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ra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8초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한 Fumonisin의 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Detection of Fumonisins)

  • 손동화;한성민;임선희;이인원;조선희;강신영;이경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9-125
    • /
    • 1996
  • In order to develop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r fumonisins, production of specific antibodies, establishment of ELISA conditions, and quantitation of the toxin from spiked corns by ELISA were performed. Fumonisin $B_1(FB_1)$ conjugated to cholera toxin (CT) with or without Freund's adjuvant was subcutaneously injected into 2 groups of rabbits. When the titer of the antisera produced by each rabbit was tested, higher titer was observed in case of the immunization with the adjuvant. By use of the antiserum showing the highest titer (1:16,000) and its purified antibodies, competitive indirect and direct ELISA's (ciELISA and cdELISA)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When the cross-reactivity of the antibody against fumonisin analogs was investigated by the ciELISA, it was very low against $B_3$ (2%) but high against fumonisin $B_2$ (179%). The sensitivity of the ELISAs was also very high, because the detection limit for $FB_1$ was 0.03 ppb in ciELISA and 0.3 ppb in cdELISA. When the ELISA's were applied to the spiked corns after extraction with 75% methanol, the assay recovery of $FB_1$ was too unstable to assay. However, when cleanup by strong anion exchange (SAX) cartridge was introduced to remove interfering materials, the mean ELISA recovery of $FB_1$ from corns spiked to 3~10 ppm was found to be 34.0% and stable (mean of CV, 8.2%).

  • PDF

돼지생식기 및 호흡기증후군(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 PRRSV) 바이러스의 국내분리주 작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PRRSV) in Korea)

  • 권창희;권병준;이한정;조재진;황의경;신진호;윤용덕;강영배;안수환;김용희;허원;전무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7-83
    • /
    • 1994
  • 유사산 태아의 폐, 청색증을 나타내는 자돈으로부터 돼지생식기 및 호흡기증후군(PRRS)의 원인체로 추정되는 바이러스주(KPRRSV) 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바이러스주는 돼지콜레라, 돼지오제스키병,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에 대한 형광항체반응에서는 음성이었으며 기니픽혈구에 대한 혈구응집 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포유 마우스의 뇌내 접종시 이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돼지생식기 및 호흡기증후군에 대한 형광항체검사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바이러스는 돼지폐포탐식세포(porcine alveola macrophages)에서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를 나타내었으며 세포변성효과를 나타내었던 바이러스주중 일주(KPRRSV-1)를 돼지폐포탐식세포에서 7대 연속 계대하여 돼지에 접종한 후 혈청을 분리하여 미국 및 유럽지역에서 분리된 돼지유행성 유사산 및 호흡기증후군의 바이러스를 탐식세포에 감염시켜 효소면역방법 (immunoperoxidase monolayer assay)으로 분석한 결과 분리된 바이러스는 미국형 돼지호흡기 및 유사산증후군에 가까운 항원형으로서 판명되었다.

  • PDF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收錄)된 인삼(人蔘)이 주약(主藥)으로 배오(配伍)된 방제(方劑)의 활용(活用)범위, 병증, 주치(主治), 병리(病理) 및 구성내용(構成內容) 조사(調査) (Studies on Therapeutic range, Symptom, Pathology, and composition of Ginseng Radix -main blended Prescriptions from Donguibogam)

  • 조대연;정종길;윤용갑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82
    • /
    • 2001
  • In the Encyclopedia Medica Koreana(Dongeuibogam), I have researched 245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And I have got the following results. The healing scope and frequency of ginseng-mainly-included prescriptions are Child Part 29(11.83%), Violent Cough Part 23(9.38%), Sick-by-Cold Part 21(8.57%), Oncosis Part 16(6.53%), Overwork Part 14(5.71%), Gynecologic Part 14(5.71%), Internal Part 13(5.3%), Apoplexy Part 11(4.48%), Mind Part 10(4.08%) and Fecal Part 10(4.08%) prescriptions. And also each of Nausea Part, Anger Part, and Spirit parts has the same 5 (2.04%) prescriptions. And each of Qi Part, Diabetes Meatus Part, Malaria Part, and Humoral Part has 4(1.63%) prescriptions. And each of Foot Part, Choleraic Part, Genital Part, Blood Part, and Voice Part has 3 (1.2%). All of these prescriptions cover 88.88%. And besides listed parts above, Panax Ginseng is all used in 48 Parts: Body-Mind Part. Mouth-Tongue Part, Breast Part, Muscle Part, Swelling Part, Urine Part, Epidermis Part, Heat Part, Anus Part, Stomach Part, Eye Part, Laryngopharynx Part. Uterus Part" Heavy Stomach Part, Head Part, Pulse Part, Hair Part, Navel Part, Emetic Part, Costal Part, Edema Part, Vomiting Part, Superstitious Part, and Cardiac Part, etc.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the most representative diseases, which more than 86.8% prescriptions cure, are shock, numbness from cold, Taeeum disease, oncosis, overwork, sick from eating, numbness of extremities, diarrhea, tachycardia, forgetfulness, nausea, heat from kidney, nocturnal emission, short breath, diabetes meatus, malaria, sweating, sweating overnight, beriberi, cholera, insomnia from enervation, sialitis, navel pain, hemorrhage, and loss of voice. The pathology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is divided into the organ problems, six natural factors, seven extreme feelings, unbalanced humoral status, overwork, and, unbalance of qi and blood. Spleen, heart, and uterus is the main cause of organ problems; wind and cold are the main cause of six natural factors; heavy humors are the main cause of unbalanced humoral status; the stasis of seven feelings are the main cause of seven extreme feelings; the lack of stamina and overwork are the main cause of the overwork; the lack of qi, the lack of blood, and, the lack of qi and blood are the main cause of the unbalance of qi and blood. After I have researched the contents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I could understand the addition of the different prescriptions, combination of medicines, and the role of medicine groups associated with Panax Ginseng. So from now on, the results I have got could be used as the data which show the theoretical basis on the prescriptions.

  • PDF

드론 기반 스마트 방재 방안 연구 (Drone-based smart quarantine performance research)

  • 유순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37-44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기반 스마트 방역 연구로서 드론을 방재 분야에 활용을 통한 대응방안과 기대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현행 방재업무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와 이에 따른 대응안을 환경적, 시장적, 기술적 접근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환경적 측면에서 드론 기반 관제를 활용한 방재업무의 활용 효과는 산림, 조류인플루엔자, 가축, 시설지역, 모기 유충, 해충 등 광범위한 활용과 AI 및 콜레라 등 각종 방역업무 단순화 및 효과적 방역체계 제공 할 수 있다. 둘째, 시장적 측면에서 방역방법의 신기술 도입을 통한 국내 표준화 드론을 활용한 소독방역 임무 활용에 따른 축산·가축 방역 관련 법령, 행정규칙의 기준마련, 관련 산업의 동반성장과 신시장 발굴, 가축 질병 방역에 투입되는 연간 예산 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기술적 측면은 (1) 새로운 가축 질병 방역형태인 다중드론 활용 소독 방역의 현장적용, (2) 드론 산업 소프트웨어 분야의 혁신, (3) 다양한 시장에 적용 가능한 드론 관제/제어 통합시스템으로 산업 다변화, (4) 빅데이터 드론 이동로 3차원 공간정보 분석 정밀 드론 교통정보제공으로 안전성 높은 비행 보장, (5) 다수의 드론 동시 자동 임무 비행이 가능하여 저비용 고효율 시스템 보급 실현, (6) 고도의 정밀 비행기술 불필요에 따른 분야별 드론 이용자 증가로 고찰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기반으로 작성되어 향후 연구 분야는 드론 기반 서비스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기반으로 그 효과에 대해 입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드론을 방재업무에 적극적 활용 지원 또는 이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데 이바지 한다.

Effects of Insulin and IGFs on Phosphate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Han, Ho-Jae;Park, Kwon-M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30권1호
    • /
    • pp.63-76
    • /
    • 1996
  •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characterize phosphate uptake an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for the insul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IGF) stimulation of phosphate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rimary cultured proximal tubule cells had accumulated $6.68{\pm}0.70$ nmole phosphate/mg protein in the presence of 140 mM NaCl and $2.07{\pm}0.17$ nmole phosphate/mg protein in the presence of 140 mM KCl during a 60 minute uptake period. Raising the concentration of extracellular phosphate to 100 mM$(48.33{\pm}1.76\;pmole/mg\;protein/min)$ induced decrease in phosphate uptake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cells maintained in 1 mM phosphate$(190.66{\pm}13.01\;pmole/mg\;protein/min)$. Optimal phosphate uptake was observed at pH 6.5 in the presence of 140 mM NaCl. Phosphate uptake at pH 7.2 and pH 7.9 decreased to $83.06{\pm}5.75%\;and\;74.61{\pm}3.29%$ of that of pH 6.5, respectively. 2. Phosphate uptake was inhibited by iodoacetic acid(IAA) or valinomycin treatment $(62.41{\pm}4.40%\;and\;12.80{\pm}1.64%\;of\;that\;of\;control,\;respectively)$. When IAA and valinomycin were added together, phosphate uptake was inhibited to $8.04{\pm}0.61%$ of that of control. Phosphate uptake by the primary proximal tubule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ouabain treatment$(80.27{\pm}6.96%\;of\;that\;of\;control)$. Inhibition of protein and/or RNA synthesis by either cycloheximide or actinomycin D markedly attenuated phosphate uptake. 3. Extracellular CAMP and phorbol 12-myristate 13 acetate(PMA) decreased phosphate uptak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Treatment of cells with pertussis toxin or cholera toxin inhibited phosphate uptake. cAMP concentration between $10^{-6}\;M\;and\;10^{-4}\;M$ significantly inhibited phosphate uptake. Phosphate uptake was blocked to about 25% of that of control at 100 ng/ml PMA.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inhibited phosphate uptake. However, in the presence of IBMX, the inhibitory effect of exogenous cAMP was not significantly potentiated. Forskolin decreased phosphate transport. Acetylsalicylic acid did not inhibit phosphate uptake. The 1,2-dioctanoyl-sn-glycorol(DAG) and 1-oleoyl-2-acetyl-sn- glycerol(OAG) showed a inhibitory effect. However, staurosporine had no effect on phosphate uptake. When PMA and staurosporine were treated together, inhibition of phosphate uptake was not observed. In conclusion, phosphate uptake is stimulated by high sodium and low phosphate and pH 6.5 in the culture medium. Membrane potential and intracellular energy levels are also an important factor fer phosphate transport. Insulin and IGF-I stimulate phosphate uptake through a mechanisms that involve do novo protein and/or RNA synthesis and decrease of intracellular cAMP level. Also protein kinase C(PKC) is may play a regulatory role in transducing the insulin and IGF-I signal for phosphate transport in primary cultured proximal tubule cells.

  • PDF

표지방식을 이용한 흰 쥐 복강 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세포체와 신경섬유의 표지부위 (Localization of Sensory Neurons Innervating the Rat Intestine Using the Cholera Toxin B Subunit(CTB) and Wheat Germ Agglutinin-Horseradish Peroxidase(WGA-HRP))

  • 이동협;이창현;이무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75-96
    • /
    • 1998
  •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세포체 및 신경섬유의 표지부위를 관찰하기 위하여 복강내장을 부위별(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오름결장, 내림결장)로 나누어 2.5% WGA-HRP $30{\mu}l$와 0.5% CTB $20{\mu}l$를 장막과 근육층 사이의 4부위에 나누어 주입하였다. 그 후 48-96시간의 생존시간이 경과한 후 뇌줄기, 척수신경절과 미주신경절에서의 감각신경섬유와 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를 면역조직화학 염색법과 HRP 조직화학 기법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WGA-HRP에 표지된 감각신경섬유는 위와 맹장에서만 관찰되었으며, CTB에 표지된 감각신경섬유는 복강내장의 모든 장기에서 관찰되었다. 2.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섬유는 뇌줄기내 좌우 고립로핵의 교질부, 교질부의 등쪽내측부, 교차연결부, 내측부, 넷째뇌실벽, 맨아래구역의 앞쪽경계 및 중심관의 등쪽 정중선인 교차연결부에 국소적으로 강하게 표지되었다. 3. 척수신경절에서 위 (stomach)에 분포하는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관계없이 $T_2$에서 $L_1$까지 여러 신경절에 표지되었으며 이 중 좌우 $T_{8-9}$부위에 가장 많이 표지되었다. 4. 십이지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 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에 표지되었으나 다른 장기에 비하여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의 수는 적었다. 5. 공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에 표지되었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 $T_{12}$ 부위였으며, 우측은 $T_{13}$ 부위에 표지되었다. 6. 회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에서 $T_{11}$부위였고, 우측에서 $L_1$부위였다. 7. 맹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 세포체는 좌측은 $T_7-L_2$부위였으며 우측은 $T_6-L_1$부위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11}$이었으며, 우측은 $T_{11-12}$에 표지되었다. 8. 오름결장에서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측은 $T_7-L_2$부위에 표지되었고 우측은 $T_9-L_4$부위에 표지되어 좌우측 표지부위의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9$이었으며, 우측은 $T_{11}$에 표지되었다. 9. 내림결장에서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 세포체는 좌측은 $T_9-L_2$부위에 표지되었고 우측은 $T_6-L_2$부위에 표지되었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13}$이었으며, 우측은 $L_1$에 표지되었다. 10.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좌우 미주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위에서 가장 많이 표지되었으며 위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에서는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의 수는 위에 표지된 수보다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의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섬유의 뇌줄기내 표지영역은 좌우 고립로 핵의 교질부, 교질부의 등쪽내측부, 교차연결부, 내측부, 넷째뇌실벽, 맨아래구역의 앞쪽경계 및 중심관의 등쪽 정중선인 교차연결부였으며, 감각신경세포체의 표지영역은 미주신경절과 척수신경절 $T_2-L_4$ 부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위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들에서는 $T_6-L_4$부위에 표지되었으나 소장에서 대장으로 갈수록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원위부 가슴신경절에서 근위부 허리신경절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 박순애;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1-805
    • /
    • 2015
  •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중독 경험 및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조사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 박경진;천석조;박기환;홍종해;김정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9-145
    • /
    • 2003
  • 본 조사는 한국 소비자들의 식중독 경험여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및 식품안전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있어서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11월 일반성인 총 1,040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4%는 연 1회 이상 식중독을 경험하고 있으며, 0.3%는 식중독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장소로는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 등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식품으로는 고기 등의 육류 및 가공품이 41.7%, 생선 등 어패류 및 가공품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에서는 콜레라(75.5%), 비브리오(73%), 이질(65.5%), 장티푸스(51.8%), 살모넬라증(47.5%)의 순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스테리아증(9.9%), 브루셀라중(8.3%)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모르거나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모델로 구분 즉, Model 1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Model 2는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Model 3은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모델들은 조사자의 일반사항에서 나타난 변수와 식중독 경험여부 별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Model 1)은 여러 변수 중 교육수준(OR 0.536), 결혼상태(OR 0.529)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식중독 경험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OR 1.714).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Model 2)에서는 교육수준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OR 0.702),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Model 3)에서는 교육수준(OR 0.816)과 성별(OR 0.650)이 중요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식중독 경험이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실제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