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toid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천운산층내 고알루미나광석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Mineralogical Study on High Aluminous meta-Claystone form the Chununsan Formation)

  • 이동진;이성록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8-62
    • /
    • 1988
  • The high aluminous meta-claystones are thinly bedded to metasedimentary rocks which belong to Chununsan Formation. Major high aluminous minerals in the ores ae andalusite, kaolinite and pyrophyllite. The other significant constituents are sericite, chloritoid and carbonaceous material, etc. Ores can be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mineral compositions; andalusite- kolinite-sericite, andalusite-kaolinite-chloritoid, kaolinite-sericite-pyrophyllite, and kaolinite-chloritoid-sericite ore. The formation of ore minerals are resulted from sedimentary, diagenetic, metamorphic and hydrothermal processes. Andalusite are formed by low-grade metamorphism under the conditions of $400~500^{\circ}C$ and below 4kb, from the view-point of mineral stability field, illite-mica crystallinity and graphitization degree of the carbonaceous material. Andalusites are partly altered to kaolinite, forming major mineral phase in the ores.

  • PDF

고내화도(高耐火度) 광석광물(鑛石鑛物)의 분포(分布)와 성인(成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전남지역(全南地域)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Genesis and Distribution of High Refractory Ore Minerals in Jeonnam Province, Korea)

  • 박홍봉;권숙문;박배영;신상은
    • 자원환경지질
    • /
    • 제15권2호
    • /
    • pp.89-102
    • /
    • 1982
  • Several mines in Jeonnam produce the ores of having high SK number of refractoriness. Among those for 5 mines,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ahip between SK number and mineral composition of the ore, and with the genesis of the deposits. 1. Byok-Song and Chon-Un Mine: Mineral compositions of the ores are chiastolite, chloritoid(monoclinic), kaolinite, sericite, diaspore, corundum, and quartz. The ores having SK number of 36 or 37, consist chiefly of chiastolite and diaspore and a little amount of kaolinite, sericite, corundum, chloritoid, and quartz. The ores having SK number of 33 or 34 consist of chloritoid, sericite, kaolinite, chiastolite, and diaspore.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chloritoid and sericite, and decreasing the amount of diaspore and chiastolite, the SK number of the ores decreases. The deposit, originally high alumina-bearing shale of Chon-Un San formation, seems to be formed by contact metamorphism(forming of chiastolite), regional metamorphism(forming of monoclinic chloritoid), and hydrothermal replacement(forming of large crystal of diaspore veinlets). 2. Song-Sauk Mine: Mineral compositions of the ores are chiefly pyrophyllite and quartz and a little amount of kaolinite, dickite, diaspore, and pyrite. Many spherical inclusions containing in pyrophyllite deposits, consist chiefly of diaspore and kaolinite, The inclusions have the high SK number of 38. Amount of spherical inclusions is about 5 % to the whole pyrophyllite ores. The SK number of other pyrophyllite ore is less than 32. Quartz and pyrite are chief minerals lowering the SK number of the ore. The deposits have been formed by hydrothermal processes by replacing the siliceous tuff of Mesozoic age. Spherical inclusions consisting of diaspore and kaolinite, show the selective replacement of hydrothermal solutions to the materials of feldspar in tuff. 3. Seung-San Mine: Mineral compositions of the ores are chiefly kaolinite, dickite, diaspore, and quartz. But some part of the mine consists of alunite deposits. The ores having SK number of 35 or higher consist chiefly of kaolinite and diaspore and a little amount of quartz.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quartz and decresing the amount of diaspore, the SK number of the ore decreases. The deposits have been formed by hydrothermal processes by replacing the siliceous tuff and quartz porphyry. 4. Wan-Do Mine: Mineral compositions of the ores are chiefly pyrophyllite and quartz. But some ore contains a little amount of diaspore, kaolinite, pyrite, and chloritoid. The ores having high SK number of 36 consist chiefly of diaspore and pyrophyllite. Pyrophyllite ore has a SK number of 32 or lower. Amount of quartz and pyrite decreases the SK number of ores in this mine. Rhyolite was replaced by the action of hydrothermal solutions forming the pyrophyllite deposits.

  • PDF

문경지역 사동층, 고방산층 셰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Mineralogical Study on Shales of the Sadong and Gobangsan Formation, Munkyung Area)

  • 최승현;문향란;이영부;이정후;김영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
    • /
    • 2012
  • 경북 문경지역의 사동층과 고방산층 셰일에서 산출되는 클로리토이드와 white mica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사동층과 고방산층이 경험한 변성환경을 규명하였다. 사동층 셰일에서는 두 종류의 white mica가 산출되는데, 백운모 성분이 우세한 white mica ($Mu_{76.1}Pa_{18.1}Ma_{5.8}$)와 마가라이트가 우세한 white mica가 산출된다($Ma_{52.9}Mu_{31.6}Pa_{15.5}$). 이들 white mica는 각각 Na 성분이 풍부한 일라이트의 속성작용과 일라이트에서 분리된 파이로필라이트가 방해석과 반응하여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방산층 셰일의 경우, 클로리토이드가 백운모, 파이로필라이트, 녹니석과 함께 산출되며, 클로리토이드는 파이로필라이트와 녹니석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White mica가 $2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생성되는 점과 클로리토이드-파이로필라이트-녹니석 조합이 $280^{\circ}C$ 이하에서 안정되는 점을 감안할 때, 문경지역 사동층과 고방산층은 저온의 변성작용(anchizone)을 경험한 것으로 판단된다.

문경지역에 분포하는 평안누층군의 중온-저압 변성작용과 지구조 환경 해석 (Medium Temperature and Lower Pressure Metamorphism and Tectonic Setting of the Pyeongan Supergroup in the Munkyeong Area)

  • 김형수;서봉균;이기욱
    • 암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1-324
    • /
    • 2014
  • 문경탄전 주변에 분포하는 평안누층군의 홍점층은 주로 변성사질암과 변성이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성이질암은 대부분 점판암으로 산출되며, 경녹니석+녹니석+백운모 그리고 홍주석+흑운모+녹니석+백운모의 광물조합을 보인다. 경녹니석과 홍주석은 반상변정으로 산출되고, 세립의 운모류는 기질을 구성하고 있다. $MnO-K_2O-FeO-MgO-Al_2O_3-SiO_2-H_2O(MnKFMASH)$ 계에서 작성한 온도-압력 가상평형도과 경녹니석과 녹니석의 Fe/(Fe+Mg) 등성분도선의 교차영역을 통해 구한 이 변성광물 조합의 온도-압력 조건은 $510-520^{\circ}C$, 3.0-3.5 kbar이다. 이 중온-저압의 변성작용은 매몰 변성작용의 지온 구배율 보다 높은 지온 구배율(약 $40-45^{\circ}C/km$)환경 하에서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홍점층에서 얻은 가장 젊은 쇄설성 저어콘(SHRIMP U-Pb 연령: 약 327-310 Ma)은 진동구조와 높은 Th/U 비(0.60-1.12)를 보인다. 기존의 태백산분지의 만항층의 퇴적학적, 고생물학적, 지구연대학적 연구결과와 이번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문경지역 홍점층의 퇴적작용은 강릉지역의 만항층과 유사하게 기원지의 화성활동과 거의 동시기에 발생했음을 지시한다. 따라서 평안누층군은 석탄기-폐름기 동안 능동적 대륙 연변부의 화산호 주변 환경 하에서 퇴적작용 일어났고, 또한 기원지에서는 화성활동이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Petrogenetic Significance of the New Petrogenetic Grid (2000) Compared with Synthetic System and Theoretically Computed Grid

  • Ahn, Kun-Sang;Nakamura, Yasuo;Shin, In-Hy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5-111
    • /
    • 2002
  • The observation of the new biotite isograd (chlorite + chloritoid = andalusite + biotite) in the Mungyong coal field requires the modification of Harte and Hudson's (1979) metapelite grid which eliminates the stability field of staurolite + cordierite assemblages. The newly proposed metapelite grid by Ahn and Nakamura (2000) can define more properly the isograd reaction observed from nature. We discuss first topological interrelations between synthetic system (FASHO-, KFASHO-, KFMASH system) on an isobaric section at 2kbar, where phase relations are well constrained. The following discussion is concentrated on the topological relations between stable reactions. At the last, we discuss the petrogenetic significance of the Ahn's petrogenetic grid compared with theoretically computed grids. Ahn's petrogenetic grid is consistent with synthetic and natural system, and is one of the excellent example of KFMASH approximation in metapelite.

장군광산 주변의 변성이질암에서의 누진변성반응 계열 (Prograde Reaction Series in Metapelites around the Janggun Mine)

  • 안건상;정현희;이현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26권4호
    • /
    • pp.473-487
    • /
    • 1993
  • The Janggun mine area is occupied by the Proterzoic and the Paleozoic meta-pelites, which are intruded by the Jurassic Chunyang granite. The metamorphic terrain is divided into four zones of progressive metamorphism on the basis of mineral assemblages. The zones are chlorite zone, staurolite zone, andalusite zone, sillimanite zone ascending order. Boundary lines between the zones resemble outline of the Chunyang granite mass. Isograd reactions are chlorite+chloritoid+muscovite=staurolite+biotite+quartz+water, staurolite+chlorite+muscovite+quartz=andalusite+biotite+water, and staurolite+muscovite+quartz=andalusite+biotite+garnet+water between the chlorite zone and the staurolite zone, the staurolite zone and the andalusite zone, and the andalusite zone and the sillimanite zone, repectively. They are univariant reactions in KFMASH component system. Metamorphic conditions estimated from garnet-biotite geothermometers and phase equlibria are $530^{\circ}C$ and lower than 4 kb.

  • PDF

화순지역 천운산층 중의 점토암의 조직과 그 성인적 의미 (Textures of Claystones and Their Genetic Significances in the Cheonunsan Formation of the Hwasoon Area)

  • 김수진;추창호;이동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1998
  • Textures of claystones of the Cheonunsan Formation in the Hwasoon area have been studied using optical microscope and electron microprobe. Microscopic images were observed under the optical microscope using the transmitted polarizing light from thin sections and under the electron microprobe using the back-scattered electron beam from the polished sections. Identification of minerals were made using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chemical analysis by electon microprobe. Textural analyses show that the original sedimentary claystones rich in aluminium were subjected to metamorphism by which they changed to the metamorphosed claystone consisting mainly of chloritoid, quartz, andalusite and illite. Later intensive hydrothermal kaolinization of this metamorhosed claystone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high-aluminous claystones rich in kaolinite exhibiting various complicated replacement textures.

  • PDF

화순산 경질점토의 정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Refinement of Hwasun Flint Clay)

  • 박금철;장영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69-776
    • /
    • 1990
  • This study deals with the refinement of Hwasun flint clay by grinding, classifying, magnetic separation and acid treatment in sequence. Results are as follows ; 1. Fine kaolinite particles of median size in the range of 4.8 and 1.7$\mu\textrm{m}$ was collected, with the yield of 87.4% by dry grinding and classifying process. 2. It is proven that the iron bearing are of Hwasun flint clay is mainly consisted of chloritoid and iron rich muscovite. 3. As the results of the 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ion, the bleaching and iron removal degree of the dry grinding and classifying sample was 4-58% and 5-62% respectively. 4. As the results of the acid treatment, bleaching and weight loss degree of the dry grinding and classifying sample was reduced to 16-82% and 6-29% respectively.

  • PDF

장군봉 일대 선캠브라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다변성작용-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 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Poly-metamorphism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ry rocks in Janggunbong area, Korea-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 김기영;김형식;오창환;박찬수;강지훈;류영복
    • 암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8-187
    • /
    • 1996
  • 연구지역인 장군봉-삼근리 일대 선캠브리아대의 암석들에는 고생대 이전에 적어도 세 차례의 광역 변성 작용이 있었다. 연구 지역이 고생대 변성 퇴적암류는 고생대 이후 세 차례의 변성 작용을 받았으며 그 첫 번째는 저압형의 광역 변성 작용이고 두 번째는 춘양 화강암이 관입에의해 형성된 접촉 변성 작용이며 세 번째는 장군봉 남쪽의 드러스트에 의해 중압형 변성 작용이다. 그 첫 번째의 변성 작용은 본 지역을 우세하게 지배하는 변성 분대를 형성시켰으며 변성 정도가 남쪽에서부터 북쪽으로 클로리토이드대, 십자석대, 석류석대, 십자석+흑운모대, 홍주석+흑운모대의 순서로 증가한다. 고생대 이후 두 번째의 접촉 변성 작용은 춘양 화강암 주변의 선캠브리아대의 태백산 편암 복합체와 고생대 변성 퇴적암류에 동시에 영향을 주었으며 접촉부 주위에 매우 좁게 한정되어 인지된다. 세 번째 있었던 변성 작용은 남정석을 형성시켰으며 장군봉 남쪽에 동서 방향으로 발달한 드러스트 주변 지역에 한정되어 영향을 미쳤다.

  • PDF

일라이트-백운모 전이과정과 십자석 생성과의 관계: 부여지역 백운사층 셰일에 대한 연구 (Generation of the Staurolite Based on a Relation Between Illite-Muscovite Transition: A Study on the Shale of the Baekunsa Formation, Buyeo)

  • 최승현;문향란;이영부;이정후;유장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5-64
    • /
    • 2013
  • 충남 부여군 홍산면 일대의 백운사층 셰일에서 산출되는 운모류 광물(혼합상 백운모)과 십자석에 대한 EPMA 연구를 수행하여, 혼합상 백운모와 십자석 생성 과정과의 관계 및 백운사층 셰일의 변성환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암석에서 산출되는 운모류 광물의 평균 화학조성은 $(K_{1.11}Na_{0.26}Ca_{0.04})(Al_{3.93}Fe_{0.21}Mg_{0.07})(Si_{6.08}Al_{1.92})O_{20}(OH)_4$로 층간 양이온 함량이 낮으며(1.41) 팔면체 자리에 Fe, Mg를 함유한 일라이트, 즉 백운모/파이로필라이트/녹니석 혼합상($Mu_{70.5}Py_{23.5}Ch_{6.0}$)의 화학조성을 보인다. 한편 십자석은 암석 내에서 혼합상 백운모, 단일 결정의 파이로필라이트 및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과 함께 산출되는데, 이들 중 파이로필라이트가 십자석 생성에 참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혼합상 백운모에서 분리된 파이로필라이트와 녹니석이 반응하여 클로리토이드를 형성한 이후, 변성도가 증가하면서 파이로필라이트와 클로리토이드가 반응하여 십자석이 생성된 것으로 보이며, 이때 클로리토이드는 모두 소모되어 암석 내에서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일라이트가 백운모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혼합상 백운모는 십자석 생성에 필요한 광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반응이 $300^{\circ}C$ 이상에서 일어나는 점과 혼합상 백운모에서 분리된 파이로필라이트가 약 $350^{\circ}C$에서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로 전이되는 점을 감안할 때, 백운사층 셰일은 $300{\sim}350^{\circ}C$의 변성환경을 경험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