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ne ($Cl_2$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34초

국내 주요 수계 내 원생동물의 분석과 매질의 영향 (Cryptosporidium and Giardia (oo)cysts in Korean Rivers and the Effect of Sample Matrix)

  • 정현미;오덕화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1-276
    • /
    • 2006
  • The outbreak cases of Cryptosporidium or Giardia from drinking water in abroad have drawn attentions on the public health. It is well known that Cryptosporidium is the most resistant organism against chlorine disinfection. To guesstimate the levels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Korean surface water, 1~2 samples from 22 drinking water sources in four Korean major rivers of Han, Keum, Nakdong, and Youngsan were monitored. In addition, two sites in Kyunganchon, a contaminated river were monitored for comparison. In source waters, detection rates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were 15% (6/39) and 21% (5/24) with the range of 1~3 oocysts/10 L and 1~6 cysts/10 L, respectively. In Kyunganchon, they were 60% (6/10) and 70% (7/10) in the range of 1~9 oocysts/10 L and 10~72 cysts/10 L, respectively. When one of the source waters in Han river was monitored monthly, Cryptosporidium were found mostly in cold season. Matrix of the samples gave influence on the recoveries of the spiked protozoa. The recoveries of both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creased in the samples of Kyunganchon, known as contaminated area. However, protozoan recovery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 with turbidity, the index of matrix contamination, which implies that there are additional unveiled features of matrix affecting the recoveries of the protozoa. The protozoan distribution in Kyunganch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Cl. perfringens, anaerobic and spore forming indicator bacteria of fecal contamination by regression analysis, but not with turbidity, the general indicator of water quality.

Effects of Chronic Chitosan Salt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Plasma Component, and Lipid Profile in Healthy Male and Female Adults

  • Kim, Hag-Lyeol;Son, Yeon-Hee;Kim, Seon-Jae;Kim, Du-Woon;Ma, Seung-Jin;Cho, Geon-Sik;Kim, In-Cheol;Ham, Kyung-Si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49-254
    • /
    • 2007
  • The effects of chronic chitosan salt supplementation on the systolic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healthy male and female adult. Chitosan salt was conducted by measuring various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body composition, plasma $Na^+$, $Cl^-$, lipid, and lipoproteins profiles,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activity. Chitosan salt supplement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supplement in body composition variables and in SBP and DBP in either male or female. Plasma sodium and chlorine concentration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chitosan salt supplementa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enders. Plasma GOT and GPT activity no different before and after supplement in either male or female. GOT activity significantly higher for male before supplement (p<0.05), and 2 weeks after supplement (p<0.01). The lipid and lipoproteins profiles of plasma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chitosan salt supplementation in either male or female subjects. In summary, the chronic intake of chitosan salt did not affect the SBP or DBP, and posed no health risks.

Floating potential에서 유도결합 플라즈마 식각에 의한 GaAs(100) 표면의 형태 변화 (Morphological Evolution of GaAs(100) Surfaces dur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Etching at Floating Potential)

  • 이상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2
    • /
    • 2007
  • $BCl_3-Cl_2$ 플라즈마에서 이온 강화 식각 시 source power에 따른GaAs(100)의 표면 형태 변화를 연구하였다. Floating potential에서는 이온 포격(bombardment)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화학적 반응에 의존한 순수한 습식 식각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같이 <110> 능선과 {111} facet으로 이루어진 표면이 관찰 되었다. 이러한 형태는 식각 시작후 1분 이내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진다. 동일한 압력에서 source power를 변화시키면 식각된 표면이 다른 형태를 보인다. 100 W 정도의 낮은 source power에서는 결정학적 표면이 형성되지 않지만, 900 W 정도의 높은 source power에서는 결정학적 표면이 잘 형성된다. 이것은 건식 식각에 필수적인 여기된 반응성 물질의 양이 source power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높은 source power에서는 반응성 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고,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GaAs(100) 표면이 형성 된다. 반면에 반응성 물질이 부족할 경우에는 표면 형태는 sputtering에 의해 결정된다. Scaling theory에 기초한 표면의 통계적 분석 적용 시, 두개의 spatial exponent가 발견 되었다. 하나는 1 보다 작고 원자 수준의 표면형태 형성 기구에 의해 결정되고, 다른 하나는 1보다 크며 facet 형성 기구와 같이 큰 규모의 형태 형성 기구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녹두(Phaseolus aureus L.) 급여가 당뇨 유발 흰쥐의 혈당 및 지질성분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mprovemen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시우;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2-172
    • /
    • 2020
  • 녹두(Phaseolus aureus L.)가 당뇨 유발 흰쥐에 있어서 혈당 및 지질성분, 단백질, 전해질 농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식이를 섭취시킨 BD군, 기본 식이군에 5% 녹두 급여군(BM군), 당뇨 유발 실험군(BS군)과 BS군에 5% 녹두를 섭취시킨 실험군(SM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청 지질성분(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혈당 및 유리지방산(non 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농도와 동맥경화지수(atherosclerotic index, AI), 심혈관 위험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는 당뇨 유발군에서 여타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를 나타내었고(p<0.05), 5% 녹두 급여군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유발군인 BS군에 비해 5% 녹두를 첨가시킨 SM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농도 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혈청 단백질 농도에 있어서, 당뇨 유발군(BS군)에 5% 녹두를 급여(SM군)한 흰쥐의 혈청 알부민(albumin) 농도와 알부민/글로불린 비(albumin/globulin ratio, A/G 비)는 증가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나트륨(Na) 및 염소(Cl)는 SM군에서 BS군 보다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5% 녹두는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지역 비피압 충적 대수층에서의 흐름 및 분산(수치모형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the Flow and Dispersion in the Coastal Unconfined Aquife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umerical Model))

  • 김상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1호
    • /
    • pp.61-72
    • /
    • 2016
  • 얕은 비피압 충적층이 대부분인 우리나라 해안지역 대수층에서의 흐름과 분산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선형 Boussinesq 방정식에 대한 FDM 수치해석 모형을 개발하고, 이와 관련한 분석, 검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과정에서 비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복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치모형은 자유 지하수면과 바닥의 굴곡을 고려하는 평면 2차원 모형이므로, 결국 3차원 형태를 나타낸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흐름방정식의 경우 Lee (1989)가 제시한 급상승 혹은 급하강의 경계조건을 갖는 1차원 부정류 해석해와 비교하여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분산방정식의 mass balance 산출 결과는 10% 내외의 오차범위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모형은 비피압 대수층에서의 흐름 및 분산에 대한 평가 및 설계에 이용될 수 있다. 지하댐이 설치되어 있는 쌍천 하구역에서 본 모형을 적용하여 역해석에 의하여 관련 매개변수를 도출한 결과 투수계수는 90m/day, 종분산지수는 15 m로 산출되었다. 도출된 매개변수를 대상지역에 적용하여 갈수기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양수정은 7호 양수정을 제외하고는 서로 영향권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수층을 통한 해안유출량은 $3700m^3/day$로 산출되었다. 또한 지하댐이 없을 경우 양수정의 염소이온($cl^-$) 농도는 1000 mg/L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하댐의 역할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수처리에서 염소 처리시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Iodo-Trihalomethanes during Chlorin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 손희종;염훈식;김경아;송미정;최진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542-5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염소처리시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iodo-trihalomethanes, I-THMs)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염소를 소독제로 사용하여 염소 투입농도, 수온, pH, 브롬이온과 요오드이온 농도, 염소 접촉시간, 암모니아성 질소농도 및 용존 유기물질의 특성 변화에 따른 I-THMs 6종에 대한 생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중의 요오드이온과 브롬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I-THMs의 생성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염소 투입농도 및 수온에 따른 I-THMs 생성에서는 염소 투입농도 및 수온 상승에 비례하여 I-THMs 생성농도도 증가하다가 염소 투입농도 3 mg/L 및 수온 $30^{\circ}C$ 이상의 조건에서는 오히려 I-THMs 생성농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시료수의 pH가 상승할수록 I-THMs의 생성농도가 증가하였다. 수중의 $NH{_4}{^+}-N$ 농도가 증가할수록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된 클로라민에 의해 I-THMs 생성농도가 증가하였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휴믹산 조제수, 조류유래 유기물질 함유수 및 4개의 낙동강 시료수(고령, 매리, 하구 및 진천천)와 같은 7개의 시료수의 유기물질과 I-THMs와의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가 I-THMs와의 반응성($12.31{\mu}g/mg$)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휴믹산 시료수($4.96{\mu}g/mg$)로 나타났고, 조류유래 유기물질이 가장 낮은 결과($0.99{\mu}g/mg$)를 나타내었다. 또한, $SUVA_{254}$값과 I-THMs 반응성과의 상관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상관계수($r^2$)가 0.002로 매우 낮게 나타나 $SUVA_{254}$값과 I-THMs 생성과는 연관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수소첨가반응용 니켈 폐촉매의 활성재생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the Regeneration of Ni Catalyst for Hydrogenation (I))

  • 박포원;임기철;이호인
    • 공업화학
    • /
    • 제2권1호
    • /
    • pp.38-46
    • /
    • 1991
  • 탄소 침적과 황피독된 수소 첨가용 Ni 촉매의 재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탄소 침적된 촉매를 수소로 재생할 경우, 재생율은 높았으나 재생 시간이 길었으며 침적된 탄소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산소로 재생할 경우에는 재생시간이 단축되었고 대부분의 침적된 탄소를 제거시킬 수 있었으나 반드시 환원과정이 뒤따라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황에 완전히 피독된 촉매를 수소와 수증기만으로 재생 처리할 경우 활성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었으나, 산소가 포함된 재생처리에는 $650^{\circ}C$에서 활성이 60 %까지 회복되었으며, HCl이 첨가된 경우에는 특히 저온에서 활성이 45 %정도까지 회복되었다. 수증기는 촉매의 소결현상을 촉진시키나, 산소 또는 염소는 소결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tch Characteristics of CO/NH3 Plasma Gas for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in Pulsed-biased Inductively Coupled Plasmas

  • 양경채;전민환;염근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0-200
    • /
    • 2013
  • 기존 메모리 반도체에 비교해 빠른 재생속도와 높은 집적도, 비휘발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은 DRAM, flash memory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억 소자로서 CoFeB/MgO/CoFeB로 구성된 한 개의 MTJ (Magnetic Tunnel Junction)를 단위 메모리로 사용한다. 이 MTJ 물질들은 고밀도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공정시 Cl2, BCl3 등과 같은 chlorine 을 포함한 가스를 이용하여 왔으나 식각 후 sidewall에서 발생하는 부식과 식각 선택비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마스크 물질에 제약을 받고 소자 특성이 감소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noncorrosive 가스인 CO/NH3, CH3OH, CH4 등을 이용한 MTJ 식각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이중 CO/NH3 혼합가스는 부식성이 없고 hard mask와의 높은 선택비를 가지는 기체로 CO gas에 NH3 gas를 첨가하게 되면 etch rate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또한 rf pulse-biased power를 이용하여 이온의 입사를 시간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pulse off time 때 etch gas와 MTJ 물질간의 chemical reaction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NH3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rf pulse-biased power 조건에서 MTJ 물질인 CoFeB, MgO와 hard mask 물질인 W을 식각 한 뒤 식각특성을 분석하였으며 MTJ surface의 chemical binding state, surface roughness 측정을 진행하였다. 식각 샘플의 측정은 Alpha step profiler,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FM (Atomic Force Microscopy)를 통해 진행되었다. Time-averaged pulse bias에서는 duty ratio가 감소할수록 etch rate의 큰 감소 없이 CoFeB/W, MgO/W 물질의 etch selectivity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ulse off time 구간에서의 chemical reaction 향상으로 인해 식각부산물의 재증착이 감소하고 CoFeB의 surface roughness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HC Characteristics of M11 Pressure Tube in Wolsong Unit 1

  • Kim, Sung-Soo;Kim, Young-Su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00
  • Delayed hydride cracking (DHC) velocity and threshold stress intensity factor for DHC ($K_{IH}$) tests in the radial direction on M11 pressure tube material in Wolsong unit 1 were carried out following the Atomic Energy Canada Limited (AECL) standard test procedure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undercooling on DHCV and to acquire the $K_{IH}$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K_{IH}$ 's were 8.8$\pm$0.8 MPa√m in the back offcut and 11.4$\pm$0.7 MPa√m in the front offcut. The fact that $K_{IH}$ in the front offcut is about 20% higher than that in the back offcut is attributed to the micro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the materials of the front and back ends. $K_{IH}$ 's in M11 pressure tube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values from the tubes made of double melted ingot reported earlier. This can be interpreted by the fact that very small amounts of Chlorine (Cl) and Phosphorus (P) are contained in the ingot and that the content of the harmful elements in the M11 pressure tube is equivalent to that made of a quadruple melting process. DHC velocities at 25$0^{\circ}C$ in the front offcut in the radial direction are measured to be 5~8$\times$10$^{-8}$ m/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ior thermal history change the DHC velocity significantly. This effect was confirmed by the experiment of undercooling prior to the DHC tests.DHC tests.

  • PDF

동록(염화동) 안료의 제조방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Manufactur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grok(copper chloride) pigments)

  • 강영석;박주현;문성우;황가현;김명남;이선명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148-169
    • /
    • 2023
  • 하엽은 짙은 녹색을 띠는 전통 안료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색상, 원료물질, 제법 등에 대해서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단청, 괘불, 회화 등 채색문화유산의 안료 분석연구를 통해 밝혀진 하엽 안료의 입자형태나 구성광물 등을 볼 때 염 부식으로 제조된 동록 안료로 보인다. 따라서 하엽 안료를 복원하기 위해 고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동록 안료의 제조방법을 연구하였다. 고문헌 기록에서 확인되는 동록 안료의 제조방법은 동분말과 부식제를 혼합한 후 습한 조건에서 방치하여 부식시키는 자연 부식방법이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동분말을 부식시키기 위해 부식시험기를 이용한 인공부식을 도입하였고, 부식제 혼합비율, 부식 기간에 따른 부식생성물의 상태를 분석하여 적정 혼합비율과 부식 기간을 선정하였다. 또한, 잔류 부식제를 제거하기 위한 염 제거 공정과 안료 채색 시 채도를 높이기 위한 정제공정을 추가하여 동록 안료의 제조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정립된 방법으로 제조된 동록 안료는 청록 혹은 녹색의 색상을 나타냈다. 안료 입자는 표면이 다공성으로 타원형 형태의 작은 입자들이 뭉쳐져 있는 형태를 보였다. 주요 구성원소는 구리(Cu)와 염소(Cl)이고, 구성광물은 녹염동광[atacamite, Cu2Cl(OH)3]으로 동정되었다. 제조된 동록 안료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촉진내후성 시험을 진행한 결과,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녹색도가 일부 감소하고 황색도가 증가하는 색변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열화 전 동록 안료의 색도는 고단청의 하엽 안료와 비교할 때 황색도가 낮은 편이었으나 열화 후에는 황색도가 크게 증가하여 고단청의 하엽 안료와 유사한 색도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동록 안료는 입자형태나 구성광물뿐만 아니라 색상에서도 고단청의 하엽 안료를 구현하여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