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cystokinin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2초

산약(山藥) 물 추출물의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Dioscorea batas Decaisne water extract on acute pancreatitis)

  • 권빛나;배기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8
    • /
    • 2022
  • Objectives : Dioscorea batas Decaisne (DB) has been known to be good for the digestive system on Eastern Asia.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 of DB on acute pancreatitis (AP) has not been studied.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DB water extract on caerulein-induced AP. Methods : To measure the protective effect of DB on AP, Mice were injected with cholecystokinin analogue caerulein (50 ㎍/kg) hourly for 6 times. DB water extract (200 or 400 mg/kg) or salin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orally 1 h before the first injection of caerulein. The mice were sacrificed at 6 h after the last injection of caerulein. The pancreas tissues and serum samples were immediately taken for further analysis. Results : Administration of DB water extract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increase of pancreas weight/body weight ratio, pancreatic histological damage. And the rise of serum lipase level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DB water extract treatment group during AP in mice. However administration of DB water extract did not show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amylase level. Also, mRNA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𝛼 but not IL-1𝛽 were inhibited by administration of DB water extract. Conclusions : Taken together, we found that administration of DB water extract ameliorates the severity of caerulein-induced AP, which suggests the potential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on AP.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용 고효율 곤충배합사료 양식현장적용 평가 (Effects of Worm-based Extruded Pellets on Growth Performanc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Commercial Aquafarms)

  • 허상우;이진혁;이승한;정성목;김강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33-540
    • /
    • 2022
  • We evaluated a worm-based extruded pellet diet with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arvae (BSF) meal and BSF oil fo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rough field feeding experiments at a commercial aquafarm. We prepared two experimental diets by replacing fish meal and fish oil with BSF meal and BSF oil (BEP-1, BSF meal 7%, BSF oil 1%) and (BEP-2, BSF oil 2%), respectively. We prepared raw-fish based moist pellets (MP) for comparison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diets. We distributed the olive flounder (220±6.29 g) in square (10 m×10 m×1 m) concrete, 100 ton tanks at a density of 1,600 fish per tank (n=3) in triplicate for each dietary treatment. We fed the diets to the fish to apparent satiation for 7 months.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we found no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growth performance, survival, or feed utilization. None of the diet groups showed any changes in either hematological or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The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intestine showed that the goblet cell number and cholecystokinin-producing cell activity increased in the fish fed the BEP diet compared with the those of the fish fed the MP die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BSF meal and oil can be used for olive flounder without compromising growth or, hematological and histological parameters.

토복령(土茯苓) 물 추출물의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on acute pancreatitis)

  • 김명진;박성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5-52
    • /
    • 2018
  • Objectives : Smilacis Glabrae Rhizoma (SGR)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ing diseases related to inflammation and cancer.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 of SGR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study of acute pancreatitis (AP).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SGR water extract on cerulein-induced AP. Methods : AP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upramaximal concentrations of stable cholecystokinin analogue cerulein ($50{\mu}g/kg$) 6 times at intervals of one hour in mice. SGR water extract (0.01, 0.05, or 0.1 g/kg) was administrated intraperitoneally 1 h prior to the first injection of cerulein. The mice were sacrificed at 6 h after the final injection of cerulein. Pancreas and lung were rapidly removed for histochemical examination and myeloperoxidase (MPO) assay. In addi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performed to examine mRNA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IL)-6, $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 Results : Administration of SGR water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pancreatic weight to body weight ratio. In addition, SGR treatment inhibited the histological damages and increase of MPO activity in both pancreas and lung during AP. Also, mRNA levels of IL-6 but not $IL-1{\beta}$and $TNF-{\alpha}$ were inhibited by SGR water extract against AP. Conclusion : Our results revealed that pre-treatment of SGR water extract reduces the severity of cerulein-induced A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hat SGR could be used as a drug or agent to prevent AP.

정신질환에 있어서의 신경펩타이드 연구 - Endorphin과 cholecystokinin을 중심으로 - (Neuropeptides in Clinical Psychiatric Research : Endorphins and Cholecystokinins)

  • 김영훈;심주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34-45
    • /
    • 1998
  •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과 신경펩타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합성과정에 있다. 시냅스에서의 활동과 비활성화 과정에서도 양자의 차이는 뚜렷하다.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은 매우 단시간 내에 일어나며, 대개는 재흡수기전을 통해 활동이 정지되고, 일부가 효소반응에 의해 비활성물질로 대사된다. 또한 이들은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들과 마찬가지로 presynaptic peptidergic receptor를 갖는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신경펩타이드 분비를 조절하는 자가수용체도 갖고 있다. 신경펩타이드의 시냅스전 세포로의 재흡수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신경펩타이드들도 시냅스 후막의 수용체로 확산되어 이차전령, 삼차전령을 통해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단가아민 신경전달 물질과 동일하다. 본래 신경세포는 자극에 의해 glycoproteins, enzymes, inorganic ions, metal ions, phospholipids, purines, amines, peptides 등의 물질들을 함께 분비한다. 이들 중에는 신경전달물질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도 있으나, 대다수는 기능이 없다. 때로는 수 종류의 신경전달물질들과 신경신경펩타이드들이 한가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관여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현재 임상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두가지 신경펩타이드들에 대해 그 신경생물학적 측면과 임상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알코올의 신경생리에 있어 가장 흥미있는 것은 아마 강화기전일 것이다. 내인성 opioid계 물질들이 알코올의 강화효과와 관계가 있다는 근거들은 많다. Naltrexone은 수용체 차단을 통해 이러한 강화기전을 차단함으로서 음주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Opioid reinforcement는 변연계의 도파민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알코올의 강화에 도파민이 관여한다는 사실과도 관계된다. 이를 도파민-알코올 강화 가설이라 한다. 기타 세로토닌도 알코올의 강화를 중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5-HT_3$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면 음주욕이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전달물질계간에는 중요한 상호작용이 있다. 알코올이 측중격핵에서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기전에도 여러 신경전달계의 상호작용이 관여된다. 이의 기전에 생리적 수준에서 관여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1) opiates, (2) serotonin, (3) amino acids, (4) 기타 neuropeptide들을 들 수 있다. Opiate 수용체 길항제들은 측중격핵에서 도파민 분비를 차단하고, $5-HT_3$ 수용체 효현제는 이를 자극한다. 이들을 총체적으로 종합하면, 도파민, 세로토닌, opiate 수용체들을 조절하면 알콜리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CCK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밝혀지고 있으며, 진통 및 morphine에 대한 내성형성, 포만, 기억 등의 정신병리에 일부 관여하나, 역시 최근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CCK계가 불안의 병리에 관여한다는 소견이다. 이 분야의 연구에 기폭제가 된 것은 CCK-4가 공황발작을 유발한다는 임상 연구결과로부터 비롯된다. 이에 의한 불안반응은 자연유발된 공황발작과 거의 같으며, 정상인과 공황장애 환자를 구별하는 민감도를 갖고 있다. 이 CCK-4에 의해 유발된 공황발작은 $CCK_B$ 길항제들에 의해 차단된다. 즉 공황불안의 기전에 $CCK_B$ 수용체가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황발작이 $CCK_B$ 수용체의 민감도 결함으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반응은 imipramine과 benzodiazepine계 약물들에 의해 차단됨이 알려져 있다. 이 공황 불안의 형성 기전에 다른 신경전달계와의 상호작용이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benzodiazepine계와의 상호작용 및 5-HT계와의 상호작용을 거론하였다. 향후 CCK 길항제들이 항불안제로 개발될 전망이다. 이들은 내성형성, 금단증상, 진정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므로 새로운 항불안제로 기대된다.

  • PDF

몽골리안 저빌(Meriones unguiculatus)의 위장관 내분비 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in the Mongolian Gerbils, Meriones unguiculatus)

  • 이재현;이형식;구세광;박기대;김길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53-660
    • /
    • 2000
  • 몽골리안 저빌(Meriones unguiculatus)의 위장관을 분문부, 기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결장 및 직장의 9부분으로 구분하고 이들 부위에서 cholecystokinin(CCK)-8, gastrin, secretin, pancreatic polypeptide(PP), somatostatin, serotonin, glucagon 및 insulin 등 8종의 항혈청에 대한 내분비 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빈도를 면역조직화화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CCK-8, gastrin, somatostatin 및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은 위 부위에서는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주로 위샘(gastric gland) 또는 주세포와 벽세포 사이에서 관찰되었고, 장 부위에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면역반응세포들이 공장의 장샘(intestinal gland)에서 관찰되었으며, 타원형에서 방추형의 세포들이 장상피세포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CCK-8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부와 십이지장에 국한되어 다수 또는 소수 관찰되었으며, gastrin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부에 국한되어 다수 관찰되었다.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들 역시 gastrin 변역반응세포들과 유사하게 유문부에 국한되어 중등도의 출현빈도를 나타내었고,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은 분문부와 맹장을 제외한 위장관 전부위에 걸쳐 중등도 또는 다수 관찰되었으나, secretin, PP, glucagon 및 insulin 면역반응세포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몽골리안 저빌의 위장관에 존재하는 내분비 세포들의 종류 및 출현빈도는 다른 설치류에 비해 매우 적거나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들 내분비 세포들의 출현부위 역시 다른 설치류에서와는 달리 일부 부분에 국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몰약(沒藥) 물 추출물의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ommiphora myrrha on acute pancreatitis)

  • 김동구;배기상;최선복;조일주;신준연;이성곤;김명진;김민준;추갑철;송호준;박성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20
    • /
    • 2014
  • Objectives : Commiphora myrrha (CM)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ing disease such as obesity, hyperlipidemia, atherosclerosis, diabetes and osteoarthritis.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s of CM on acute pancreatitis (AP) has not been reported.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CM water extract on cerulein-induced AP. Methods : AP was induced in mice via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upramaximal concentrations of the stable cholecystokinin analogue cerulein ($50{\mu}g/kg$) every hour for 6 times. Water extract of CM (0.1, 0.2, or 0.5 g/kg) was administrated intraperitoneally 1 h prior to the first injection of cerulein. The mice were killed at 6 h after the final cerulein injection. Pancreas was rapidly removed for morphologic and histochemical examination, myeloperoxidase (MPO) assay. Blood samples were taken to determine serum amylase and lipase activities. Results : Administration of CM significantly inhibited pancreatic weight/body weight ratio, pancreas histological injury. And CM administration inhibited the serum digestive enzyme elevation such as amylase and lipase on cerulein-induced pancreatitis. In addition, Pancreas MPO activity which indicates neutrophil infiltration was inhibited by CM extract on cerulein-induced pancreatitis. Conclusions : In conclusion, our results could suggest that pre-treatment of CM reduces the severity of cerulein-induced AP. Therefore, CM could be used as a protective agent against AP. Also, this study could give a clinical basis that CM could be a drug or agent to prevent AP.

Effects of feeding corn naturally contaminated with aflatoxin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serum hormones levels and gene expression of Na+, K+-ATPase in ducklings

  • Abbasi, Farzana;Liu, Jingbo;Zhang, Hongfu;Shen, Xiaoyun;Luo, Xueg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91-97
    • /
    • 2018
  • Objective: A 14-d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ing corn naturally contaminated with aflatoxin $B_1$ ($AFB_1$)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serum hormones levels and gene expression of $Na^+$, $K^+-ATPase$ in ducklings. Methods: A total of 704 ducklings were blocked on the basis of sex and body weight (BW), and then allocated randomly to one of the following two treatments: i) CON, basal diet and ii) $AFB_1$, diets with 100% of normal corn replaced with $AFB_1$ contaminated corn. There were 22 pens per treatment and 16 birds per pen. The concentration of $AFB_1$ was 195.4 and $124.35{\mu}g/kg$ in the contaminated corn and $AFB_1$ diet, respectively. Results: The $AFB_1$ decreased average daily gain, average daily feed intake, d 7 BW, final BW in the whole trial,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during d 8 to 14 and d 1 to 14 by 10% to 47% (p<0.05), while FCR during d 1 to 7 was increased (p<0.05). $AFB_1$ did not affect mortality to 7 d of age, and then increased to 5.8% from 8 to 14 d of age (p<0.01). Apparent ileal gross energy digestibility was reduced by $AFB_1$, whereas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and amino acid was improved (p<0.01). Feeding $AFB_1$ diets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 of lept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s-1 (IGF-1) (p<0.05), but had no effect on neuropeptide Y, ghrelin, cholecystokinin-8 or insulin (p>0.05). Dietary treatments did not influence relative expression of jejunal $Na^+$, $K^+-ATPase$ gene (p>0.05). Conclusion: Taken together, feeding corn naturally contaminated with $AFB_1$ reduced growth performance, improved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nd affected serum leptin and IGF-1 in ducklings from d 1 to 14.

한국산 뱀목 위장관 점막이 장내분비세포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Enteroendocrin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the Korean Snakes)

  • 진원주;조운복;최월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6-296
    • /
    • 1990
  • 우리 나라에 서식하는 뱀목 중 뱀과의 유혈목이, 능구렁이 및 무자치와 살모사과의 살모사, 까치살모사 및 쇠살모사를 재료로 하여 그 위장관에 출현하는 장내분비세포들 중 bombesin, CCK-8, gastrin, glucagon, insulin, PP, serotonin, somatostatin, substance P 및 VIP 등 10종류의 세포를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하에서 세포의 분포, 출현빈도, 모양 및 특징 등을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능구렁이, 유혈목이, 무자치, 까치살모사 및 쇠살모사의 위장관 점막상피에서는 CCK-8, gastrin, PP 및 serotonin 등 4종류의 분비세포가 관찰되었으며 동물의 종 및 위장관 각 부위별에 따라 내분비세포의 다과의 차이는 다소 있었다. 2. 살모사의 위장관 점막상피에서는 CCK-8, gastrin 및 serotonin 등 3종류의 분비세포가 관찰되었다. CCK-8, gastrin 및 serotonin 세포는 위장관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며 gastrin세포는 유문부와 소장 점막에 출현하였으며 각 부위에 따른 수의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3. 위장관 점막상피에서 관찰된 장내분비세포들의 모양은 위에서는 추체형 및 난원형을 띠었고 폐쇄형이었으며 소장 및 대장 전부에서는 주로 방추형을 띤 개구형이었으나 소수는 폐쇄형도 있었다. 대장 후부 및 직장에서는 난원형의 폐쇄형이었다. 4. 본 실험에서 사용된 10종류의 항혈청 중에서 bombesin, glucagon, insulin, somatostatin, subsatance P 및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항체 등에 양성반응을 보인 장내분비세포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흰쥐에서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된 위염에 대한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Litsea japonica fruit flesh extract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tis in rats)

  • 박성환;박인재;윤지현;최구희;김현정;서윤희;조주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17-10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흰쥐모델에서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투여그룹(LJF-HE-L, LJF-HE-M, LJF-HE-H)에서 염증길이와 위액량이 control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위액량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로 위산분비가 억제되어 공격인자 작용이 약해지는 원인과 펩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원인으로 인하여 위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위산 분비 억제 기능은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해 발현되는 CCK-2r와 H2r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한 위산 생성 단계를 조절하여, proton pump인 H+/K+ ATPase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며, 그 결과로 인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리고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은 점액을 증가시켜 위 점막을 보호하는 PGE2의 함량을 높여, 위 점막 보호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불어 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와 IL-$1{\beta}$의 생성을 낮춰주어 염증 매개반응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이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CR 마우스 위장관 내분비 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 빈도 :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of the ICR mice: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 함태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3-132
    • /
    • 2001
  • ICR 마우스 위장관 8개 부위(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결장 및 직장)에서 위장관내분비 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상대적 빈도를 somatostain, serotonin, glucagon, chloecystokinin(CCK)-8, secretin, pancreatic polypeptide(PP) 및 gastrin 등 총 7종류의 항혈청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던 결과 somatostain, serotonin, glucagon, CCK-8, secretin, 및 gastrin 면역반응세포의 7종류의 내분비세포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장관부위에서는 주로 타원형 또는 방추형의 개방형 세포(open-typed cell)들이 관찰된 반면 위저부와 유문부에서는 주로 원형의 폐쇄형 세포(close-typed cell)을이 관찰되었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의 부위별 분포는 위장관 각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관찰되었다. Somatostain 면역반응세포들은 대장을 제외한 위장관에서 전 부위에서 관찰되었고,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은 전 위장관에 걸쳐 관찰되었으며, ICR 마우스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저부와 직장에 국한되어 관찰되었으며, 각각 중등도 및 소수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CCK-8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부, 십이지장 및 회장에서 각각 다수, 중등도 및 극소수의 빈도로 관찰되었다. 한편 secretin 면역반응세포들은 각각 소수 및 극소수의 빈도로 십이지장과 회장에 국한되어 출현하였고, gastrin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부에 국한되어 다수 관찰되었다. 그러나 PP 면역반응세포들은 전 위장관에 걸쳐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ICR 마우스의 위장관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상대적 빈도는 다른 포유동물과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일부 특이한 양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