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tosan

검색결과 1,612건 처리시간 0.031초

우렁쉥이 껍질성분 및 색소를 이용한 양식소재 개발 -3. 우렁쉥이 껍질 유래 황산다당의 기능적 특성-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3.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홍병일;정병천;손병일;정우진;육지희;최병대;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1-675
    • /
    • 2002
  • 우렁쉥이 껍질에서 추출한 autoclave 추출구와 neutrase 추출구는 지방흡수력의 경우 대조시료인 chitin과 chitsan에 비해 떨어지는 대략 250$\~$$300\%$ 정도이었으나, 포말성은 각각 0.70과 0.67로, 포말안정성은 0.50과 0.38로 우수하였다 Autoclave 추출구 및 neutrase 추출구의 유화능은 각각 $49.2\%$$47.1\%$, 유화안정성의 경우 각각 $48.3\%$$44.8\%$ 정도였으며 특히, 색소흡착능은 각각 $85.2\%$$85.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항혈액응고능은 모든 시료에서 hPn 저 지효과는 나타났으나 PT값은 약 14.5초로 일정하여 혈액응고저지 효과가 거의 없었다. 특히 autoclave 처리구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하여 얻은 F4 (획분4)는 APTT가 75초로 가장 효과적 이 었으며, Sephadex G-100의 $F_2$가 70초 정도였다. ACE저해능은 모든 시료에서 ACE 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효과 값이 차이가 났으며, 특히 DEAE-cellulose 이온교환 처리한 $ F_4$ (획분4)가 $35.7\%$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식품 첨가물이 Listeria monocytogenes H-12의 내열성에 미치는 영향 및 오염된 조리기구 제균 (Effect of Food Additives on Heat Sensitivity of Listeria monocytogenes H-12 and Decontamination of Kitchen Utensils)

  • 이희정;이태식;손광태;변한석;김지회;박정흠;박미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24-528
    • /
    • 2000
  • 식품중에 오염된 Listeria monocytogenes의 열감수성에 미치는 각종 첨가물의 영향과 식품의 처리 가공시에 수반되는 조리기구 수세나 염소, 자외선, 열탕 등 각종 소독처리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키토산, 솔빈산칼륨 둥은 시험균주 L. monocytogenes H-12의 열 감수성 증대에 유의할 만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명태 연육에 중합인산염을 $1{\%}$ 첨가할 경우 시험균주의 열감수성은 뚜렷히 증가되었다. 시험균주 L. monocytogenes H-12가 $약 10^4{\~}10^5/cm^2$ 되도록 오염시킨 나무,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재질의 도마를 흐르는 수도수로 세척하였을 때 스테인레스 도마나 플라스틱 도마의 경우 각각 10초 및 1분 후에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나무 도마에서는 거의 제균효과가 없었다. 스테인레스 및 플라스틱 재질의 도마를 $5{\~}50 ppm$의 염소용액에 10초간 침지하고 수세할 경우 오염균의 제거가 가능하였으나, 나무 도마의 경우 100ppm 염소용액으로 처리하여도 균 수의 감소는 거의 없었다. 15W의 자외선을 30cm 거리에서 시험균주로 오염된 각 재질의 도마에 조사할 경우 스테인레스 및 플라스틱 도마의 경우 5분간 조사 후에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나무 도마에서는 60분 처리 후에도 균이 검출되었다. 각종재질의 조리용 도마에 오염된 시험균주 L. monocytogenes H-12의 열탕처리에 의한 제균조건은 $70^{\circ}C$, 10초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 PDF

An Investigation of the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Intake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MiddleㆍOld Aged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Ki Area

  • Shin, Jeong-Min;Lee, Min-June;Kim, Jung-Hyu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223-234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ak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middle and old-aged adults in order to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of Korean population by providing a guide for proper us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About 69%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ere currently taking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or had experiences of having them in the past, whereas 31.2 % reported they had never taken them.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was vitamin C as reported by 41.8% followed by others such as lactobacillus products, multi-vitamins, tonic medicine and cardiotonic drug, artificially processed Ginseng foods, vitamin B complex, enzyme supplement, calcium, aloe, apricot extract products, chitosan products, loyal honey, squalene, refined fish oil and iron products. The major reason for taking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was 'to protect the weak constitution' with 155 (42.1%) responses, and the motive for the intake was the suggestion from family-relatives with 235 (63.9%) responses, and the place of purchase was pharmacy with 140 (38.0%) responses, the average monthly expense was 20,000-40,000 won with 140 (26.2%) responses, and effects after the intake was 'so and so' with 180 (33.6%) responses as the highest. More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were consumed as age and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For health and lifestyle and the intak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perceived health status, the presence of illness, and the presence of health manag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Male subjects than female subjects and the 30s than the 405 and 50s were appeared to have poorer dietary behaviors (p<0.05). For the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he intak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the health locus of control score was 22.82 for consumers and 22.79 for non-consumer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intak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in which gender, education, smoking, perceived health status, the presence of illness, and health management were significant to the intak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It is shown that subjects with perception and attitud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are useful in health maintenance and disease prevention' and 'the information and variety for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are great' have higher probability of taking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Self-Assembled Nanoparticles of Bile Acid-Modified Glycol Chitosans and Their Applications for Cancer Therapy

  • Kim Kwangmeyung;Kim Jong-Ho;Kim Sungwon;Chung Hesson;Choi Kuiwon;Kwon Ick Chan;Park Jae Hyung;Kim Yoo-Shin;Park Rang-Won;Kim In-San;Jeong Seo Yo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67-175
    • /
    • 2005
  • This review explores recent works involving the use of the self-assembled nanoparticles of bile acid-modified glycol chitosans (BGCs) as a new drug carrier for cancer therapy. BGC nanoparticles were produced by chemically grafting different bile acids through the use of l-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C). The precise control of the size, structure, and hydrophobicity of the various BGC nanoparticles could be achieved by grafting different amounts of bile acids. The BGC nanoparticles so produced formed nanoparticles ranging in size from 210 to 850 nm in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pH=7.4), which exhibited substantially lower critical aggregation concentrations (0.038-0.260 mg/mL) than those of other low-molecular-weight surfactants, indicating that they possess high thermodynamic stability. The SOC nanoparticles could encapsulate small molecular peptides and hydrophobic anticancer drugs with a high loading efficiency and release them in a sustained manner. This review also highlights the biodistribution of the BGC nanoparticl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ir accumulation in the tumor tissue, by utilizing the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PR) effect. The different approaches used to optimize the delivery of drugs to treat cancer are also described in the last section.

Cisplatin의 신장독성에 대한 영지추출물 복합제제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Ganopoly and Ganopoly/C+ on nephrotoxicity induced by cisplatin in rats)

  • 김대근;김근중;주성민;김용익;최호승;금경수;김원신;고익괴;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6-325
    • /
    • 2003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Ganopoly(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and Ganopoly/C+(70% Ganopoly + 30% chitosan) on cisplastin-induced nephrotoxicity was investigated in Sprague-Dawley rats. A single dose of cisplastin(5 ㎎/㎏) 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fter pretreatment of saline, Ganopoly and Ganopoly/C+ for 7 days. The nephrotoxicity and renal function were manifestated by the changes of body weight, blood pressure, biochemical changes and solute in urine and plasma. After the treatment of CDDP(cis-dichlorodiamineplatinum), a significant elevation of kidney weight, serum urea, cretinine, urine volume for 24 hours, urine magnesium, and a severe or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blood pressure, creatinine clearance, urine osmolarity, serum albumin, etc. The nephrotoxicity was further confirmed by a significant decrease in glutathione S-transferase(GSH) in urine and kidney homogenate, GSH,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catalase in kidney tissue. And also the lipid peroxid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kidney homogenate. These signs of nephrotoxicity was ameliorated by the pretreatment and consecutive administration of Ganopoly and Ganopoly/C+ for 14 days after the Lp. injection of CDDP on 7th day after pretreatment of Ganopoly and Ganopoly/C+. The amelioration of nephrotoxicity was evidenced by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urea and creatinine concentration, and improvement of other index of renal function. And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were partially recovered in kidney tissue of rats treated by CDDP and the administration of Ganopoly and Ganopoly/C+. These results indicate the cispastin induced nephrotoxicity is due to an impairment of tubular reabsorption systems enhanced by necrosis of proximal tubule, and the Ganopoly and Ganopoly/C+ has a partial protective effect on nephrotoxicity induced by CDDP. The polysacchride of Ganoderma lucidum may improve the therapeutic index of nephrotoxicity induced by CDDP. However, it is need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for confirming the therapeutic effect.

공업적 이용을 위한 동물성 키틴분해효소의 탐색 (Survey on the Chitinolytic Activity from Some Animals for the Industrial Utilization)

  • 한범구;이우진;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95-100
    • /
    • 1997
  • 키틴을 효소적인 방법으로 분해하여 키틴올리고머를 생산할 수 있는 값싸고 안정적인 효소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어, 방어, 대구, 닭 등의 동물체로 부터 키틴분해효소를 탐색하였다. 각 효소원의 장기와 소화액 및 달팽이 ${\beta}-glucuronidase$로 부터 키틴분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구와 닭은 키틴을 주로 중합도 $3{\sim}5$의 크기로 분해하며 endochitinase의 활성도가 exochitinase활성보다 $7{\sim}10$배 높았다. 달팽이 ${\beta}-glucuronidase$는 키틴을 모두 N-acetylglucosamine으로 분해하였고 닭의 경우 소화기조직과 내용물에서 모두 endochitinase활성이 높았다. 어류중에서 농어는 키틴분해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방어와 대구는 비슷한 수준의 키틴분해활성을 보였다. 이들 효소의 최적pH는 $4{\sim}5$, 최적온도는 $50{\sim}60^{\circ}C$였다. 한편 키토산분해능력은 닭의 소화기내용물과 조직, 대구의 위조직에서 관찰되었으며, 닭 소화기내용물이 가장 높았으나 키틴분해능의 15%에 지나지 않았으며 그 다음은 달팽이의 ${\beta}-glucuronidase$로 닭 소화기내용물의 키토산분해능력의 약 30% 활성을 보였다. 키틴올리고머의 생산을 위한 가장 적합한 효소원으로 exochitinase활성이 적고, endochitinase활성이 높으며 값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닭의 소화기가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공업적 이용을 위한 식물성 키틴분해효소의 탐색 (Survey on the Chitinolytic Activity from Some Plants for the Industrial Utilization)

  • 한범구;이우진;유탁;박인호;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66-471
    • /
    • 1996
  • 키틴을 효소적인 방법으로 분해하여 키틴 올리고머를 생산할 수 있는 값싸고 안정적인 효소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벼, 콩, 참다래, 아몬드, 조(粗)파파인 등의 식물체로부터 키틴분해효소를 탐색하였다. 왕겨, 콩껍질, 참다래의 외피 등에서 키틴분해효소의 활성이 나타났으며 껍질을 제거한 콩, 쌀기울, 백미, 탈지 대두분 등에서는 활성이 없었다. 이들 키틴분해효소는 exochitinase와 endochitinase 형태의 두종류 활성을 갖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참다래와 조(粗)파파인에서 endochitinase의 활성이 높았다. pH의 영향은 exochitinase의 경우 효소원에 따라 $pH\;5{\sim}7$ 사이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었고 endochitinase는 모두 pH 3과 $pH\;5{\sim}6$의 두 곳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었다. 온도변화에 의한 exochitinase의 활성은 $50^{\circ}C$에서도 비교적 안정했다. 반면에 endochitinase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최적 온도를 갖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조효소는 키토산분해 활성을 갖고 있었으며 왕겨가 가장 높고 콩껍질, 참다래의 순서였다. 키틴을 이용한 키틴올리고머의 생산을 위한 가장 적합한 효소원으로는 exochitinase의 활성이 가장 적으며 endochitinase의 활성이 높은 조(粗)파파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gar from Gelidium amansii)

  • 도정룡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3-427
    • /
    • 1997
  • 국내 연안산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의 수율, 추출조건 그리고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한천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제하고 정제한 한천의 수율, 황산기, 회분 그리고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을 제조 할 때에는 $120^{\circ}C$에서 $2\~3$시간 추출하는 것이 좋았다. 여러지역에서 채취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의 수율은 $31.6\~46.8\%$로 산지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매우컸고, 울릉도산 및 제주도산 우뭇가사리의 수율이 $46.8\%$$43.6\%$로 좋았다. 겔강도는 $496\~887g/cm^2$로 산지에 따른 차가 매우컸고, 동해안의 대변 및 일광산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한천의 겔강도가 887 및 $854g/cm^2$로 매우 강하였다. 추출한 한천중의 회분함량은 $2.63\~2.92\%$였고, 황산기의 함량은 $1.38\~1.78\%$였다. 염산으로 전처리하여 추출하면 전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오히려 수율이 감소되었고, 겔강도도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증류수로 한천을 수세한 후에 아세톤으로 탈수하면 황산기 및 회분함량이 감소될 뿐만아니라 겔강도도 618에서 $895g/cm^2$로 증가되었다. EDTA처리법은 한천을 용해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처리하여 황산기 및 회분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키토산 처리에 의한 정제법은 황산기와 회분의 제거효과가 가장 좋았다. PEG처리에 의한 한천 정제법은 황산기와 회분의 제거 효과는 상당히 좋았으나, 수율이 $55.6\%$로 매우 낮았다. CPC처리에 의한 정제 한천은 황산기와 회분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겔강도가 618에서 $1180g/cm^2$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에탄올, 아세톤 그리고 프로판을 침전법으로 정제한 한천은 황산기와 회분함량이 감소하고 겔강도는 증가되었으며, 아세톤에 의한 정제 효과가 가장 좋았다.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한천에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그리고 칼륨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인, 철, 알루미늄, 아연 그리고 납은 100ppm이하로 미량이었다. 나트륨을 제거하는데는 CPC처리, 칼슘의 제거는 EDTA처리, 칼륨, 인, 철 그리고 아연의 제거는 키토산 처리시에 가장 효과가 좋았다.

  • PDF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of Ginseng by Nanoparticles

  • Yang, Deok Chun;Mathiyalagan, Ramya;Yang, Dong Uk;Perez, Zuly Elizabeth Jimenez;Hurh, Joon;Ahn, Jong Cha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3-3
    • /
    • 2018
  • For centuries, Panax ginseng Meyer (Korean ginseng) has been widely used as a medicinal herb in Korea, China, and Japan. Ginsenosides are a class of triterpene saponins and recognized as the bioactive components in Korean ginseng. Ginsenosides, which can be classified broadly as protopanaxadiols (PPD), protopanaxatriols (PPT), and oleanolic acids, have been shown to flaunt a vast array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immune-modulatory,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In recent years, a number of ginseng and ginsenoside researches have increasingly gained wide attention owing to its unique pharmacological properties. Although good efficacies of ginsenosides have been reported, lack of target specific delivery into tumor sites, low solubility, and low bioavailability due to modifications in gastro-intestinal environments limit their biomedical application in clinical trials. As a result to this major challenge, nanotechnology and drug delivery techniques play a significant role to solve this problematic issue. Thus, we reported the prepara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glycol chitosan (GC) functionalized to ginsenoside (Compound K and PPD) conjugates via hydrolysable ester bonds with improved aqueous solubility and pH-dependent drug release. In vitro cytotoxicity assays revealed that PEG-CK, and PPD-CK conjugates exhibited lower cytotoxicity compared to bare CK and PPD in HT29 cells. However, GC-CK conjugates exhibited higher and similar cytotoxicity in HT29 and HepG2 cells. Furthermore, GC-CK-treated RAW264.7 cells did not exhibit significant cell death at higher concentration of treatment which supports the biocompatibility of the polymer conjugates. They also inhibit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64.7 cells. In addition to polymer-ginsenoside conjugates, silver (AgNps) and gold nanoparticles (AuNps) have been successfully synthesized by green chemistry using different m. The biosynthesized nanoparticles demonstrated antimicrobial efficacy,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ctivity, biofilm inhibition, and anticoagulant effect. Special interest on the effective delivery methods of ginsenoside to treatment sites is the focus of metal nanoparticle research.In short, nano-sizing of ginsenoside results in an increased water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The use of nano-sized ginsenoside and P. ginseng mediated metallic nanoparticles is expected to be effective on medical platform against various diseases in the future.

  • PDF

공동캡슐화를 이용한 Capsule 내외부의 분자량 분포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side and Outside Capsules Using Coencapsulating Technology)

  • 이기선;임현수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21-326
    • /
    • 2001
  • 막의 특성을 이용하여 기질과 효소가 공존하는 캡슐을 제조하여 이 캡슐의 장점인 membrane의 pore size를 조절하면 올리고당을 분자량별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으로 기질과 효소의 유출을 조절하여 생리활성이 높은 올리거당을 얻고, 생산된 올리고당의 단순한 분리.정제를 위하여, 그리고 효소의 재 이용 측면에서 encapsulation technology를 이용하여 올리고당을 생산하는 연구를 하였다. 제조된 capsule의 막 두께와 직경은 Olympus IX50 microscope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막의 두께는 10 $\mu$m이었으며, capsule의 크기는 대략 3.0mm, $N_2$ gas를 이용할 capsule은 대fir 1.5 mm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기질의 용액, 효소액, 반응액, alginate 용액을 pH 5.0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막이 보다 견고하게 형성 할 수 있었으며, 제조된 capsule를 반응 용액 즉 2% acetic acid의 pH를 CaCO$_3$로 조절한 용액에 넣었기 때문에 막이 단단하게 형성되고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질의 사용에 있어서 작은 분자량을 갖는 기질은 효소와 분해 반응에 있어서 가수분해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보통 capsule 밖으로 유출된 올리고당의 분자량은 평균 M.W. 1,000이었다. 그러나 분자량이 큰 기질을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 M.W. 1,000-3,500이었다. 막을 이루는 alginate의 점도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교반 속도에 의한 기질과 효소의 유출, 그리고 분해 반응에 따른 가수분해 산물인 올리고당의 유출에 있어 alginate 농도 0.5%, 교반 속도는 40 rpm이 가장 적당하였다. (12). Capsule에서 분해 반응 후 분해 산물인 올리고당의 이동을 빨리 하기 위하여 작은 size의 capsule를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3.0 mm보다 capsule 내부의 분자량 변화가 더 빨랐으며, capsule 밖으로 유출된 올리고당의 분자량 분석 결과 M.W. 3000-6000의 올리고당이 생성되었다. 반응 시간에 따른 capsule 내부의 잔류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반응 8시간째에도 약 80% 이상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Batch-type과 비교하여 capsule의 경우에는 반응이 끝난 후 capsule를 회수하여 효소를 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