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검색결과 705건 처리시간 0.219초

Expression pattern of floral scent genes in different flowering stages of Chrysanthemum cultivars

  • Mekapogu, Maniulatha;Ahn, Myung Suk;Yoo, Jong Hee;Jeong, Jae Ah;Park, Jong Taek;Kwon, Oh Ke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4-114
    • /
    • 2018
  • Among the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by the plant, floral scent plays a key role in attracting pollinators for reproduction and mediates ecological interactions. Floral scent is an important trait and industry drives the competition for flowers with novel scents. Chrysanthemum is one of the well-known ornamental plants and is a popular cut flower across the world. Floral scent and the genes responsible for the floral scent emission are poorly studied in chrysanthemum. In the present study, floral scent and the expression pattern of floral scent genes were analyzed in two chrysanthemum cultivars 'Golden Egg' and 'Gaya Glory'. Initially, intensity of the floral scent in five developing stages of flower including 'budding (B), bud developing (BD), initial blooming (IB), almost open (AO) and open flower (OF)' was analyzed using electronic nose (E-nose) with six metal oxide sensors. Based on the distance analysis, different stages of flower showed different relative intensity of scent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Although the scent pattern differed by stage, scent intensity was strongest in the OF stage in the completely opened flower in both the cultivars. Further, expression pattern of six genes in the floral scent pathway including FDS, IDI, ISPH, TPS2, TPS5 and TPS6 was observed in all the five stages of the flower in both the cultivars. The expression pattern of all the six genes differed by stage and the terpene synthase genes TPS2, TPS5 and TPS6 showed good expression levels in the $5^{th}$ flower stage compared to other stages. This study provides a preliminary data for understanding the regulation of floral scent in chrysanthemum.

  • PDF

지칭개, 구절초 및 산국에서 분리한 Sesquiterpene lactones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Hemisteptia lyrata, Chrysanthemum zawadskii and Chrysanthemum boreale)

  • 장대식;박기훈;이종록;하태정;박윤배;남상해;양민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76-179
    • /
    • 1999
  • 지칭개, 구절초 및 산국에서 분리한 9종류의 sesquiterpene lactones에 대한 생리활성 실험의 일환으로, 10종의 세균에 대한 항세균활성과 6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진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세균 활성실험에서는 지칭개에서 분리한 hemistepsin A와 B 그리고 산국에서 분리한 tulipinolide가 시험균주 전반에 대하여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항진균 활성실험에서는 hemistepsin B, angeloylcumambrin B, tigloylcumambrin B, 그리고 costunolide가 광범위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세균 활성실험과 항진균 활성실험 모두 비교적 뚜렷한 균주특이성을 나타내었다.

  • PDF

구절초 꽃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 유선희;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62-770
    • /
    • 2016
  • 본 연구는 구절초 꽃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과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항염증,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구절초 꽃 추출물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높은 함량과 뛰어난 DPPH radical 소거작용을 확인하였고, Raw 264.7세포와 B16F10세포에 대해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Raw 264.7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절초 꽃 추출물이 B16F10세포에 ${\alpha}$-MSH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후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멜라닌의 생성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구절초 꽃 추출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고,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미백효과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블렌딩티와 구절초에 대한 인식과 소비행동 연구 - 20대 여대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of Blended Tea and Siberian Chrysanthemum -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

  • 이지오;나예슬;오지은;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00-307
    • /
    • 2021
  • In this study, consumers'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of blended tea were investigated. Also, consumer perception of Siberian chrysanthemum, consumption behavior, and awareness of efficacy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blended tea with taste and flavor characteristics that consumers prefer, having the capability of relieving stress, and preventing cold or respiratory disease. In additio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Siberian chrysanthemum was very low, and the recognition of the efficacy appeared in the order of 'cold relief' and 'respiratory disease relief'. Factor analysis results, safety attributes, health attributes, product attributes, marketing attributes, and sensory attributes were factorized into five factors, and after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sensory attributes of taste and aftertaste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nsumers surveyed appeared to consume blended tea for 'relieving mood or stress relief', to enjoy the taste, and to prevent cold or respiratory diseases. Siberian chrysanthemum displays efficacy in cold relief and relief of respiratory diseases. Therefore, developing Siberian chrysanthemum as a blended tea could be a practical application that can expand the range of its use, making it more popular and increase its commercial applications.

치커리(Cichorium intybus L.)와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의 기내 종자발아 개선 (Improvement of In Vitro Seed Germination in Chicory (Cichorium intybus L.) and Garland Chrysanthemum (Chrysanthemum coronarium L.))

  • 황현정;최근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7-305
    • /
    • 2008
  • 치커리와 쑥갓에 있어 기내 파종 시 발아 및 무균묘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NaOCl의 적정 처리농도와 시간 검정을 통해 치커리 'Precole'과 'Chiavari' 및 쑥갓 'Okiku 3' 모두 Naocl 5%로 15분간 처리하는 것이 발아 및 유묘형성을 촉진시키고 오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배지조성에 있어 MS와 1/2 MS처리구들의 발아반응성은 뚜렷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sucrose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아 및 유묘형성이 지연되었다. 배양용기에 따른 반응성의 차이는 치커리 'Precole'의 경우 petri-dish에서 양호한 발아율 및 유묘형성율을 보여주었지만, 치커리 'Chiavari'와 쑥갓 'Okiku 3'에서는 용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초음파 처리는 치커리의 발아율 및 유묘형성율을 증가시켰지만, 쑥갓 'Okiku 3'에서는 초음파 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치커리와 쑥갓 모두에서 NaOCl 5%, 15분간 종자소독하고, sucrose가 무첨가된 1/2 MS 배지로 petri-dish를 이용하며, 초음파 처리는 NaOCl 5% 용매에서 120분간 하는 것이 기내 발아향상에 적당한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 3종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Chrysanthemum Species)

  • 우정향;신소림;정헌상;이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31-636
    • /
    • 2010
  •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80% 에탄올을 용매로 환류냉각 추출한 마가렛, 국화 및 낙동구절초의 꽃과 잎줄기(shoot)의 페놀성 물질 함량,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은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국화 잎줄기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Fe^{2+}$ chelating 효과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으며, 국화 꽃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마가렛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BHT보다 억제활성이 낮았다. 연구의 결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은 페놀성 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제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금속이온 chelating 및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은 다소 낮으므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화스트레스를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절화국화 재배농가의 재배와 수확 후 관리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Cultivation and Postharvest Management Status of Cut Chrysanthemum Farms in Korea)

  • 노용승;유용권
    • 화훼연구
    • /
    • 제26권4호
    • /
    • pp.187-194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절화국화를 재배하고 있는 27개 농가를 선정하여 시설과 재배현황, 수확 후 관리 및 유통 실태를 조사하였다. 재배농가들의 60%는 PE필름 비닐하우스에서 토양 관비재배 방법으로 절화국화를 재배하고 있었으며, 전남과 부산은 스탠다드 국화를 주로 재배하고 있었다. 자가채취 또는 업체에서 구매한 삽수를 플러그 육묘하여 발근묘를 생산하고 있었으며, 전남지역에서는 주로 재배상에 직접 삽목하고 있었다. 절화국화를 수확한 후 전처리로 열탕처리 또는 수돗물로 물올림을 실시하는 농가가 66.6%로 나타났다. 예냉은 70.4% 농가에서 실시하지 않았으며, 예냉하는 농가들은 주로 $2{\sim}4^{\circ}C$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절화국화를 수확한 후 유통 물량을 조절하기 위해 70.4%의 농가에서 저장을 하고 있었으며, $2{\sim}4^{\circ}C$에서 48시간 이상 저장하고 있었다. 절화국화를 출하 전에 주로 개인별로 선별하고 있었으며, 일부 수출 농가에서만 공동선별을 하고 있었다. 유통에 있어서 모든 농가들은 국내로 출하하고 있었으며, 이들 농가 중 44.4%는 수출을 겸하고 있었다. 국내 시장으로 출하하는 경우, 63.0%의 농가에서 화훼경매장을 이용하고 있었다.

시설국화에서 트랩식물과 미끌애꽃노린재를 이용한 꽃노랑총채벌레 방제 (Control Effects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by using Trap Plants and Orius laevigatus in Chrysanthemum PVC House)

  • 최용석;황인수;박덕기;이준석;함은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0-447
    • /
    • 2013
  •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WFT, western flower thrips))는 시설국화의 중요한 해충이다. 황색끈끈이 트랩에 유살된 꽃노랑총채벌레는 트랩식물의 위치에서 가장 높았고 트랩식물로부터 15 m와 20 m 떨어진 지점에서 가장 낮았다. 토양재배국화의 정식 30일 후에 투입한 트랩식물의 꽃노랑총채벌레 유인수에 있어 트랩식물이 투입된 0 m 지점이 트랩식물로부터 떨어진 5 m와 10 m 지점에서 보다 4.4~7.7배 더 많이 채집되었고(resident WFT) 정식과 동시에 투입한 트랩식물의 꽃노랑총채벌레 유인수는 5.7~9.4배 더 많았다(dispersing WFT). 재배국화의 꽃봉우리가 형성되면서 트랩식물이 위치한 곳과 위치하지 않는 곳에서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에는 분명한 차이가 없었다. 트랩식물과 천적을 동시 활용한 시험구는 농약살포구 보다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가 더 낮았고, 트랩식물에 농약을 사용한 시험구는 트랩식물의 위치에서만 꽃노랑총채벌레가 방제되었을 뿐 5 m와 10 m에서는 밀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국화 재배를 위한 정식과 동시에 꽃노랑총채벌레 방제를 위하여 트랩식물로 황색개화국화를 천적과 같이 이용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