-like activity (36.5%) and reducing power ($A_{700}$ = 5.982) were observed, respectively.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B. methylotrophicus GJ strain may be potential candidate for functional foods, cosmetic products for anti-aging and medicine for diseases caused by oxidative stress.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Inhibits the Apoptosis of Mouse Spleen, and Thymus Cells

  • Kim, Han-Bok;Lee, Hye-Sung;Kim, Sook-Jin;Yoo, Hyung-Jae;Hwang, Jae-Sung;Chen, Gang;Youn, Hyun-Jo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256-261
    • /
    • 2007
  • Apoptosis is a step of the cell cycle which is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immune cell populations. Chungkookjang is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and bioactive compounds which was used in the treatment of mouse spleen as well as thymus cells (CH1-fermented soybean containing barley, wormwood, and sea tangle; CH2-fermented soybean) and was found to exhibit substantially reduced small DNA fragmentation. An MTT assay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CH1 and CH2 into the mouse splenocytes and thymocytes sharply increased their survival. Moreover, a FACS analysis also showed that CH1 and CH2 are effective at suppressing the apoptosis of splenocytes and thymocytes. The fermented soybean isoflavone concentrations, which are implicated in lowering breast and prostate cancers, lower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d improving bone health, were determined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Electrochemical Detection (CE-ED). The amount of Daidzein in fermented soybean significantly increased by 44-fold dramatically, compared with those in unfermented soybea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ethanol extracts of Chungkookjang promote the survival of the mouse spleen and thymus cells in culture by suppressing their apoptotic death.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which genes are related to apoptosis of the immune cells.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trains from the Traditional Korean Soybean-fermented Food, Chungkookjang

  • Joo, Myeong-Hoon;Hur, Sung-Ho;Han, Yong-Soo;Kim, Ji-Y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02-210
    • /
    • 2007
  • A total of 45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soybean-fermented food, Chungkookjang. Among these strains, seven strains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DNA sequences. All strains were Gram-positive, aerobic, motile, oxidase-positive, rod-shaped, and endospore-forming bacteria, and produced extracellular enzymes such as amylase, cellulase, lipase, protease, and xylanase. The isolates were grown in the presence of 0-11% (w/v) NaCl. Growth was optimal at pH 6-9 and at temperatures of $30-45^{\circ}C$. According to VITEK automicrobic system tests and supplementary tests, the isolates were similar to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Bacillus.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seven bacterial strains based on comparisons of 16S rDNA sequences, revealed that the strains were closely related to Bacillus species. The identification of strains that produced surfactin was also carried out, based on PCR screening of the sfp gene. Among the seven isolated strains, six yielded a surfactin-positive result with PCR.

Bacillus natto와 B. licheniformis 혼합 Starter로 제초된 청국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 연규춘;김동호;김정옥;육홍선;조재민;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4-210
    • /
    • 2002
  • 청국장의 산업적인 대량생산 system에 B. subtilis, B. natto, B. licheniformis 그리고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균주를 starter로 하여 45시간 동안 청국장을 발효시키면서 각 시험제품의 미생물 생장, 일반성분, 효소활성,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고 관능을 평가하였다. 청국장의 수분은 점질물의 형성이 많은 B.subtilis와 B. natto 시험구에서 다소높았으며 pH는 B. licheniformis에서 8.68로 가장 높았고 B. subtilis 에서 8.13으로 가장 낮았다. 미생물의 생장정도는 B. subtilis가 $10^{9}$ CFU/g까지, B. licheniformis는 $10^{8}$ CFU/g까지 생장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B. subtilis에서 1.35 unit/g으로 가장 높았고 B. licheniformis에서 0.45 unit/g으로 가장 낮았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 은미생물의 생장률 및 단백질분해 효소의 활성에 비례하여 B. subtilis > B. natto> B. licheniformis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균주를 starter로 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일반 품질은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단독 접종한 제품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특성을 보였다. 검출된 향기성분의 화학적 구성은 ketones 9종, alcohols 11종, aldehyde 6종, heterocyclic compounds 4종, ester 6종, acids 4종, hydrocarbons 4종, 기타 14종이었으며 균주별로는 B. subtilis에서 25종, B. natto에서 30종, B. licheniformis에서 28종,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혼합하여 접종한 청국장에서는 41종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유기산의 총량은 B. subtilis를 접종한 청국장에서 3.98%로 가장 높았고 B. natto는 2.24%, B. licheniformis는 1.53%이었으며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시험구에서 는 1.67%의 함량을 보였다. 분석된 향기성분과 유기산은 starter로 접종된 Bacillus의 종류에 따라 각각 특징적 인 조성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그리고 전체적인 선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시료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B. subtilis를 starter로 한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청국장 제품의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저장중의 품질 특성 monitoring (Monitoring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oducts during Storage for Shelf-life Establishment)

  • 김동명;김성호;이진만;김지은;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32-139
    • /
    • 2005
  • 청국장의 대중화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2{\sim}3$개월의 짧은 유통기간과 유통기한 내의 제품에서 곰팡이가 번식하는 등 저장성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종균 배양 및 접종, 저온살균을 통한 위생적 제조/가공방법, 포장방법 개선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살균온도, 저장온도, 저장기간을 최적화하기 위한 각각의 조건에서 진균류, 생균수, 가스발생량, pH 및 아미노태 질소 등을 측정하고 SAS program의 반응표면분석법으로 monitoring하여 유통과정에서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진공포장과 일반포장 제품에서 진균류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생균수는 진공포장과 일반포장 둘 다 살균온도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발생량에 대한 저장조건의 영향은 진공포장의 경우 살균온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일반포장이 진공포장보다 가스발생량이 훨씬 많았다. pH변화는 진공포장과 일반포장 모두 저장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에는 진공포장과 일반포장 모두에서 저장온도, 저장기간, 살균온도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공포장 한 것이 저장 중 아미노태 질소 함량 변화가 적었다. 진공포장 조건이 미생물에 의한 계속적인 분해 작용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종균배양 접종을 통한 위생적인 제조 방법으로 청국장을 제조하여, 진공포장하고, $70^{\circ}C$에서 60분간 살균하여, $10^{\circ}C$ 이하 저장조건에서 6개월 이상까지 저장이 가능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제조 및 포장공정의 개선으로 청국장의 상품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결정형태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전분의 무정형 부분에 영향을 주어 쌀 전분의 팽윤력, 용해도 및 pasting property등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변화를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on 억제활성성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 것이다. 2004년과 같이 한발이 심한 해에는 이랑방향 $180^{\circ}$의 수량성이 대조구인 $120^{\circ}$보다 낮았으나 상대적으로 한발이 적은 2005년도에는 $180^{\circ}$가 대조구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다.추출물은 87.15%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동일 농도에서 발아 길이 5 mm인 시료의 경우 SNU-601에 대하여 85.33%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유방암세포인 MCF-7과 대장암세포인 Caco-2의 경우 최대농도의 시료를 첨가한 경우에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메밀의 발아 길이별 $IC_{50}$값을 살펴보면, Calu-6에서 발아 길이 5 mm 추출물에서 $301.06\;{\mu}g/mL$, SNU-601에서 2 mm 추출물이 $510.20\;{\mu}g/mL$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즉, Calu-6와 SNU-601 세포주에 대한 $IC_{50}$은 대조군에 비해 발아에 의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증가되었지만, MCF-7와 Caco-2에 대한 항암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것으로 사료된다.높게 인식할수록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 급식소 운영주체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결과 향후 대학교 급식소를 운영하는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경우 그들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홍보전략이

청국장 점질성 중합체의 첨가 식이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ungkookjang Biopolymer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oweri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성호;정소형;김인호;이유순;이진만;김종국;이명철;최미자;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5-41
    • /
    • 2008
  • 본 연구는 청국장 점질성 중합체의 첨가식이가가 STZ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군(N), 당뇨 유발군(D) 및 청국장 점질성 중합체 첨가식이 당뇨 유발군(DCB)으로 4주간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은 D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무게는 D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DCB군의 간무게는 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D군의 혈당은 4주 동안 비슷한 범위를 유지하였으나 DCB군의 혈당은 실험 4주째에 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D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DCB군은 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DCB군의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DM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N군과 D군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DCB군은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DCB군이 D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의 중성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D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DCB군은 D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청국장 점질성 중합체의 첨가 식이는 STZ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당뇨의 대표적인 합병증인 지질대사 이상 중 증가된 혈중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감소된 HDL-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므로 당뇨의 혈당조절과 고지혈증 개선에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