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ungkookjang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6초

Porphyran-청국장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Growth-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f Porphyran-Chungkookjang on Cancer Cell)

  • 민현경;김효주;장해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26-833
    • /
    • 2008
  • 김 가공 후 발생되는 자투리 김으로부터 porphyran을 추출(13.9% 수율)하고, 이를 청국장에 첨가하여 porphyran-청국장을 제조하고 이의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Crude porphyran의 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는 AGS와 HT-29에서 모두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rude porphyran의 정상세포 BJ에 대한 세포 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0.25 mg/mL의 농도까지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성장효과를 보였다. Bacillus subtilis DJI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정상세포 BJ에 대해 청국장 물 추출물의 경우 0.5 mg/mL의 농도에서는 최고 153%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동일 농도에서 140%의 생존율을 보여 청국장이 정상세포에 대해 세포성장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orphyran-청국장의 정상세포 BJ에 대한 세포독성을 관찰한 결과 물, 메탄올 추출물 모두 독성이 없었으며, 물 추출물의 경우 1.0 mg/mL 농도 처리 시 160%,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0.25 mg/mL에서 최대 127%의 생존율을 보이므로 porphyran-청국장이 정상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청국장 추출물과 porphyran-청국장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농도 1.0 mg/mL 구간에서 비교해보았을때 porphyran을 첨가하지 않은 청국장 물 추출물에서 최고 17%, 메탄올 추출물은 24%의 AGS 세포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porphyran-청국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최고 23%와 38%의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장암세포 HT-29에 대해서는 porphyran을 첨가하지 않은 청국장 물 추출물에서 19%, 메탄올 추출물은 27%의 세포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porphyran-청국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최고 27%, 32%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청국장과 porphyran-청국장의 물 추출물보다 메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청국장보다 porphyran-청국장이 $1.2{\sim}1.5$배 더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김으로 부터 유용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porhyran을 추출하여 항암 활성 기능을 가지는 porphyran-청국장을 제조하여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기능성 식품을 널리 이용하여 해조가공산업에 기여하고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새로운 소비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국장제조시 대두원료의 동결과 쑥추출물의 첨가가 품질 및 이화학적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gwort extract on the quality and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Chung-kookjang prepared with frozen soybean)

  • 최병달;이시경;윤세억;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10-515
    • /
    • 1998
  • 청국장제조시 대두원료의 동결과 쑥추출물의 첨가가 청국장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청국장 숙성과정중의 아미노태 질소, ${\alpha}-amylase$ activity, protease activity, 향기성분의 변화와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 숙성과정중 protease activity는 동결처리한 대두를 사용한 청국장에서 약간 높았던 반면 ${\alpha}-amylase$ activity는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태 질소량은 전체적으로 동결처리한 청국장이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숙성 21일후 감소하였다. 쑥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효소활성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쑥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불쾌취원인의 하나로 알려진 cis-3-hexenol의 생성량이 감소되었고, 동결에 의해 항기물질인 2,6-dimethyl pyrazine의 생성이 촉진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14일 숙성된 청국장이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쑥추출물이 첨가된 경우에는 대두의 동결여부에 관계없이 쑥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보다 flavor가 유의적으로 우수하였으나 대두원료의 동결에 따른 차이는 감지되지 않았다.

  • PDF

Bacillus licheniformis B1에 의한 청국장 및 간장 발효 (Fermentation Patterns of Chungkookjang and Kanjang by Bacillus licheniformis B1)

  • 이재중;이동석;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6-301
    • /
    • 1999
  • 충남 아산시 호서대 주변 토양에서 Bacillus 균주를 분리하고, 생화학적 검사, VITEK, MIDI system을 이용해 Bacillus licheniformis B1으로 동정하였다. B. licheniformis B1은 amylase와 protease를 세포 외로 분비하였다. 본 균주를 증자 대두에 접종해서 청국장과 간장발효 과정을 추적하였다. 당과 아미노산의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갈변물질이, 청국장 발효에서는 초기에 비해 8배 이상, 간장에서는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청국장 발효에서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발효시작 하루만에 최대치에 이르렀다. 간장발효에서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발효시작 하루만에 50% 감소했으나 그 후로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는 데, 이는 salt의 영향으로 보인다. 또한 청국장과 간장이 발효되면서, 증자대두에 존재하지 않던 안정된 고분자 핵산이 확인되었다. 호서대 주변 토양에서 분리한 B. licheniformis B1으로, 청국장과 간장발효를 연속적이면서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고, 아울러 갈변물질과 핵산 기능성 물질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청국장의 항산화 및 혈압강하 효과 (Antioxidant and Blood-Pressure Reduction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 황재성;김성조;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4-57
    • /
    • 2009
  •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에는 다양한 항산화물질, peptide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한다. 청국장 ethanol 추출물은 285 nm에서 0.55의 흡광도 값을 보여 주었다. 이 영역에는 phenol을 포함한 아미노산 및 peptide류가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방법으로 청국장의 항산화도를 측정했을 때, ethanol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도는 증가하였다. 무염 생청국장 30 g을 복용하고 2시간 마다 혈압을 측정하였다. 수축기혈압은 복용 후 6시간 지난 후, 평균혈압이 14 mmHg 떨어졌고, 이완기혈압은 8 mmHg 떨어지는 등 혈압강하 효과가 뚜렷하였다. 청국장에 존재하는 daidzein, 항산화물질, Lys-Pro과 같은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억제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혈압강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콩 종류에 따른 청국장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epared Using Different Soybean)

  • 이나리;이상미;고태훈;정성윤;홍창오;김근기;박현철;이상몽;김용균;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23-732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of protease and amylase activities and nitrogen content in Chungkookjang prepared by Bacillus subtilis S8 and different soybean. Amino-type nitrogen and ammonia-type nitrogen content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fermentation time and was the highest in black soybean Chungkookja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creased up to 24 h of fermentation at all temperatures tested; especially, their levels were the highest at $40^{\circ}C$. Protease activity was the highest in black soybean Chungkookjang. ${\alpha}$-amylase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up to 6 h of fermentation at $30^{\circ}C$ and $40^{\circ}C$ and then maintained constantly. It also increased up to 30-36 h of fermentation at $45^{\circ}C$ and then decreased. ${\beta}$-amylase activity was the highest in black soybean Chungkookjang at $35^{\circ}C$ and $40^{\circ}C$ and in yellow soybean Chungkookjang at $45^{\circ}C$. Production pattern of reducing sugar was similar to that of ${\beta}$-amylase. Amino-type nitrogen, viable cell number and reducing sugar content and ${\beta}$-amylase activity was the highest in Chungkookjang fermented at $40^{\circ}C$. Considering amino-type and ammonia-type nitrogen contents, Chungkookjang fermentation using yellow soybean was favorable. However, the fermentation using black soybean was favorable, considering protease and amylase activities and reducing sugar content.

초의차 첨가가 청국장의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oi-cha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of Chungkook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 이현주;김선임;박진규;박재남;한인준;송범석;김재훈;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4-149
    • /
    • 2008
  • 본 연구는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해 초의차(불발효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청국장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 및 미생물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초의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효미생물 생육이 지연되었고 pH 및 휘발성염기태 질소 함량은 초의차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초의차 첨가 청국장의 색도측정에서 명도(L) 및 적색도(a)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결과 초의 차가 첨가된 모든 실험구들의 외관에 대한 선호도는 무첨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또한 3%까지 초의차를 첨가할수록 이취개선 효과로 인해 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3% 초의차 첨가 청국장의 항산화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이 3%의 초의차 첨가에 의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Chungkookjang on Blood Glucos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Kidney of STZ-induced Diabetic Rats

  • Kim, Hye-Jeong;Kim, Young-Chu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1-21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hungkook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owder on blood glucose level, lipid profiles,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kidney of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of three groups including nondiabetic group fed normal diet (NC), diabetic group fed normal diet (DC) and diabetic group fed Chungkookjang diet (DCH; 100 g/kg diet) were reared for 8 weeks. The serum glucose, triglycelide and total lipid levels in the DCH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DC group. The renal xanthine oxidase, catal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in the D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C group. The xanthine oxid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in the DCH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DC group (P<0.05). Tubular epithelial change, such as Armanni-Ebstein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DCH group compared to the DC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ungkookjang supplement seems to be beneficial to correct the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as well as to protect kidney against diabetic changes.

  • PDF

녹차첨가가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Improvement of Sensorial Quality of Chungkookjang)

  • 김재훈;김선임;김종군;임득균;박진규;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82-486
    • /
    • 2006
  • 본 연구는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녹차를 첨가하여 청국장을 발효시킨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녹차가 청국장의 풍미 증진을 위한 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완전발효차와 반발효차 첨가시 청국장 발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청국장 제조를 위한 원료로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능평가 결과는 녹차종류에 관계없이 녹차첨가에 의해 시각적 품질이 감소하였으나, 불발효차 및 증제차의 경우 이취개선 효과로 인해 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녹차첨가로 인해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차 특히, 불발효차 및 증제차 첨가는 청국장의 이취를 감소시켜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청국장으로부터 Angiotensin I 전환효소 저해 Peptide의 분리 (Isolation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Chungkookjang)

  • 송정이랑;유형재;황재성;이동석;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5-358
    • /
    • 2004
  • 한국의 전통 대두 발효식품 청국장이 정장, 혈액순환 개선 둥의 기능성식품으로 부각되고 있다. 청국장은 발효가 되면서 미생물, 효소,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크게 증가하며, 그 중에는 peptide류도 포함된다. 청국장 Peptide류의 형성은 SDS-PAGE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청국장의 수용성 아미노산중, Tyr, Gln-Lys, Trp, Gln, Lys-Pro 등이 주요성분으로 발견되었고, Lys-Pro (0.083 mg/100 g 시료)가 HPLC에 의해 분리되었다. Lys-Pro은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저해효과 $(IC_{50}=32.1{\mu}m)$를 지니고 있었다. 고혈압군이 분말청국장 20 g을 복용하고 2시간 지났을 때, 수축기 혈압은 15 mmHg, 이완기 혈압은 8 mmHg떨어지는 강하효과가 있었다. 청국장은 ACE 저해제와 혈압강하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혈액순환개선에 상당한 도움을 주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청국장 숙성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Flavor of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 최성희;지영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9-234
    • /
    • 1989
  • 균주에 따른 청국장 발효중의 향기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증자대두에 Bacillus subtilis 와 Bacillus natto균을 각각 접종시켜 청국장을 만들어 연속 증류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추출 농축하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증자대두의 중요한 성분으로 3-methyl-1-butanol, 2-methylpropanoic acid 및 1-octen-3-ol 등이 밝혀졌고, B. subtilis균을 접종한 청국장은 숙성중에 이들 화합물들이 대체로 남아 있었으나, trimethylpyrazine, tetramethylpyrazine 등 7종류의 alkylpyrazine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B. natto균을 접종한 청국장은 증자대두의 중요한 성분들은 대체로 감소하고 alkylpyrazine 류 특히 tetramethylpyrazine 류는 숙성중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kylpyrazine 류는 대두 냄새를 masking 하고 청국장의 향기에 크게 기여함을 알았다. 또 이들 향기성분들의 함량차는 두 가지 균을 접종한 청국장이 각각 다른 향기를 내는 요인이 되는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